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소멸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영어 공용화\'가 피할 수 없는 시대의 파도일지라도 우선 한국어에 대한 완전한 정체성 설립의 과정이 먼저 이루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
\'영어 공용화\'는 한글이 국민들에게 정신적 뿌리로 자리를 잡고, 그만큼의 진정성을 부여 받은 뒤에 실행해도 늦지 않다. \'영어 공용화\'라는 관점을 논하기 전에 우리 사회에서 우리글 \'한글\'이 얼마나 대우 받고 있는지 돌이켜 보는 태도가 중요하다. 영어, 하다못해 일본어 및 각종 세계어에 밀려 민족어로서의 위상을 지키고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허울상 통용되고 있는 민족어인지 한글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재조명 하는 것이 가장 일차적인 문제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영어 공용화\'에 대한 찬반 어느 한 쪽의 손도 들지 않았다. 글로벌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이 \'영어 공용화\'라면 차용하되 우리의 기반과 전통이 자리하고 있는 건실한 민족어로서의 \'한글\'을 가장 일차적인 문제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 결론이다.
참고 문헌
염지숙, 「유아들의 경험으로부터 본 조기유학의 빛과 그늘」,『한국 열린 유아 교육 학회』, 2008
황혜신, 「유아의 조기영어교육과 이중 언어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한국생활과학회』, 2007
오상현, 『굿모닝팝스 영어칼럼』, 3월호, 2006
정민우, 「기업하기 좋은 나라가 되려면 영어를 시작하자」『매일경제』, 2008. 01.10
최종호, 「푸에르토리코의 이중언어 상황과 한국에서의 영어공용화 문제」, 『한국스페인어문학회』,2004
복거일, 「영어공용화가 교육기회의 불평등을 줄인다」,『한국논단』,2000
\'영어 공용화\'는 한글이 국민들에게 정신적 뿌리로 자리를 잡고, 그만큼의 진정성을 부여 받은 뒤에 실행해도 늦지 않다. \'영어 공용화\'라는 관점을 논하기 전에 우리 사회에서 우리글 \'한글\'이 얼마나 대우 받고 있는지 돌이켜 보는 태도가 중요하다. 영어, 하다못해 일본어 및 각종 세계어에 밀려 민족어로서의 위상을 지키고 있는지, 그렇지 않다면 허울상 통용되고 있는 민족어인지 한글에 대한 우리의 시각을 재조명 하는 것이 가장 일차적인 문제일 것이다. 본고에서는 \'영어 공용화\'에 대한 찬반 어느 한 쪽의 손도 들지 않았다. 글로벌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이 \'영어 공용화\'라면 차용하되 우리의 기반과 전통이 자리하고 있는 건실한 민족어로서의 \'한글\'을 가장 일차적인 문제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 결론이다.
참고 문헌
염지숙, 「유아들의 경험으로부터 본 조기유학의 빛과 그늘」,『한국 열린 유아 교육 학회』, 2008
황혜신, 「유아의 조기영어교육과 이중 언어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한국생활과학회』, 2007
오상현, 『굿모닝팝스 영어칼럼』, 3월호, 2006
정민우, 「기업하기 좋은 나라가 되려면 영어를 시작하자」『매일경제』, 2008. 01.10
최종호, 「푸에르토리코의 이중언어 상황과 한국에서의 영어공용화 문제」, 『한국스페인어문학회』,2004
복거일, 「영어공용화가 교육기회의 불평등을 줄인다」,『한국논단』,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