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목차
7회 채태수는 시간을 따라서 상벌을 시행하며 왕소이는 얼굴을 돌려 사람의 염량세태를 일으키다
8회 3의방에서 수레굴대로 더러움을 받고 두 현인이 장에서 말을 팔아서 호걸을 알아보다.
8회 3의방에서 수레굴대로 더러움을 받고 두 현인이 장에서 말을 팔아서 호걸을 알아보다.
본문내용
진숙보가 4,5량의 은자를 계산하여 기일은 또 배안에 먹고 또 고향에도 돌아가지 않아서 여전히 가기고 갔다.
小二已有些不悅之色。
소이이유사불열지색
왕소이는 이미 기쁘지 않은 안색이 있었다.
叔寶回店,坐在房中納悶 [na//men(r)]:1) 답답하다 2) 갑갑해하다 3) 답답해 하다
。
숙보회점 좌재방중납민
진숙보가 가게에 돌아가서 방안에서 답답해 했다.
世盡肉眼,誰能別奇珍 奇珍 [qizhn]:진기한 물건
?
거세진육안 수능별기진
온 세상에 모두 육안이 있어서 누가 기이한 보배를 구별하겠는가?
所以英雄士,碌碌 碌碌 [lulu]:1) 녹록하다 2) 평범한 모양 3) 사무가 번잡하고 쓸데없이 바빠 고생하는 모양
多湮論。
소이영웅사 녹록다연론
영웅의 선비는
王小二就是逼命 逼命 [b//ming]:1) 들볶다 2) 폭력으로 위협하다 3) 생명을 위협하다
一般,又走將進來,向叔寶道:“老人家再尋些什錢 [zhiqian]:1) 값어치가 있다 2) 값나가다 3) 값지다
的東西當罷!”
왕소이취시핍명일반 우주장진래 향숙보도 니노인가재심사심마치전적동서당파
왕소이가 생명을 위협하듯이 또 들어와서 진숙보를 향하여 말했다. “네 노인들은 다시 어떤 돈 가치가 있는 것을 찾아서 끝내겠는가?”
叔寶道:“小二哥,好!我公門 公 [gngmen]:관청의 문, 관공서의 총칭
中道路,除了隨身兵器,難道帶什金寶玩物 玩物 [wanwu]:1) 감상품 2) 노리개 3) 노리갯감
不成?”
숙보도 소이가 니호매 아공문중도로 제료수신병기 난도대심마금보완물불성
진숙보가 말했다. “왕소이 형님 당신은 바보요! 내가 공문의 도로에 몸에 지닌 병기를 제외하고 어떤 지닌 금은보화의 노리개가 완성되지 않았다고 합니까?”
小二道:“顧不的老人家。”
소이도 고불적니노인가
왕소이가 말했다. “네 노인댁을 돌아보지 못했습니다.”
叔寶道:“我騎這匹黃驃馬,可有人要?”
숙보도 아기저필황표마 가유인요?
진숙보가 말했다. “내가 이런 황표마를 타고 온 말은 필요한 사람이 있습니까?”
小二道:“秦爺在我家住有好幾時,再不曾說這句;說什金裝,我這潞州人,金了還認做假的,那曉得有用的兵器!若說起馬來,我們這裏是旱地 旱地 [handi]:1) 밭 2) 육지
,若大若小人家,都有脚力 脚力 [jioli]:1) 다리 힘 2) 짐꾼 3) 운임
。我看秦爺這匹黃驃,倒有幾步好走,若是肯賣,早先回家,公事都完了。”
소이도 진야재아가주유호기시 재부증설저구 설심마금장간 아저로주인 진금료환인주가적 나효득유용적병기 약설기마래 아문저리시한지 약대약소인가 도유각력 아간진야저필황표 도유기보호주 약시긍매 조선회가 공사도완료
왕소이가 말했다. “진어르신은 우리 집에서 좋게 몇시간 있었는데 다시 이런 구절을 설명하지 마십시오. 어떤 금 장식 수레굴대를 말해도 저는 이 노주 사람이며 진금은 다시 가짜로 인식되니 어찌 유용한 병기라고 여기겠습니까? 만약 말을 말하면 우리들은 이렇게 물 안댄 밭이 있는데 만약 크고 작은 사람들이 모두 다리 힘이 있습니다. 내가 진어르신이 이렇게 황표마를 보니 반대로 몇 걸음 잘달릴 것 같으니 만약 팔 것 같으면 일찍 먼저 집에 돌아가서 공사를 모두 완료하십시오.”
叔寶道:“這是就有銀子的?”
숙보도 저시취유은자적
진숙보가 말했다. “이는 곧 은자가 아니겠습니까?”
小二道:“馬出門就有銀子進門。”
소이도 마출문취유은자진문
왕소이가 말했다. “말이 문을 나가면 은자는 문에 들어옵니다.”
叔寶道:“這裏的馬市,在所在?”
숙보도 저리적마시 재즘마소재
진숙보가 말했다. “이곳의 마시장은 어디에 있습니까?”
小二道:“就在西門裏大街上。”
소이도 취재서문리대가상
왕소이가 말했다. “서문안에 큰 길가에 있습니다.”
叔寶道:“什時候去?”
숙보도 즘마시후거
진숙보가 말했다. “어떤 시기에 가십니까?”
小二道:“五更時開市,天明就散市了。”
소이도 오경시개시 천명취산시료
왕소이가 말했다. “5경에 시장을 열어서 낡이 밝으면 곧 시장을 해산합니다.”
小二叫妻子收拾飯與秦爺吃了,明日五更天,要去賣馬。
소이규처자수습만반여진야흘료 명일오경천 요거매마
왕소이는 처자에게 저녁밥을 수습하고 진어르신이 먹게 하며 내일 5경날에 말을 팔러 가려고 했다.
叔寶這一夜好難過,生錯過 [cuoguo] :1) 놓치다 2) 스치고 지나가다 3) 잘못
了馬市,又是一日,如坐針氈 如坐針氈(모전 전; -총17획; zhan): 바늘방석에 앉은 것 같다라는 뜻으로 불안(不安)하여 잠시(暫時)도 마음을 놓을 수 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出典 진서(晉書) 권34
。
숙보저일야호난과 생파착과료마시 우시일일 여좌침전
진숙보는 이렇게 하룻밤을 보내기 어려워서 마시장에 잘못 갈까 두려움이 생겨 또 하룻날에 마치 바늘방석에 앉은듯했다.
盼 盼(눈 예쁠 반; -총9획; pan)到 [pandao]:기다리고 바라던 대로 되다
到交五更 五更:새벽 3시- 5시
時候起來,將些冷湯 冷湯:찬물을 채워 놓은 탕
洗了,梳了頭。
반도교오경시후기래 장사냉탕세료검 소료두
바라던 대로 5경 시기에 일어나서 이 찬탕을 안검을 씻고 머리를 빗었다.
小二掌燈 掌 [zhng//dng]:1) 손에 등불을 들다 2) 등불을 붙이다
牽馬出槽 出槽 [chcao]:1) 범람하다 2) 넘치다
。
소이장등견마출조
왕소이는 등을 들고 말을 끌고 말구유를 나왔다.
叔寶將馬一看,叫聲 (숨, 어머나 애; -총16획; ai,ai,ai) (입 벌릴 하; -총7획; ya,ya,xia)
道:“馬都餓壞 [ehuai]:몹시 배가 고프다
在這里了!”
숙보장마일간 규성애아도 마도아괴재저리료
진숙보가 말을 한번 보니 아 탄식하며 말했다. “말이 모두 이 곳에서 몹시 배가 고프구나!”
人被他炎到這等田地,那個馬一發可知了。
인피타염량도저등전지 나개마일발가지료
사람이 그를 염량세태로 이런 전지에 도달하게 하니 말도 한번 출발함을 알았다.
自從算之後,不要說細料,連粗料也沒有得與他吃了,餓得那馬在槽頭嘶喊 嘶喊 [shn]:1) 고함치다 2) 외치다
。
자종산장지후 불요설세료 연조료야몰유득여타흘료 아득나마재조두시함
장부 계산을 다 한 뒤에 가는 사료를 설명 필요치 않고 연달아 거친 사료로 그 말에게 주어 먹이지 못하니 굶은 이 말은 구유 머리에서 울부짖었다.
婦人心慈,又不會 (작도 찰; -총17획; ca)
草,瞞了丈夫,兩束長頭草 長頭草 (
小二已有些不悅之色。
소이이유사불열지색
왕소이는 이미 기쁘지 않은 안색이 있었다.
叔寶回店,坐在房中納悶 [na//men(r)]:1) 답답하다 2) 갑갑해하다 3) 답답해 하다
。
숙보회점 좌재방중납민
진숙보가 가게에 돌아가서 방안에서 답답해 했다.
世盡肉眼,誰能別奇珍 奇珍 [qizhn]:진기한 물건
?
거세진육안 수능별기진
온 세상에 모두 육안이 있어서 누가 기이한 보배를 구별하겠는가?
所以英雄士,碌碌 碌碌 [lulu]:1) 녹록하다 2) 평범한 모양 3) 사무가 번잡하고 쓸데없이 바빠 고생하는 모양
多湮論。
소이영웅사 녹록다연론
영웅의 선비는
王小二就是逼命 逼命 [b//ming]:1) 들볶다 2) 폭력으로 위협하다 3) 생명을 위협하다
一般,又走將進來,向叔寶道:“老人家再尋些什錢 [zhiqian]:1) 값어치가 있다 2) 값나가다 3) 값지다
的東西當罷!”
왕소이취시핍명일반 우주장진래 향숙보도 니노인가재심사심마치전적동서당파
왕소이가 생명을 위협하듯이 또 들어와서 진숙보를 향하여 말했다. “네 노인들은 다시 어떤 돈 가치가 있는 것을 찾아서 끝내겠는가?”
叔寶道:“小二哥,好!我公門 公 [gngmen]:관청의 문, 관공서의 총칭
中道路,除了隨身兵器,難道帶什金寶玩物 玩物 [wanwu]:1) 감상품 2) 노리개 3) 노리갯감
不成?”
숙보도 소이가 니호매 아공문중도로 제료수신병기 난도대심마금보완물불성
진숙보가 말했다. “왕소이 형님 당신은 바보요! 내가 공문의 도로에 몸에 지닌 병기를 제외하고 어떤 지닌 금은보화의 노리개가 완성되지 않았다고 합니까?”
小二道:“顧不的老人家。”
소이도 고불적니노인가
왕소이가 말했다. “네 노인댁을 돌아보지 못했습니다.”
叔寶道:“我騎這匹黃驃馬,可有人要?”
숙보도 아기저필황표마 가유인요?
진숙보가 말했다. “내가 이런 황표마를 타고 온 말은 필요한 사람이 있습니까?”
小二道:“秦爺在我家住有好幾時,再不曾說這句;說什金裝,我這潞州人,金了還認做假的,那曉得有用的兵器!若說起馬來,我們這裏是旱地 旱地 [handi]:1) 밭 2) 육지
,若大若小人家,都有脚力 脚力 [jioli]:1) 다리 힘 2) 짐꾼 3) 운임
。我看秦爺這匹黃驃,倒有幾步好走,若是肯賣,早先回家,公事都完了。”
소이도 진야재아가주유호기시 재부증설저구 설심마금장간 아저로주인 진금료환인주가적 나효득유용적병기 약설기마래 아문저리시한지 약대약소인가 도유각력 아간진야저필황표 도유기보호주 약시긍매 조선회가 공사도완료
왕소이가 말했다. “진어르신은 우리 집에서 좋게 몇시간 있었는데 다시 이런 구절을 설명하지 마십시오. 어떤 금 장식 수레굴대를 말해도 저는 이 노주 사람이며 진금은 다시 가짜로 인식되니 어찌 유용한 병기라고 여기겠습니까? 만약 말을 말하면 우리들은 이렇게 물 안댄 밭이 있는데 만약 크고 작은 사람들이 모두 다리 힘이 있습니다. 내가 진어르신이 이렇게 황표마를 보니 반대로 몇 걸음 잘달릴 것 같으니 만약 팔 것 같으면 일찍 먼저 집에 돌아가서 공사를 모두 완료하십시오.”
叔寶道:“這是就有銀子的?”
숙보도 저시취유은자적
진숙보가 말했다. “이는 곧 은자가 아니겠습니까?”
小二道:“馬出門就有銀子進門。”
소이도 마출문취유은자진문
왕소이가 말했다. “말이 문을 나가면 은자는 문에 들어옵니다.”
叔寶道:“這裏的馬市,在所在?”
숙보도 저리적마시 재즘마소재
진숙보가 말했다. “이곳의 마시장은 어디에 있습니까?”
小二道:“就在西門裏大街上。”
소이도 취재서문리대가상
왕소이가 말했다. “서문안에 큰 길가에 있습니다.”
叔寶道:“什時候去?”
숙보도 즘마시후거
진숙보가 말했다. “어떤 시기에 가십니까?”
小二道:“五更時開市,天明就散市了。”
소이도 오경시개시 천명취산시료
왕소이가 말했다. “5경에 시장을 열어서 낡이 밝으면 곧 시장을 해산합니다.”
小二叫妻子收拾飯與秦爺吃了,明日五更天,要去賣馬。
소이규처자수습만반여진야흘료 명일오경천 요거매마
왕소이는 처자에게 저녁밥을 수습하고 진어르신이 먹게 하며 내일 5경날에 말을 팔러 가려고 했다.
叔寶這一夜好難過,生錯過 [cuoguo] :1) 놓치다 2) 스치고 지나가다 3) 잘못
了馬市,又是一日,如坐針氈 如坐針氈(모전 전; -총17획; zhan): 바늘방석에 앉은 것 같다라는 뜻으로 불안(不安)하여 잠시(暫時)도 마음을 놓을 수 없음을 비유한 말이다. 出典 진서(晉書) 권34
。
숙보저일야호난과 생파착과료마시 우시일일 여좌침전
진숙보는 이렇게 하룻밤을 보내기 어려워서 마시장에 잘못 갈까 두려움이 생겨 또 하룻날에 마치 바늘방석에 앉은듯했다.
盼 盼(눈 예쁠 반; -총9획; pan)到 [pandao]:기다리고 바라던 대로 되다
到交五更 五更:새벽 3시- 5시
時候起來,將些冷湯 冷湯:찬물을 채워 놓은 탕
洗了,梳了頭。
반도교오경시후기래 장사냉탕세료검 소료두
바라던 대로 5경 시기에 일어나서 이 찬탕을 안검을 씻고 머리를 빗었다.
小二掌燈 掌 [zhng//dng]:1) 손에 등불을 들다 2) 등불을 붙이다
牽馬出槽 出槽 [chcao]:1) 범람하다 2) 넘치다
。
소이장등견마출조
왕소이는 등을 들고 말을 끌고 말구유를 나왔다.
叔寶將馬一看,叫聲 (숨, 어머나 애; -총16획; ai,ai,ai) (입 벌릴 하; -총7획; ya,ya,xia)
道:“馬都餓壞 [ehuai]:몹시 배가 고프다
在這里了!”
숙보장마일간 규성애아도 마도아괴재저리료
진숙보가 말을 한번 보니 아 탄식하며 말했다. “말이 모두 이 곳에서 몹시 배가 고프구나!”
人被他炎到這等田地,那個馬一發可知了。
인피타염량도저등전지 나개마일발가지료
사람이 그를 염량세태로 이런 전지에 도달하게 하니 말도 한번 출발함을 알았다.
自從算之後,不要說細料,連粗料也沒有得與他吃了,餓得那馬在槽頭嘶喊 嘶喊 [shn]:1) 고함치다 2) 외치다
。
자종산장지후 불요설세료 연조료야몰유득여타흘료 아득나마재조두시함
장부 계산을 다 한 뒤에 가는 사료를 설명 필요치 않고 연달아 거친 사료로 그 말에게 주어 먹이지 못하니 굶은 이 말은 구유 머리에서 울부짖었다.
婦人心慈,又不會 (작도 찰; -총17획; ca)
草,瞞了丈夫,兩束長頭草 長頭草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