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아동복지의 의의와 특징
2. 지지적 아동복지
3. 보충적 아동복지
(1) 영유아보육
(2) 피학대아동 보호사업
(3) 소득유지사업
4. 대리적 아동복지
(1) 입양
(2) 가정위탁
(3) 시설보호
5. 아동복지의 과제
<참고문헌>
2. 지지적 아동복지
3. 보충적 아동복지
(1) 영유아보육
(2) 피학대아동 보호사업
(3) 소득유지사업
4. 대리적 아동복지
(1) 입양
(2) 가정위탁
(3) 시설보호
5. 아동복지의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위해서 정부의 도움을 청하기보다는 자녀를 버릴 때(기아, 친권포기 등)만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잘못된 관행이 바뀌어야 한다. 즉, 요보호아동을 보호하기 위해서 먼저 가정을 지지하거나 보충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시설보호를 실시하더라도 조기에 가정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경제적 지원을 하되 사실상 가사조력과 생활지도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소년소녀가장세대 지원사업을 점차 폐지하고, 가정위탁보호, 공동생활가정사업 등을 활성화시켜야 한다.
넷째, 절도, 폭력, 약물오남용 등 문제행동을 하거나 정서장애, 행동장애 등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아동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사업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아동복지의 목표는 전체 아동의 건전한 성장이지만, 제한된 인력과 예산으로 우선 해야 할 사업은 문제행동을 하거나 적응능력이 떨어진 아동을 돌보는 일이다. 선진 외국에서는 문제행동을 하는 아동을 조기에 치료하거나 적절히 보호함으로써, 문제청소년이 되는 것을 막고,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여가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비행청소년과 범죄소년을 위해서는 분류심사원, 보호관찰소, 소년원 등 교정교호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작은 비행과 범죄를 되풀이하는 아동을 위한 전문기관은 거의 없다. 문제행동을 하는 아동을 전문적으로 조사하고, 판정하며, 분류하고, 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아동복지시설을 시급히 설립해야 한다. 일본의 경우에는 공립 아동상담소가 이 일을 병행하고 있는데,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아동상담소를 전문화시켜서 문제행동의 치료기능을 크게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아동복지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배출되어야 한다. 아동의 욕구와 문제가 다양화되면서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인력이 개발되어야 한다. 예컨대, 영유아보육의 업무는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로 전문화되고, 청소년복지는 청소년지도사, 장애인복지는 특수교사, 재활의학과 의사, 물리치료사 등으로 전문화되었다. 아동복지의 대상이 빈곤하거나 보호자가 없는 아동에서 문제행동을 하는 아동과 학대받는 아동으로 그 비중이 바뀌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인력도 보다 전문화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아동복지에 대한 학제간 연구, 다양한 실천 장에서 필요한 기법의 개발과 실습을 통한 학습 등이 더욱 절실하다. 아동복지를 위한 일반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와 함께 특정 아동복지영역에 대한 전문가로서 아동복지사가 필요한 시점이다.
<참고문헌>
장인협(1971), 아동복지연구, 수문사.
주정일/이소희(1981) 아동복지학, 교문사.
장인협(1981), (개정증보판) 아동복지연구, 수문사.
김영모 외3인(1983), 한국아동복지연구,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박용순(1999),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복지연구회(1984), 현대아동복지론,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장인협(1984), 아동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주정일/이소희(1992), (개정판) 아동복지학, 교문사.
이소희(1993), 유아복지, 형설출판사.
장인협/오정수(1993), (전정판) 아동/청소년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용교(1993), 한국청소년복지의 현실과 대안, 은평천사원 출판부.
이용교 외(2000), 한국의 아동복지학, 양서원.
이용교 외역(2000), 가정위탁보호, 인간과 복지.
김성이 외 8인(1993), 청소년복지론, 한국청소년개발원.
성영혜/김연진(1997), 아동복지, 동문사.
이숙종 외5인(1997), 아동복지의 이해, 학문사.
김현용 외5인(1997), 현대사회와 아동, 소화.
이종복 외5인(1998), 현대청소년복지론, 양서원.
표갑수(1998), (개정보완판) 아동/청소년복지론, 청주대학교 출판부.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1997), 아이들에게도 인권이 있다.
<관련사이트>
한국복지교육원 www.welfare.pe.kr
대한사회복지회 광주사무소 kjsws.hihome.com
보건복지부 www.mohw.go.kr
복지인마을 maeul.welfare.net
서울특별시립아동상담소 www.child.seoul.kr
유니세프한국위원회 unicef.or.kr
은평천사원 www.angelshaven.or.kr
한국보육시설연합회 아동보육종합정보망 educare.or.kr
한국복지재단 www.kwf.or.kr
한국어린이보호재단 www.gokids.co.kr
한국이웃사랑회 www.gni.or.kr
한인입양홍보회 www.mpak.co.kr
홀트아동복지회 www.holt.or.kr
넷째, 절도, 폭력, 약물오남용 등 문제행동을 하거나 정서장애, 행동장애 등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아동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사업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아동복지의 목표는 전체 아동의 건전한 성장이지만, 제한된 인력과 예산으로 우선 해야 할 사업은 문제행동을 하거나 적응능력이 떨어진 아동을 돌보는 일이다. 선진 외국에서는 문제행동을 하는 아동을 조기에 치료하거나 적절히 보호함으로써, 문제청소년이 되는 것을 막고,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여가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비행청소년과 범죄소년을 위해서는 분류심사원, 보호관찰소, 소년원 등 교정교호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작은 비행과 범죄를 되풀이하는 아동을 위한 전문기관은 거의 없다. 문제행동을 하는 아동을 전문적으로 조사하고, 판정하며, 분류하고, 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아동복지시설을 시급히 설립해야 한다. 일본의 경우에는 공립 아동상담소가 이 일을 병행하고 있는데, 우리 나라의 경우에도 아동상담소를 전문화시켜서 문제행동의 치료기능을 크게 강화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아동복지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배출되어야 한다. 아동의 욕구와 문제가 다양화되면서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한 인력이 개발되어야 한다. 예컨대, 영유아보육의 업무는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로 전문화되고, 청소년복지는 청소년지도사, 장애인복지는 특수교사, 재활의학과 의사, 물리치료사 등으로 전문화되었다. 아동복지의 대상이 빈곤하거나 보호자가 없는 아동에서 문제행동을 하는 아동과 학대받는 아동으로 그 비중이 바뀌면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할 인력도 보다 전문화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아동복지에 대한 학제간 연구, 다양한 실천 장에서 필요한 기법의 개발과 실습을 통한 학습 등이 더욱 절실하다. 아동복지를 위한 일반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와 함께 특정 아동복지영역에 대한 전문가로서 아동복지사가 필요한 시점이다.
<참고문헌>
장인협(1971), 아동복지연구, 수문사.
주정일/이소희(1981) 아동복지학, 교문사.
장인협(1981), (개정증보판) 아동복지연구, 수문사.
김영모 외3인(1983), 한국아동복지연구,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박용순(1999),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복지연구회(1984), 현대아동복지론,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장인협(1984), 아동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주정일/이소희(1992), (개정판) 아동복지학, 교문사.
이소희(1993), 유아복지, 형설출판사.
장인협/오정수(1993), (전정판) 아동/청소년복지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용교(1993), 한국청소년복지의 현실과 대안, 은평천사원 출판부.
이용교 외(2000), 한국의 아동복지학, 양서원.
이용교 외역(2000), 가정위탁보호, 인간과 복지.
김성이 외 8인(1993), 청소년복지론, 한국청소년개발원.
성영혜/김연진(1997), 아동복지, 동문사.
이숙종 외5인(1997), 아동복지의 이해, 학문사.
김현용 외5인(1997), 현대사회와 아동, 소화.
이종복 외5인(1998), 현대청소년복지론, 양서원.
표갑수(1998), (개정보완판) 아동/청소년복지론, 청주대학교 출판부.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1997), 아이들에게도 인권이 있다.
<관련사이트>
한국복지교육원 www.welfare.pe.kr
대한사회복지회 광주사무소 kjsws.hihome.com
보건복지부 www.mohw.go.kr
복지인마을 maeul.welfare.net
서울특별시립아동상담소 www.child.seoul.kr
유니세프한국위원회 unicef.or.kr
은평천사원 www.angelshaven.or.kr
한국보육시설연합회 아동보육종합정보망 educare.or.kr
한국복지재단 www.kwf.or.kr
한국어린이보호재단 www.gokids.co.kr
한국이웃사랑회 www.gni.or.kr
한인입양홍보회 www.mpak.co.kr
홀트아동복지회 www.holt.or.kr
추천자료
아동복지B,아동권리 이념의 발달과정에 대해 외국과 우리나라의 경우를 비교하여 논하고, 아...
아동복지법시행령과 아동복지법시행규칙을 최근 개정된 부분을 포함하여 요약하고 현행 아동...
아동복지론_ 아동복지의 발달과 동향 및 아동복지의 원칙과 실천을 위한 서비스의 분류와 기능
아동복지법 : 아동복지법이란 무엇인지 설명하고 아동복지법의 정책과 문제점에 대해 설명한...
아동복지실천대상의 특성과 개별접근방법 및 놀이치료에 대한 이해와 정리 {아동복지실천대상...
빈곤결식아동복지(결식아동지원, 빈곤아동지원서비스, 지원서비스문제, 빈곤아동지원개선방안)
아동청소년복지법에 규정되어 있는 복지생활시설의 종류를 나열하고 학대받는 아동이 자신의 ...
아동복지법의 주요목적과 내용을 개정된 내용으로 서술하고 아동복지정책의 개선 방안에 대해...
아동복지의 필요성과 아동복지의 학문적 위상에 대해 목차를 정해 정리하고 아동복지 필요성...
아동복지 실천에서 아동학대를 방지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아동학대...
아동복지시설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아동복지시설의 한 유형을 들어 소개 및 사회적 역할을 설...
아동복지론)우리나라 아동복지서비스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서 살펴본 후 아동복지서비스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