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Title : 간단한 유리세공
2. introduction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5. Procedure
6. Result
7. Discussion & Feeling
2. introduction
3. Principle & Theory
4. Apparatus & Reagents
5. Procedure
6. Result
7. Discussion & Feeling
본문내용
유리세공
2. introduction
실험실에서 실험을 할 경우 유리관을 구루부리거나 용접하는 등 유리세공을 해야 할 때가 많다. 따라서 실험실에서는 간단한 유리실험 기구를 스스로 만들어서 사용할수 있는 능력을 가지도록 하기위해서다.(유리관이 화학반응 강산엽기에도 잘 견디며 일반적인 실험에서고 잘 견디기 때문이다)
3. Principle & Theory
(1)원리
유리는 완전한 결정체가 아니며 녹는점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유리를 가열하면 점점 물렁물렁 해지면서 다루기 쉽게 된다. 바로 이점 때문에 유리를 세공할수 있으며 우리가 필요로 하는 유리기구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소오다-석회 유리는 소오다 석회 및 실리카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만든다. 그렇기 때문에 300~400도 사이에서 쉽게 물렁물렁 해진다. 이러한 유리관은 쉽게 구부려진다. 그러나 이 유리의 열팽창 계수가 크기 때문에 가열과 냉각을 서서히 해야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서서히 가열하며 균일하게 냉각시키는 스루기를 해야한다. 유리가 뜨거울때 표면에 높아서는 안된다. 모로 규산염 유리는 700~800도 아래에서 부드러워 지지 않기 때문에 산소-천연가스 불꽃과 같은 높은 불꽃을내는 장치를 써야한다. 열팽창계수가 낮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변화에도 잘 견딘다.
(2) 결정성 고체와 비결정성 고체
①결정성고체 - 원자, 분자, 이온 등이 특별한 모양으로 견고하고 넓은 규칙성을 가진 고체.
성질 파악이 용이(규칙성이 있기 때문)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상의 변화가 가능하다.
②비결정성고체 - 구조가 결정화되어 있지 않은 고체, 무정형 고체라고도 한다. 원자들이 규칙적인 3차원배열을 하지 않는다. 규칙성이 없기 때문에 성질파악이 힘들고, 일관성이 없으며 , 범위를 갖는다.
*비결정성 고체는 일정한 녹는점이 없다. (넓은 온도범위에서 점차 액체로 변함)
ex) 아교, 유리, 엿, 아스팔트, 고무, 플라스틱 등
(3)유리의 성질
유리란 고체처럼 보이는 물질을 말한다. 그러나 사실은 과냉각된 액체이다. 즉 유리는 정상적인 어는점에서 고체상이 석출되지 않고 더욱 냉각될 액체이다. 점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유리는 고체에 해당하는 몇가지 성질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딱딱하고 특정한 모양을 가지며 깨지는 성질을 갖는다.
그러나 유리와 진짜 고체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①균일시
·유리 : 여러방향으로 나타나며 파편모양도 여러 가지이다.
·결정성고체 : 일정한
2. introduction
실험실에서 실험을 할 경우 유리관을 구루부리거나 용접하는 등 유리세공을 해야 할 때가 많다. 따라서 실험실에서는 간단한 유리실험 기구를 스스로 만들어서 사용할수 있는 능력을 가지도록 하기위해서다.(유리관이 화학반응 강산엽기에도 잘 견디며 일반적인 실험에서고 잘 견디기 때문이다)
3. Principle & Theory
(1)원리
유리는 완전한 결정체가 아니며 녹는점이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유리를 가열하면 점점 물렁물렁 해지면서 다루기 쉽게 된다. 바로 이점 때문에 유리를 세공할수 있으며 우리가 필요로 하는 유리기구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소오다-석회 유리는 소오다 석회 및 실리카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만든다. 그렇기 때문에 300~400도 사이에서 쉽게 물렁물렁 해진다. 이러한 유리관은 쉽게 구부려진다. 그러나 이 유리의 열팽창 계수가 크기 때문에 가열과 냉각을 서서히 해야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서서히 가열하며 균일하게 냉각시키는 스루기를 해야한다. 유리가 뜨거울때 표면에 높아서는 안된다. 모로 규산염 유리는 700~800도 아래에서 부드러워 지지 않기 때문에 산소-천연가스 불꽃과 같은 높은 불꽃을내는 장치를 써야한다. 열팽창계수가 낮기 때문에 급격한 온도변화에도 잘 견딘다.
(2) 결정성 고체와 비결정성 고체
①결정성고체 - 원자, 분자, 이온 등이 특별한 모양으로 견고하고 넓은 규칙성을 가진 고체.
성질 파악이 용이(규칙성이 있기 때문)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상의 변화가 가능하다.
②비결정성고체 - 구조가 결정화되어 있지 않은 고체, 무정형 고체라고도 한다. 원자들이 규칙적인 3차원배열을 하지 않는다. 규칙성이 없기 때문에 성질파악이 힘들고, 일관성이 없으며 , 범위를 갖는다.
*비결정성 고체는 일정한 녹는점이 없다. (넓은 온도범위에서 점차 액체로 변함)
ex) 아교, 유리, 엿, 아스팔트, 고무, 플라스틱 등
(3)유리의 성질
유리란 고체처럼 보이는 물질을 말한다. 그러나 사실은 과냉각된 액체이다. 즉 유리는 정상적인 어는점에서 고체상이 석출되지 않고 더욱 냉각될 액체이다. 점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유리는 고체에 해당하는 몇가지 성질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딱딱하고 특정한 모양을 가지며 깨지는 성질을 갖는다.
그러나 유리와 진짜 고체사이에는 중요한 차이가 있다.
①균일시
·유리 : 여러방향으로 나타나며 파편모양도 여러 가지이다.
·결정성고체 : 일정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