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2. 관계 문헌의 개요 ───────────────────── 2
Ⅱ. 본론
1. 간호사정 ───────────────────────── 11
1) 주관적 자료 ───────────────────────── 11
(1) 개인정보
(2) 기본 욕구 사정
(3) 현재 건강력 사정
(4) 과거 건강력 사정
2) 객관적 자료 ───────────────────────── 14
(1) 신체 검진
(2) 검사 소견
(3) 의학적 치료계획
2. Problem List ─────────────────────── 20
3. 간호진단 ───────────────────────── 21
4. 간호과정 적용 ────────────────────── 21
Ⅲ. 결론
1. 결론 ─────────────────────────── 25
2. 참고문헌 ───────────────────────── 25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2. 관계 문헌의 개요 ───────────────────── 2
Ⅱ. 본론
1. 간호사정 ───────────────────────── 11
1) 주관적 자료 ───────────────────────── 11
(1) 개인정보
(2) 기본 욕구 사정
(3) 현재 건강력 사정
(4) 과거 건강력 사정
2) 객관적 자료 ───────────────────────── 14
(1) 신체 검진
(2) 검사 소견
(3) 의학적 치료계획
2. Problem List ─────────────────────── 20
3. 간호진단 ───────────────────────── 21
4. 간호과정 적용 ────────────────────── 21
Ⅲ. 결론
1. 결론 ─────────────────────────── 25
2. 참고문헌 ───────────────────────── 25
본문내용
기 위해 이뇨제가 처방된다. 식이제한과 약물요법으로 복수조절이 안될 때 복수천자를 한다.
대상자에게 복수완화를 위한 관리를 교육한다.
① 식이요법(염분 섭취량 제한)에 대해 교육했다.(1/27 12:00)
② 수분과 전해질의 변화를 모니터 하기위해 지속적인 검사물 채취의 필요성을 교육했다.(1/26 17:00)
③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기록할 것과 몸무게를 매일 측정하고 변화를 관찰할 것을 교육했다.(1/26 17:30)
④ 과다한 복수로 인한 호흡곤란 시 침상머리를 높여주도록 교육했다.(1/26 17:30)
과다한 복수는 호흡을 어렵게 한다. 복강내 압렵의 증가는 흉곽의 팽창과 횡격막의 하강을 억제하여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침상의 머리를 30˚ 정도 높여주어 대상자의 호흡곤란을 완화시킨다.
간호진단 2) 식도정맥으로 역류하는 혈액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출혈)
주관적 자료
① “토하면 피가 많이 났어요.”
② “지금은 피가 나오지는 않아요.”
객관적 자료
① 수술 및 입원력 :
2011-07 Esophageal varices bleeding(식도정맥류 출혈)으로 EVL(Endoscopic variceal ligation,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요법), 경희의료원
2011-09 Esophageal varices rebleeding으로 본원 소화기내과 입원하여 EVL
② 일반혈액검사결과 :
내용
검사치
정상치
RBC
2.97↓
4.0~5.4(10/uL)
Hb
11.0↓
12~16(g/dL)
Hct
31↓
36~48(%)
Platelet
145↓
150~400(10³/uL)
③ GFS결과 :
1/4 GFS
E.varix grade 3 with bleeding
식도 하부의 이전 EVL(Endoscopic variceal ligation,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요법) site는 scar change 되었으나 식도 상부의 varix bleeding 소견 관찰됨
1/27 GFS
prepyloric antrum, LC antrum(유문부 전부) : ulcer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문맥압항진 위병증)
no evidence of active bleeding(출혈의 증거는 없음)
장기목표
대상자는 2월 2일까지 늘어난 식도정맥 벽에서 출혈이 없다.
단기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는 1월 31일까지 혈액검사결과에서 출혈의 지표(RBC, Hb, Hct, Platelet)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식도정맥류에서의 출혈증상을 관찰한다.
① 일반혈액검사와 소변, 대변 잠혈검사를 실시했다.(1/27 07:00)
② 3회/일, 활력징후를 측정했다.(1/27 14:00)
③ GFS(gastrofibroscopy, 위내시경)를 실시했다.(1/27 11:00)
식도정맥류의 출혈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태로 심한 출혈과 저혈량 쇼크를 일으킨다.
대상자는 주호소로 토혈을 말했으나 응급실 내원당시 활동적인 출혈로 인해 토혈을 하는 상태는 아니었다. 1월 27일 실시한 위내시경에서 식도 상부의 식도정맥류에서 활동적인 출혈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1/31일 일반혈액검사에서 출혈의 지표(RBC, Hb, Hct, Platelet)는 정상범위를 유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활동적인 출혈 병변이 없고, 출혈의 지표가 정상수준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해 보인다.(1/31 21:00)
식도와 위점막의 출혈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요법을 실시한다.
① Indenol 40mg(염산프로프라놀롤 40mg)을 경구투약했다.(1/27 09:00)
② OMP 40mg(오메프라졸 40mg, 소화성궤양용제/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을 경구투약했다.(1/27 09:00)
③ Gasmotin 5mg(모사프리드시트르산염 5.29mg, 소화기관용약/기능성 소화불량)을 경구투약했다.(1/27 09:00)
식도출혈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식도정맥류가 있는 대상자는 propranolol(Inderal LA)과 같은 장기 작용 베타차단제를 투여한다. 심박동수가 감소하고 간정맥압이 저하되면 출혈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식도정맥류 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관리를 교육한다.
①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힘을 많이주는 운동은 피하도록 교육했다.(1/30 15:00)
② 배변 곤란 시 처방된 lactulose 시럽을 복용하도록 교육했다.(1/30 15:00)
복압을 증가시키는 활동이 정맥류 출혈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Ⅲ. 결론
노님은 5년 전 알코올성 간경변을 진단받은 후, 식도정맥류 출혈로 4~5차례 입, 퇴원력이 있는 대상자로 2012년 1월 17일~1월 20일, 위궤양과 출혈로 입원하여 PPI(proton pump inhibitor)투여 및 f/u GFS을 시행하여 식이진행하며 퇴원 고려하던 중 무단외출로 강제퇴원 된 대상자다.
내원 3일전부터 복수의 양이 늘기 시작하였고, 내월 2일전부터 소변 량이 평소 종이컵 한 컵에서 반 컵 정도로 줄었다고 말했고, 내원 당일 호흡곤란이 동반되어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여 입원했다.
2011년 7월, 9월 두 차례에 걸쳐 EVL(Endoscopic variceal ligation,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요법)을 시행했다.
대상자는 복수와 관련된 호흡곤란으로 인해 응급실로 내원했고 응급실에서 복수천자를 실시, 2L의 복수를 배액했다. 식이제한(저염식이)과 약물요법으로 Spiracton 50mg, Lasix 40mg을 경구 투약했다. 혈청 나트륨 수준이 정상적이므로 수분은 제한하지 않았다. 1월 31일 체중측정 결과, 50.7kg으로 목표인 48.27kg을 획득하지는 못했으나 체중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대상자는 주호소로 토혈을 말했으나 응급실 내원당시 활동적인 출혈로 인해 토혈을 하는 상태는 아니었다. 1월 27일 실시한 위내시경에서 식도 상부의 식도정맥류에서 활동적인 출혈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1/31일 일반혈액검사에서 출혈의 지표(RBC, Hb, Hct, Platelet)는 정상범위를 유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활동적인 출혈 병변이 없고, 출혈의 지표가 정상수준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해 보인다.
대상자에게 복수완화를 위한 관리를 교육한다.
① 식이요법(염분 섭취량 제한)에 대해 교육했다.(1/27 12:00)
② 수분과 전해질의 변화를 모니터 하기위해 지속적인 검사물 채취의 필요성을 교육했다.(1/26 17:00)
③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기록할 것과 몸무게를 매일 측정하고 변화를 관찰할 것을 교육했다.(1/26 17:30)
④ 과다한 복수로 인한 호흡곤란 시 침상머리를 높여주도록 교육했다.(1/26 17:30)
과다한 복수는 호흡을 어렵게 한다. 복강내 압렵의 증가는 흉곽의 팽창과 횡격막의 하강을 억제하여 호흡곤란을 일으킨다. 침상의 머리를 30˚ 정도 높여주어 대상자의 호흡곤란을 완화시킨다.
간호진단 2) 식도정맥으로 역류하는 혈액과 관련된 신체손상 위험성(출혈)
주관적 자료
① “토하면 피가 많이 났어요.”
② “지금은 피가 나오지는 않아요.”
객관적 자료
① 수술 및 입원력 :
2011-07 Esophageal varices bleeding(식도정맥류 출혈)으로 EVL(Endoscopic variceal ligation,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요법), 경희의료원
2011-09 Esophageal varices rebleeding으로 본원 소화기내과 입원하여 EVL
② 일반혈액검사결과 :
내용
검사치
정상치
RBC
2.97↓
4.0~5.4(10/uL)
Hb
11.0↓
12~16(g/dL)
Hct
31↓
36~48(%)
Platelet
145↓
150~400(10³/uL)
③ GFS결과 :
1/4 GFS
E.varix grade 3 with bleeding
식도 하부의 이전 EVL(Endoscopic variceal ligation,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요법) site는 scar change 되었으나 식도 상부의 varix bleeding 소견 관찰됨
1/27 GFS
prepyloric antrum, LC antrum(유문부 전부) : ulcer
portal hypertensive gastropathy(문맥압항진 위병증)
no evidence of active bleeding(출혈의 증거는 없음)
장기목표
대상자는 2월 2일까지 늘어난 식도정맥 벽에서 출혈이 없다.
단기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는 1월 31일까지 혈액검사결과에서 출혈의 지표(RBC, Hb, Hct, Platelet)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식도정맥류에서의 출혈증상을 관찰한다.
① 일반혈액검사와 소변, 대변 잠혈검사를 실시했다.(1/27 07:00)
② 3회/일, 활력징후를 측정했다.(1/27 14:00)
③ GFS(gastrofibroscopy, 위내시경)를 실시했다.(1/27 11:00)
식도정맥류의 출혈은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태로 심한 출혈과 저혈량 쇼크를 일으킨다.
대상자는 주호소로 토혈을 말했으나 응급실 내원당시 활동적인 출혈로 인해 토혈을 하는 상태는 아니었다. 1월 27일 실시한 위내시경에서 식도 상부의 식도정맥류에서 활동적인 출혈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1/31일 일반혈액검사에서 출혈의 지표(RBC, Hb, Hct, Platelet)는 정상범위를 유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활동적인 출혈 병변이 없고, 출혈의 지표가 정상수준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해 보인다.(1/31 21:00)
식도와 위점막의 출혈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요법을 실시한다.
① Indenol 40mg(염산프로프라놀롤 40mg)을 경구투약했다.(1/27 09:00)
② OMP 40mg(오메프라졸 40mg, 소화성궤양용제/위궤양, 십이지장궤양)을 경구투약했다.(1/27 09:00)
③ Gasmotin 5mg(모사프리드시트르산염 5.29mg, 소화기관용약/기능성 소화불량)을 경구투약했다.(1/27 09:00)
식도출혈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식도정맥류가 있는 대상자는 propranolol(Inderal LA)과 같은 장기 작용 베타차단제를 투여한다. 심박동수가 감소하고 간정맥압이 저하되면 출혈의 위험성이 감소된다.
식도정맥류 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관리를 교육한다.
①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힘을 많이주는 운동은 피하도록 교육했다.(1/30 15:00)
② 배변 곤란 시 처방된 lactulose 시럽을 복용하도록 교육했다.(1/30 15:00)
복압을 증가시키는 활동이 정맥류 출혈을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Ⅲ. 결론
노님은 5년 전 알코올성 간경변을 진단받은 후, 식도정맥류 출혈로 4~5차례 입, 퇴원력이 있는 대상자로 2012년 1월 17일~1월 20일, 위궤양과 출혈로 입원하여 PPI(proton pump inhibitor)투여 및 f/u GFS을 시행하여 식이진행하며 퇴원 고려하던 중 무단외출로 강제퇴원 된 대상자다.
내원 3일전부터 복수의 양이 늘기 시작하였고, 내월 2일전부터 소변 량이 평소 종이컵 한 컵에서 반 컵 정도로 줄었다고 말했고, 내원 당일 호흡곤란이 동반되어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여 입원했다.
2011년 7월, 9월 두 차례에 걸쳐 EVL(Endoscopic variceal ligation,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요법)을 시행했다.
대상자는 복수와 관련된 호흡곤란으로 인해 응급실로 내원했고 응급실에서 복수천자를 실시, 2L의 복수를 배액했다. 식이제한(저염식이)과 약물요법으로 Spiracton 50mg, Lasix 40mg을 경구 투약했다. 혈청 나트륨 수준이 정상적이므로 수분은 제한하지 않았다. 1월 31일 체중측정 결과, 50.7kg으로 목표인 48.27kg을 획득하지는 못했으나 체중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다.
대상자는 주호소로 토혈을 말했으나 응급실 내원당시 활동적인 출혈로 인해 토혈을 하는 상태는 아니었다. 1월 27일 실시한 위내시경에서 식도 상부의 식도정맥류에서 활동적인 출혈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1/31일 일반혈액검사에서 출혈의 지표(RBC, Hb, Hct, Platelet)는 정상범위를 유지하지 못했다. 그러나 활동적인 출혈 병변이 없고, 출혈의 지표가 정상수준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해 보인다.
추천자료
간호진단 case study
간호학 결장암Case study
성인간호학 케이스!! 대동맥 박리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제왕절개 (C-Sec)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자궁내막증 (Endometriosis)
노인간호학 Case Study - 파킨슨 (Parkinsons disease)
아동간호학 case study 천식(asthma)
ICU case study, Acute Myocardiac Infarction, AMI 케이스 스터디,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
모성간호학-제왕절개 case study
성인간호학 case study) 골절
노인간호학 case study A+ 받은 케이스입니다.
뇌경색 환자 사례 보고서/case study/cerebral infaction/피부통합성장애/피부손상/간호과정/...
폐렴 -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과정, 폐렴 간호진단, 폐렴 실습, 폐렴 CASE STUDY
모성간호A+ [자궁근종(myoma of uterus)-간호과정(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