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복지국가에 걸맞는 복지재정구도의 정착은 연목구어인 셈이다.
셋째, 아직도 정부재정이 순증주의(純增主義, incrementalism)에 입각하고 있으므로 선진국형 재정구조를 이루기 위한 복지재정의 과감한 증액이나 비중조정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구조라는 점이다.
순증주의는 전년도 예산액이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서 객관적인 근거에 기초하기보다는 현상유지적이며 예산배정을 둘러싼 이해 세력들의 타협적 산물로 기능하기 용이한 방식이다.
넷째, 지방정부의 세입이 중앙에 의존적인 가운데 복지예산에 있어서는 중앙정부 사업의 대응예산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지방복지예산은 수동성 그 자체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표 7.)은 지방정부의 세입이 서울시와 광역시를 제외하고는 중앙정부의 교부금이나 양여금, 보조금 등에 의존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가운데 (표 8.)에서는 기능별 세출예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가운데 사회개발비 비중이 49.8%이며 이 중 사회보장비는 일반적으로 15%내외를 보이고 있음을 알려주는 표이다.
표 7. 2001년 지방세입의 구조(일반회계 순계) (단위 : %)
전국
47.9
12.3
17.0
8.1
14.2
0.5
서울특별시
86.3
9.1
4.4
0.1
광역시
66.4
7.2
3.0
5.9
17.0
0.6
도
36.9
4.4
12.8
9.6
36.0
0.3
시
38.9
21.7
27.6
10.5
0.8
0.6
군
15.0
12.6
53.7
17.2
0.4
1.0
지방세 세외수입 지방교부세 지방양여금 보조금 지방세
표 8. 2001년도 기능별 세출예산
구분
전국
셋째, 아직도 정부재정이 순증주의(純增主義, incrementalism)에 입각하고 있으므로 선진국형 재정구조를 이루기 위한 복지재정의 과감한 증액이나 비중조정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구조라는 점이다.
순증주의는 전년도 예산액이 가장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는 방식으로서 객관적인 근거에 기초하기보다는 현상유지적이며 예산배정을 둘러싼 이해 세력들의 타협적 산물로 기능하기 용이한 방식이다.
넷째, 지방정부의 세입이 중앙에 의존적인 가운데 복지예산에 있어서는 중앙정부 사업의 대응예산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지방복지예산은 수동성 그 자체에 머물러 있다는 점이다. (표 7.)은 지방정부의 세입이 서울시와 광역시를 제외하고는 중앙정부의 교부금이나 양여금, 보조금 등에 의존하고 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런 가운데 (표 8.)에서는 기능별 세출예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가운데 사회개발비 비중이 49.8%이며 이 중 사회보장비는 일반적으로 15%내외를 보이고 있음을 알려주는 표이다.
표 7. 2001년 지방세입의 구조(일반회계 순계) (단위 : %)
전국
47.9
12.3
17.0
8.1
14.2
0.5
서울특별시
86.3
9.1
4.4
0.1
광역시
66.4
7.2
3.0
5.9
17.0
0.6
도
36.9
4.4
12.8
9.6
36.0
0.3
시
38.9
21.7
27.6
10.5
0.8
0.6
군
15.0
12.6
53.7
17.2
0.4
1.0
지방세 세외수입 지방교부세 지방양여금 보조금 지방세
표 8. 2001년도 기능별 세출예산
구분
전국
추천자료
지방분권화에 따른 사회복지 정책 및 체계의 변화와 이로 인한 문제점을 서술
복지재정확충과 사회보장제도 개혁의 과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기관의 재원확보의 기본원칙과 전략
우리나라 사회복지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사회복지부분의 지방자치 실태
[A+] 보건복지와 사회 - 건강보험제도운영, 건강보험료 부과·징수체계, 건강보험의 재정 안정...
[사회복지지출, 사회복지지출과 지출결정요인, 사회복지지출과 공공지출, 지방자치단체, 복지...
국민의 정부 생산적 복지(김대중정부 생산적 복지) 배경, 국민의 정부 생산적 복지(김대중정...
사회복지재원의 조달방식
사회복지기관의 재원확보의 기본원칙과 전략을 제시하시오 (사회복지기관으로써 재원확보의 ...
[사회복지개론] 우리나라 사회복지는 전체적으로 어떠한 문제점이 (정치적인 목적문제) 있으...
사회복지social welfare 세-재원조달 방법으로써의 사회복지세논의
[사회복지법제] 우리나라 국민건강보험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국민건강보험법의 급여형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