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안전관리 현황
1) 시설․설비 안전사고 사례 제시
2. 시설․설비 안전관리 필요성
1) 유아교육기관 내 안전관리의 필요성
3. 영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리 내용
1) 유아교육기관의 실내 시설․설비
2) 유아교육기관의 실외 시설․설비
4. 유아교육기관 실내․외 안전관리와 관련된 법규
1) 건물 및 주변 환경에 관한 법규
2) 실내 환경과 관련된 법규
3) 실외 환경
4) 유치원 안전점검체크리스트
Ⅲ.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및 사이트
Ⅱ. 본론
1.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외 안전관리 현황
1) 시설․설비 안전사고 사례 제시
2. 시설․설비 안전관리 필요성
1) 유아교육기관 내 안전관리의 필요성
3. 영유아교육기관 시설․설비 안전관리 내용
1) 유아교육기관의 실내 시설․설비
2) 유아교육기관의 실외 시설․설비
4. 유아교육기관 실내․외 안전관리와 관련된 법규
1) 건물 및 주변 환경에 관한 법규
2) 실내 환경과 관련된 법규
3) 실외 환경
4) 유치원 안전점검체크리스트
Ⅲ.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정돈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유아가 사용하는 창고는 놀잇감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놀잇감의 형태에 따라 정리하기 쉽도록 적절한 장치를 해둔다. 예를 들어 공 같은 것을 위해서는 선반에 구멍을 뚫거나 틀을 만들고, 밧줄, 굴렁쇠 등을 걸 수 있는 고리를 부착해 둘 수 있다.
* 교사용 창고는 후미진 곳에 둔다. 창고 내부의 선반은 자주 사용하는 물건과 1년에 한두 번 이용하는 물건을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항상 교사가 점검하고 유아가 쉽게 출입할 수 없도록 잠가두도록 한다.
(6)놀이기구
실외 놀이기구는 고정된 시설과 이동 가능한 시설로 구분할 수 있다. 실외 놀이기구를 설치할 때는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적합하도록 유아들의 발달수준, 흥미, 요구, 유아의 수를 고려하여 안전한 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상적인 실외 놀이기구 설치면적은 유아 당 18.2m2(2.5평)이며, 최소의 절대공간은 8.3m2(2.5평)이다. 고정된 놀이기구를 설치 할 때 놀이 기구를 땅바닥 깊숙이 단단하게 고정하고 건물에서 최소한 4.5m2, 울타리에서 1.8m 떨어지도록 설치한다. 시설물간의 거리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여 유아들의 충돌을 피하도록 한다. 이 때, 개방된 공간이 너무 좁으면 유아들끼리 부딪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1/3~1/2정도는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고 비워 놀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구조상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질과 부품을 사용하고 안전하게 설비를 한다. 놀이시설 표면을 처리할 때 유해하지 않은 재질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납 성분이 함유된 페인트는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쇠로 만든 구조물은 녹슬지 않도록 항상 점검하고 갈라진 페인트는 즉시 벗기고 다시 칠한다. 나무 구조물은 갈라진 틈이 없어야 하며 썩었을 경우에는 즉시 교체한다. 놀이기구의 주변 바닥은 20~30cm깊이의 모래.톱밥 등의 충격흡수용 재질이나 고무판을 깔아 준다. 또한 놀이기구를 연결하는 부분의 볼트나 못은 부실 방지와 유아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덮개를 씌워야 하며 쉽게 열리거나 풀리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시설물에는 유아가 상처를 입거나 옷이 걸릴 수 있는 날카로운 모서리나 돌출부분이 없어야 한다.
< 실외 기구 설치 시 안전 수칙 >
① 미끄럼틀
* 8세 이하 유아에게 안전한 미끄럼틀의 높이는 1.8m이하이다.
* 미끄럼틀은 그늘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금속제일 경우 녹스는 것에 유의한다.
* 미끄럼틀은 폭이 너무 좋지 않아야 하며, 경사가 31~33도 인것이 내려오는 속도로 인한 낙상의 위험이 적어 안전하다.
*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올라가는 계단, 내려오는 미끄럼판, 올라가서 기다리는 발판면의 설계를 안전하게 하여야 한다.
* 꼭대기에는 기다리는 유아들을 위해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하며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벽이 있어야 한다.
* 올라가는 계단에는 손잡이가 있는 난간이 있어야 한다.
* 미끄러지는 면의 양 옆에는 8~15cm높이의 난간이 있어야 유아가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내려오는 속도를 줄이기 위해 끝부분의 밑판은 40cm정도 평평하도록 설치한다.
* 착지지점 밑부분 바닥에는 25cm이상의 깊이로 톱밥이나 모래를 깐다.
* 미끄럼틀 판이 스테인리스인 경우, 여름철에는 복사열로 인해 뜨거워질 수 있으므로 교사는 유아들이 미끄럼을 타기 전에 온도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물을 뿌려 온도를 조절해 준다.
* 미끄럼틀이 나무로 제작된 경우에는 나무가 일어난 곳, 갈라진 부분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수시로 왁스나 기름칠을 하여 항상 매끄럽게 유지하며, 절대로 비누나 물로 닦지 않는다.
* 유아들과 함께 미끄럼틀 이용규칙을 만들어 안전한 놀이습관을 익히도록 한다.
② 그네
* 5세 이하의 유아에게는 앉아서 타는 그네가 안전하다 .
* 그네는 벽으로부터 최소한 1.8m 떨어져야 하며, 양쪽 받침대에서 최소한 70cm 간격을 두고 매달며 두 그네 사이의 간격도 70cm정도 띄워 놓는다.땅바닥에서 그네 밑면까지의 높이는 40cm정도가 되도록 한다.
* 그네 받침대에는 2개 이상의 그네를 매달지 않는다.
* 그네의 앉은 부분은 가죽이나 고무타이어 등의 부드러운 재료로 만든다.
* 그넷줄은 위쪽 받침대에 단단히 매어 있나 수시로 점검하고, S자 후크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그넷줄의 고리는 유아의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만큼 8mm이하로 작게하고, 구멍이 클 경우 밑에서 120cm 높이까지 튜브로 싸서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 타이어 그네일 경우에는 타이어 밑쪽에 15cm간격으로 구멍을 뚫어 물이 빠지도록 한다. 이때, 타이어 속에 흰색 페인트 칠을 하여 모기가 서식하지 않도록 하며 타이어 그네는 2개의 줄로 균형을 잡아 안전하게 맨다.
* 그네의 주변은 그네를 타고 내리는 데 필요한 2개의 출입구를 제외하고 낮은 나무를 심어 보호벽을 만들어 준다.
* 그네를 타다가 생긴 파인 바닥은 즉시 부드러운 재질로 매워 주며, 그네 밑에는 발이 끼일만한 공간이 없도록 해준다.
③ 오르기 시설
* 오르기 기구의 높이는 바닥에서 2.5m이상이 되지 않게 한다. 땅에서 80cm이상 높이의 오르기 기구에는 60cm 높이의 난간을 세운다. 난간 사이의 간격은 11cm미만으로 해야 유아가 수직대 사이로 빠져 떨어지거나 머리가 끼이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 유아가 난간 위로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난간 중간에는 수평대를 설치하지 않는다.
* 가로대는 너무 굵지않아야하며, 유아가 그 둘레의 2/3 혹은 1/2 이상을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지름이 4cm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 바닥은 통관으로 견고하게 설치하여 갈라진 틈으로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하며 아래에서 놀이하는 유아들 위로 모래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 난간은 유아가 위험한 곳에 기어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통판이나 수직대를 세운다.
④ 시소
* 12세 미만의 유아들만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그 이상의 연령의 유아는 시소로 위험한 놀이를 하기 때문이다.
* 시소는 무게의 균형이 정확하고 잡히고 흔들거림이 없도록 안전하게 설치한다.
* 시소가 땅에 닿는 부분은 폐타이어를 묻어 시소를 탈
* 교사용 창고는 후미진 곳에 둔다. 창고 내부의 선반은 자주 사용하는 물건과 1년에 한두 번 이용하는 물건을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항상 교사가 점검하고 유아가 쉽게 출입할 수 없도록 잠가두도록 한다.
(6)놀이기구
실외 놀이기구는 고정된 시설과 이동 가능한 시설로 구분할 수 있다. 실외 놀이기구를 설치할 때는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적합하도록 유아들의 발달수준, 흥미, 요구, 유아의 수를 고려하여 안전한 장소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상적인 실외 놀이기구 설치면적은 유아 당 18.2m2(2.5평)이며, 최소의 절대공간은 8.3m2(2.5평)이다. 고정된 놀이기구를 설치 할 때 놀이 기구를 땅바닥 깊숙이 단단하게 고정하고 건물에서 최소한 4.5m2, 울타리에서 1.8m 떨어지도록 설치한다. 시설물간의 거리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여 유아들의 충돌을 피하도록 한다. 이 때, 개방된 공간이 너무 좁으면 유아들끼리 부딪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공간의 1/3~1/2정도는 시설물을 설치하지 않고 비워 놀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구조상 견고하고, 내구성 있는 재질과 부품을 사용하고 안전하게 설비를 한다. 놀이시설 표면을 처리할 때 유해하지 않은 재질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납 성분이 함유된 페인트는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쇠로 만든 구조물은 녹슬지 않도록 항상 점검하고 갈라진 페인트는 즉시 벗기고 다시 칠한다. 나무 구조물은 갈라진 틈이 없어야 하며 썩었을 경우에는 즉시 교체한다. 놀이기구의 주변 바닥은 20~30cm깊이의 모래.톱밥 등의 충격흡수용 재질이나 고무판을 깔아 준다. 또한 놀이기구를 연결하는 부분의 볼트나 못은 부실 방지와 유아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덮개를 씌워야 하며 쉽게 열리거나 풀리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시설물에는 유아가 상처를 입거나 옷이 걸릴 수 있는 날카로운 모서리나 돌출부분이 없어야 한다.
< 실외 기구 설치 시 안전 수칙 >
① 미끄럼틀
* 8세 이하 유아에게 안전한 미끄럼틀의 높이는 1.8m이하이다.
* 미끄럼틀은 그늘에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금속제일 경우 녹스는 것에 유의한다.
* 미끄럼틀은 폭이 너무 좋지 않아야 하며, 경사가 31~33도 인것이 내려오는 속도로 인한 낙상의 위험이 적어 안전하다.
* 추락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올라가는 계단, 내려오는 미끄럼판, 올라가서 기다리는 발판면의 설계를 안전하게 하여야 한다.
* 꼭대기에는 기다리는 유아들을 위해 충분한 공간이 있어야 하며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벽이 있어야 한다.
* 올라가는 계단에는 손잡이가 있는 난간이 있어야 한다.
* 미끄러지는 면의 양 옆에는 8~15cm높이의 난간이 있어야 유아가 옆으로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내려오는 속도를 줄이기 위해 끝부분의 밑판은 40cm정도 평평하도록 설치한다.
* 착지지점 밑부분 바닥에는 25cm이상의 깊이로 톱밥이나 모래를 깐다.
* 미끄럼틀 판이 스테인리스인 경우, 여름철에는 복사열로 인해 뜨거워질 수 있으므로 교사는 유아들이 미끄럼을 타기 전에 온도를 확인하고 필요하면 물을 뿌려 온도를 조절해 준다.
* 미끄럼틀이 나무로 제작된 경우에는 나무가 일어난 곳, 갈라진 부분 등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수시로 왁스나 기름칠을 하여 항상 매끄럽게 유지하며, 절대로 비누나 물로 닦지 않는다.
* 유아들과 함께 미끄럼틀 이용규칙을 만들어 안전한 놀이습관을 익히도록 한다.
② 그네
* 5세 이하의 유아에게는 앉아서 타는 그네가 안전하다 .
* 그네는 벽으로부터 최소한 1.8m 떨어져야 하며, 양쪽 받침대에서 최소한 70cm 간격을 두고 매달며 두 그네 사이의 간격도 70cm정도 띄워 놓는다.땅바닥에서 그네 밑면까지의 높이는 40cm정도가 되도록 한다.
* 그네 받침대에는 2개 이상의 그네를 매달지 않는다.
* 그네의 앉은 부분은 가죽이나 고무타이어 등의 부드러운 재료로 만든다.
* 그넷줄은 위쪽 받침대에 단단히 매어 있나 수시로 점검하고, S자 후크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그넷줄의 고리는 유아의 손가락이 끼이지 않을 만큼 8mm이하로 작게하고, 구멍이 클 경우 밑에서 120cm 높이까지 튜브로 싸서 손가락이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 타이어 그네일 경우에는 타이어 밑쪽에 15cm간격으로 구멍을 뚫어 물이 빠지도록 한다. 이때, 타이어 속에 흰색 페인트 칠을 하여 모기가 서식하지 않도록 하며 타이어 그네는 2개의 줄로 균형을 잡아 안전하게 맨다.
* 그네의 주변은 그네를 타고 내리는 데 필요한 2개의 출입구를 제외하고 낮은 나무를 심어 보호벽을 만들어 준다.
* 그네를 타다가 생긴 파인 바닥은 즉시 부드러운 재질로 매워 주며, 그네 밑에는 발이 끼일만한 공간이 없도록 해준다.
③ 오르기 시설
* 오르기 기구의 높이는 바닥에서 2.5m이상이 되지 않게 한다. 땅에서 80cm이상 높이의 오르기 기구에는 60cm 높이의 난간을 세운다. 난간 사이의 간격은 11cm미만으로 해야 유아가 수직대 사이로 빠져 떨어지거나 머리가 끼이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 유아가 난간 위로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난간 중간에는 수평대를 설치하지 않는다.
* 가로대는 너무 굵지않아야하며, 유아가 그 둘레의 2/3 혹은 1/2 이상을 손으로 쥘 수 있도록 지름이 4cm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 바닥은 통관으로 견고하게 설치하여 갈라진 틈으로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하며 아래에서 놀이하는 유아들 위로 모래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 난간은 유아가 위험한 곳에 기어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통판이나 수직대를 세운다.
④ 시소
* 12세 미만의 유아들만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 그 이상의 연령의 유아는 시소로 위험한 놀이를 하기 때문이다.
* 시소는 무게의 균형이 정확하고 잡히고 흔들거림이 없도록 안전하게 설치한다.
* 시소가 땅에 닿는 부분은 폐타이어를 묻어 시소를 탈
추천자료
아동 안전교육 교수법 (유아안전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활동)
멀티미디어교육, 금연교육 교수학습자료(교육자료), 안전교육, 유아성교육 교수학습자료(교육...
교육계획(지도계획)의 필요성, 원리, 안전교육계획(지도계획), 방과후활동교육계획(지도계획)...
[영유아안전교육]유아교육기관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고 및 예방법-8일까지
[유아컴퓨터교육][유아반편견교육][유아감상교육][유아사고교육][안전교육][경제교육][통일교...
[유치원][유아교육]유치원의 발전과정, 유치원의 교원 현황, 유치원의 교육 여건, 유치원의 ...
표준보육과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안전교육
가스 사용시설 안전관리자 문제 및 풀이 (2014) (가스개요, 가스, 예방, 가스설비, 법규, 사...
유아교육기관에서 아동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 활동을 계획하시오.
[아동안전관리] 영유아 안전사고의 사례에서 과거와 현재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앞으로의 안전...
[영유아교육기관 안전사고] 영유아교육기관 안전사고의 정의 및 원인 별 분석과 유아 교육기...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 실내외 안전관리를 위한 시설설비와 영유아 권리존중 차원에서 실내...
[영유아안전교육] 영유아 안전교육 유형 중에 놀이를 통한 안전교육지도에 관한 설명과 구체...
[아동안전관리] 영아기와 유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아동안전사고와 관련된 신문기사, 방송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