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수학, 과학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 수학, 과학 교육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수학에 대한 오해와 편견

본문내용

이은 산업
화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인쇄술의 등장은 지식의 보급을 가속화시켜 서구 사회를 근본적
으로 바꾸어 놓았다.
① 기술로 세운 나라, 로마 (김경현, 고려대학교 교수)
② 인류 문명은 여전히 철기문화의 틀 안에 있다 (임경순, 포항공과대학교수)
③ 중세에도 사회의 절실한 필요에 부응하는 과학기술의 발전이 있었으며,
때로는 그것이 사회를 변혁시키기도 했다 (박흥식, 서울대학교 교수)
④ 과학기술은 인간에게 매우 유용하지만 때론 인간을 지배하고 억압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남종국, 동국대학교 교수)
⑤ 과학기술의 발전은 때로 인간사회와 문명을 파괴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주경철, 서울대학교 교수)
⑥ 새로운 기술은 새로운 세계를 창조한다 (이영림, 수원대학교 교수)
⑦ 과학은 기술이 아니라 사고하는 게임의 룰이다 (정해경, KAIST교수)
⑧ 과학의 생활화는 현대인의 운명이다 (이영석, 광주대학교 교수)
⑨ 과학기술은 인간이 만드는 문화의 일부다 (김기윤, 한국과학사학회 회장)
2) 세계의 역사를 바꾸다 - 근대와 현대의 과학기술 -
뉴턴에 의한 근대 과학혁명은 산업혁명을 거쳐 진화론으로 이어져 20세기 녹색혁명, 생
명과학, 정보화 시대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우주를 향한 도전도 시작했다. 인류역사상 처
음으로 풍요롭고 건강하고 안정하고 편리한 삶을 누릴 수 있었다. 그러나 대량 살상 무기
의 개발과 환경오염은 오늘날 우리가 해결해야할 가장 심각한 문제 가운데 하나가 되었
다. 과학기술을 이용하지 않고는 결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다.
① 분업과 대량 생산 체제는 현대 물질문명의 뼈대다 (신정완, 성공회대학교 교수)
② 증기기관은 교통혁명을 불러왔다 (김상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③ 과학기술은 전쟁에 쓰여 문명을 파괴하기도 했다 (홍성욱, 서울대학교 교수)
④ 새로운 에너지가 새로운 삶을 만든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교수)
⑤ 정보기술은 사회관계를 바꾸는 힘이다 (박희제, 경희대학교 교수)
⑥ 인간이 하늘을 날게 되면서 세계는 좁아졌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교수)
⑦ 과학기술이란 스스로의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인류가 동원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 가운데 하나 (이재담, 울산대학교 교수)
⑧ 우주는 마지막 미개척지다 (이주진, 한국항공연구원)
과학기술은 ⑨ 인류를 구해냈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교수)
⑩ 과학기술이 대중문화를 만들다 (원광연, KAIST교수)
⑪ 생명코드의 비밀을 풀면 21세기 생명 진화의 방향을 알 수 있다
(서정선, 서울대학교 교수)
⑫ 지구가 건강해야 인류가 행복하다 (홍욱희, 세민환경연구소 소장)
3) 선진 사회의 기틀을 이루다 대한민국의 과학기술-
오늘날 우리가 IT강국으로 우뚝 서게 된 것도 한글에서 비롯된 우리의 문화적 저력 덕분
이다. 낯선 과학기술 문명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열린 자세 덕분에 시뻘건 민둥산이 울
창한 숲으로 변했고, 극심한 보릿고개를 극복했으며, 전 세계가 놀란 한강의 기적을 이룩
했다. 순수한 우리의 자본과 기술력으로 완성한 고속도로. 자동차 산업. 전전자식 교환기.
IT산업개발은 우리 역사에 길이 남을 놀라운 성과다.
① 우리말과 글이 우리 정체성이다 (진용옥, 경희대학교 교수)
② 거북선은 한국 전통 무기 기술의 총아 (문중앙, 서울대학교 교수)
③ 문명의 앞에는 숲이 있고, 문명의 뒤에는 사막이 남는다
(문만용, 서울대학교 연구원)
④ 인간과 자연을 위한 가장 뛰어난 발명품은 과학이다 (김정규, 고려대학교 교수)
⑤ 기술발전이 불러온 한강의 기적 (이상철, 성공회대학교 교수)
⑥ 속도는 과학기술의 척도이다 (송달호, 한국철도기술연구원장)
⑦ 자동차는 현대문명의 꽃이요, 기술의 총아다 (송성수, 부산대학교 교수)
⑧ 교환기 개발로 1가구 1전화의 꿈을 이루다 (박항구,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연구원)
⑨ 스포츠 과학은 삶의 질을 바꾼다 (이종각, 체육과학연구원원장)
⑩ 강국은 콘텐츠 개발로 완성된다 (이광형, KAIST 교수)
4) 꿈을 현실로 만들다 미래의 과학기술 -
정보기술과 나노 기술이 접목된 나노 기계와 지능형 로봇의 등장은 우리의 생활을 근본
적으로 바꿔놓을 것이다. 바이오 기술을 이용한 신약과 유비쿼터스 건강관리 시스템은 이
미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 사회를 더욱 건강하고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이다. 강력한
레이저를 이용한 기술과 첨단소재도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새로
운 기술의 등장이 우리의 미래를 더욱 풍요롭고 안전하게 만들어 줄 것은 분명한 사실이
다.
① 신약과 바이오 장기는 BT의 꽃이다 (나도선, 울산대학교 교수)
② 건강관리 기술은 새로운 성장 동력이다 (이덕환, 서강대학교 교수)
③ 작은 것이 꿈을 이룬다 (김태송, KAIST 책임연구원)
④ 인류의 생존이 식물생명공학에 달려 있다 (최양도, 서울대학교 교수)
⑤ 인간은 로봇을 만들고, 로봇은 인간을 돕는다 (전의진, 인천정보산업진흥원 원장)
과학기술이란 무한한 상상과 유한한 ⑥ 현실을 잇는 교량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⑦ 과학기술은 미래를 낳는 현재의 어머니다 (이경수, 핵융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
⑧ 광자(光子) 문명시대를 여는 빛, 레이져 (이종민,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⑨ 소재가 없다면 발명도 없다 (이용태,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 연구소 책임연구원)
2. 우리의 생활과 과학
1) 부엌에 있는 과학
- 냉장고, 가스레인지, 전기포트, 싱크대, 수돗물, 전기, 밥솥, 도깨비 방망이, 녹즙기,
믹서기, 가위, 칼과 도마, 체, 계량컵, 세제(비누거품) 등등
2) 실생활의 문제해결을 위한 과학
- 안마기, 고무발린 장갑, 일인용 선풍기,
3) 과학의 인간화
- 과학은 삶의 가치를 지지하고, 문화를 만들며, 생명을 이해하고 돌보며 배려한다.
참고문헌
보육과정. 이순영외 공저.학지사
현대유아교육과정, 임재택, 양서원.
유아교육 프로그램 \"이론과 적용실제\",이기숙, 교문사.
보육학개론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Page 211~214
영유아 보육. 교육프로그램의 이해 이순형 외 공저 학지사
아동복지 / 전남련 / 형설출판사
보육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재)한국보육진흥원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11.07
  • 저작시기201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4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