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놀이연구논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상놀이연구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연구 문제 및 가설

3. 이론적 배경

4. 연구방법

5. 결과 및 해석

6. 논의 및 결론

느낀점:

본문내용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역할 언어는 6세 유아, 성별에 있어서는 여아가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해설 언어의 가작화
해설 언어의 가작화는 남.여간, 그리고 5.6세 유아간에도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11. 효과음의 가작화
남아가 여아보다 효과음의 가작화를 1%정도 더 많이 하였다.
B.유아의 상상놀이와 감정조망
변 량 원
자 승 화
자 유 도
변량추정치
F
상상놀이 참여빈도
96.82
1
96.82
84.70**
성 별
.12
1
.12
.11
연 령
6.38
1
6.38
5.59
상상놀이참여빈도×성별
.22
1
.223
.19
상상놀이참여빈도×연령
.14
1
.14
.12
성별× 연령
1.04
1
1.04
.91
상상놀이참여빈도× 성× 연령
.00
1
00
.00
집 단 내
82.29
72
1.14
전 체
190.20
79
상상놀이에 높게 참여한 집단이 낮게 참여한 집단보다 감정조망수용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6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감정조망수용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6. 논의 및 결론
A. 논의
1. 상상놀이 가작화 요소
상상놀이에서 주로 가작화에 사용된 사물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여아는 남아보다 실물과 유사한 사물 또는 사물을 사용하지 않고 가작화를 많이 하였다.
그러나 남아는 여아보다 실물과 다른 사물로 더 많이 가작화 하였다.
유아가 상상놀이에서 가작화하는 행동도 성별에 따라 차이를 나타냈다. 즉 여아가 남아보다 더 많이 행동의 주체자로서 가작화 하였고, 남아는 다른 사물을 통한 행동으로 더 많이 하였다. 상상놀이에서 가작화 되는 역할은, 본 연구결과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났다. 여아는 남아보다 가족 역할을 많이 하고, 남아는 여아보다 허구적 역할을 많이 하였다. 즉 여아는 아빠,엄마의 소꿉놀이와 같은 가정적(Domestic) 이며 정적(Sedentary)인 역할을 많이 하였고 남아는 괴물, 우주인, 로봇, 슈퍼맨, 헐크와 같은 허구적 역할을 많이 하였다. 따라서 여아는 남아보다 더욱 동일시의 대상으로써 엄마와 가족의 역할을 모방한다고 볼 때 가정에서의 부모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 된다고 볼 수 있다.
2. 상상놀이와 감정조망
상상놀이의 참여도와 감정조망 분석결과, 상상놀이에 높게 참여한 유아가 낮게 참여한 유아보다 감정조망수용에서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그러므로 상상놀이와 정서발달은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상놀이는 특히 정서적 문제가 있는 유아들에게 상상놀이의 기회를 제공해 줄때에 더욱 큰 결과를 기대 할 수 있다고 가정해 본다.
B. 결 론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상상놀이 가작화 요소에 대한 성별 .연령에 따른 차이
1) 여아가 남아보다 더 많이 실물과 유사한 사물로 가작화를 하였다.
2) 남아가 여아보다 실물과 다른 사물로 더 많이 가작화 하였다.
3) 여아가 남아보다 더 많이 사물을 사용하지 않고 가작화 하였다.
4) 여아가 남아보다 자신의 행동의 주체자가 되어 가작화를 더 많이 하였다.
5) 여아가 남아보다 가족역할을 더 많이 하였다.
6) 현실적 역할의 가작화는 성별.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다.
7) 남아가 여아보다 더 많이 허구적 역할을 하였다.
8) 역할 언어의 가작화는 여아 그리고 6세가 더 많이 역할언어를 사용하였다.
9) 해설 언어의 가작화는 성별.연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10) 남아가 여아보다 효과음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2. 상상놀이와 감정조망
상사놀이 참여도(P.01), 연령(P.05) 은 감정조망수용과 각각 유의수준 1%, 5%하에서 의의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즉 상상놀이에 많이 참여한 유아가 적게 참여한 유아보다 감정조망수용에서 저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리고 6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느낀점:
사물을 다른 것으로 가정해서 노는 것이 상상놀이인데 말로만 듣던 논문을 요약하면서 연구사례를 공부하는 유익한 시간이 되었고 상상놀이를 통해서 정서적 문제가 있는 유아들에게 상상놀이의 기회를 제공 해 줄때에 더욱 큰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하니 놀이치료로도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
유아의 성별에 따라 역할의 차이가 다르고 유아들의 동일시 대상인 부모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딸아이와 어린이집유아들에게 더 많은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도록 돕는 엄마 같은 선생님이 되고 싶습니다.
  • 가격3,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11.12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54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