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urpose
2. Introduction
3. Material & Supplies
4. Procedure
◎ Plasmid 분리 실험
◎ Agarose gel을 이용한 plasmid 전기영동
5. Result
◎ Plasmid 분리 실험
◎ Agarose gel을 이용한 plasmid 전기영동
6. Discussion(자필)
7. Refrence
2. Introduction
3. Material & Supplies
4. Procedure
◎ Plasmid 분리 실험
◎ Agarose gel을 이용한 plasmid 전기영동
5. Result
◎ Plasmid 분리 실험
◎ Agarose gel을 이용한 plasmid 전기영동
6. Discussion(자필)
7. Refrence
본문내용
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세포를 유지시켜가면서 세포벽만
깨야한다.
2) NaOH : DNA를 denaturation시킨다. Chromosomal DNA가 잘게 부서지지 않게 조심스럽게
처리한다.
3) SDS: ionic detergent로 세포막을 깨는 일을 한다.
4) Potassium acetate : Renature시키는 산성용액이다. 이렇게 해서 Chromosomal DNA는 SDS
와 potassium과 함께 엉기게 된다.
5) TE buffer ; EDTA는 세포벽의 integrity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calciumion을 제거하여
세포벽이 군데군데 무너지게 한다.
◎ Agarose gel을 이용한 plasmid 전기영동
가. 아가로즈를 열에 녹여 트리이에 부어 굳힌 모습
나. 로딩염료와 섞은 플라스미드를 홈에 넣은 모습
다. 전기영동하며 분리되는 모습이다. 하단부 쪽이 음극이고 상당부가 양극이다. 로딩염료의 성분인 Bromophenol blue는 보라색, Xylene cyanol FF는 파란색으로, 밀도에 따라 분리된다. 먼저 무거운 보라색부터 색이 나타나고 그다음으로 가벼운 파란색이 색을 띈다.
라. 전기영동을 끝낸 gel을 꺼내 EtBr에 10분간 담겨둔 후, 자외선 조사기로 확인 한 사진이다. 왼쪽은 standard인 lamda DNA, 오른쪽 2개는 저번 주에 분리한 plasmid이다. size marker인 lamda DNA의 A 크기는 위쪽부터 23kb, 9.4kb, 6.5kb, 2.3kb, 2kb 로 총 5개가 나타났다. 처음 예측에서는 7개의 크기로 예측
깨야한다.
2) NaOH : DNA를 denaturation시킨다. Chromosomal DNA가 잘게 부서지지 않게 조심스럽게
처리한다.
3) SDS: ionic detergent로 세포막을 깨는 일을 한다.
4) Potassium acetate : Renature시키는 산성용액이다. 이렇게 해서 Chromosomal DNA는 SDS
와 potassium과 함께 엉기게 된다.
5) TE buffer ; EDTA는 세포벽의 integrity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calciumion을 제거하여
세포벽이 군데군데 무너지게 한다.
◎ Agarose gel을 이용한 plasmid 전기영동
가. 아가로즈를 열에 녹여 트리이에 부어 굳힌 모습
나. 로딩염료와 섞은 플라스미드를 홈에 넣은 모습
다. 전기영동하며 분리되는 모습이다. 하단부 쪽이 음극이고 상당부가 양극이다. 로딩염료의 성분인 Bromophenol blue는 보라색, Xylene cyanol FF는 파란색으로, 밀도에 따라 분리된다. 먼저 무거운 보라색부터 색이 나타나고 그다음으로 가벼운 파란색이 색을 띈다.
라. 전기영동을 끝낸 gel을 꺼내 EtBr에 10분간 담겨둔 후, 자외선 조사기로 확인 한 사진이다. 왼쪽은 standard인 lamda DNA, 오른쪽 2개는 저번 주에 분리한 plasmid이다. size marker인 lamda DNA의 A 크기는 위쪽부터 23kb, 9.4kb, 6.5kb, 2.3kb, 2kb 로 총 5개가 나타났다. 처음 예측에서는 7개의 크기로 예측
키워드
추천자료
식물유전자 운반체
유전자 조작식품
항생제 완벽 정리 (antibiotics)
[유전공학]유전자재조합기술과 유전공학의 이용
2009년 2학기 식품미생물학 중간시험과제물 D형(유전자 재조합을 통한 균주 개량 기술)
E.coli toxin
유전체 Chapter 15 Microbial Genomics 정리
simian virus 40
경희대학교 분자생물학 실험 (SUBCLONING, GST)
경희대학교 분자생물학 실험보고서 DNA subcloning - Competent cell (Com.cell), 암피실린
3주차 mini prep 미니 프랩 A+ 보고서
미생물(원핵세포, 진핵세포)
[식품위생학]유전자변형 식품과 방사선조사 식품의 이해
LAB 02: 대장균으로부터 chromosomal DNA의 분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