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자원봉사의 실태와 개선책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자원봉사의 실태와 개선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인종이나 계급, 성별, 학력, 직업, 신체적 조건에 관계없이 \'인간\'이라는 존재를 귀하게 여기고 서로를 사랑하면서 살아간다. 그래서 우리는 누군가가 어려움에 처하게 되면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저절로 생겨나는데 이것이 자원봉사의 출발이다.
\'자원봉사\'의 어원은 \'자유의지\' 라는 뜻을 가진 라틴어 \'볼런터스\'(voluntas)에서 유래되었다. 자원봉사 활동이 지니고 있는 정신을 \'볼런터리즘\'(voluntarism)이라 하며, 자원봉사를
하는 사람은 \'볼런티어\'(voiunteer)라고 부른다. 한자로는 스스로자 - 自, 원할 원 - 願, 받들 봉 - 捧, 섬길 사 -仕, 라고 하여, \'스스로 원해서 받들고 섬긴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란 인간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 누구의 강요를 받아서가 아니라 자기 스스로 결정해서 남을 위해 또는 내가 사는 지역사회의 복지를 위해 자신의 정신적 육
체적 자원을 바탕으로 어떤 계획을 가지고 대가를 바라지 않으면서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무보수로 행하는 활동이다.
2) \'청소년(학생)자원봉사\'의 개념과 의미
\'청소년 자원봉사\'란 청소년 자신의 정신적, 육체적 자원을 활용하여 자발적인 의도로 타인이나 사회를 위하여 계획을 가지고 어떠한 대가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일정한 기간동안 지속
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람과 흥미를 느끼고, 자신이 가진 재능이나 소질을 발견하며, 자신이 살아갈 공동체적 삶의 영역을 두루 체험함으로써 건강한 인성을 형성하고 배움을 실천해
가는 청소년 수련활동의 한 영역이다.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활동의 주체인 청소년, 활동거리, 활동터전, 자원봉사를 안내, 지도, 조정하는 자원봉사 지도자, 그리고 이를 전반적으
로 지원하는 체계적인 조직을 통해 이루어진다.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각 부문의 균형적인 발전과 상호 협력이 필수적이다.
3) \'청소년(학생)자원봉사\'의 특징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성인들의 자원봉사활동과 여러 면에서 비슷하나, 청소년들이 하는 봉사활동은 완전히 자발적인 봉사활동이라기보다는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지도·안내되고,
조정·평가되어지는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차이점이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이 하는 봉사활동은 그 활동이 가져오는 결과 자체보다는 활동의 과정에서 청소년 스스로가 배우게 되는
교육적 결과가 더 큰 의미를 갖는다\' 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은 \'봉사학습\'(service learning)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ttp://km.naver.com/list/view_detail.php?dir_id=80810&docid=31765400
-----------------------------------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들 중 특히 청소년 문제는 그 양상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그 요인도 복합적이다......이러한 상황 속에서 현대의 청소년들이 현실의 문제를 슬기롭게 극복하여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정신적으로 온전하게 자라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삶의 경험을 축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일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청소년은 다양한 삶의 경험을 통해 자신의 숨은 자질을 찾아내고 잠재 능력을 키워나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삶의 경험들은 책상 앞에서의 학습이나 책을 통해서 단순히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통해서 얻어지기 때문에 이를 통한 직접적 경험의 부여가 청소년들의 성장에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따라서 보다 양질의 활동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적절한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일이 시대적으로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바 그 실천 방법중의 하나가 자원봉사활동이다. 즉 청소년들에게 자원봉사정신(voluntarism)의 의미를 깨닫게 하여 인간성 회복과 복지공동체 문화의 형성에 동참케 함은 물론 그 공동체 안에서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을 체득할 수 있도록 인도해가야 한다는 것이다.
http://cafe.naver.com/eknoustudy.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231
------------------------
* 청소년 자원봉사의 실태
- 많은 분들이 인지하시고, 지적하시는 부분이지요. 진심이 부족하다! 봉사의 참된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입시용 시간채우기에만 급급하고 있는 학생이 대부분이지요. 또한 대입 준비를 위해 시간이 부족한 학생들을 위해 학교에서 봉사활동을 채워준다며 학교에서 봉사활동 시간을 뻥튀기 사례도 많지요. 특히 고교3학년생의 경우 수능 끝나고 일부 학생을 모아 소풍?비슷하게 가놓구서는 1시간두 안되어 해선 그리구 적절히 날짜및 시간배치 작업을 하기도 합니다.
* 청소년 자원봉사가 가능한 곳
-많습니다. 도움울 필요로 하는곳은.. 하지만 대부분 학생이 관공서를 선호하고 봉사활동 좀 한다는 일부 학생도 상대적으로 편한 영아, 유아 시설로 가더군요. 실제 도움과 방문이 가장 필요한 양로원 장애우 시설 등은 가는 학생이 극히 드물더군요.
* 의식이 아닌 제도에 의해 해야할수밖에 없는 현실
-우리나라에 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이 자리잡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손수 실천하시는 어른들도 있으시지만 주말에 자녀를 데리고 봉사활동을 가시는 부모님보다는 집에서 그냥 쉬시거나 놀러가시는 부모님이 압도적으로 많으시기 때문에, 청소년들에게 봉사활동은 익숙하지 않은 또 귀찮은 일이 될 수 밖에 없는것 같습니다. 귀찮고 익숙하지 않은 일을 장려하려다보니 그냥은 안 되구 입시제도로 유도하는 수밖에 없는 듯 했던거 같구요.
* 보다 지속적인 자원봉사 활동을 위한 개선안
-첫째로 뻥튀기가 불가능하도록 했으면 합니다. 엄격한 감독 관리로 뻥튀기 학생 및 학교에 불이익을 주는 형태루 말입니다.
둘째로 실질 반영시간을 조정하는 겁니다. 예를들어 비교적 간단간단 (관공서 서류 정리 일 등) 하고 제대루 하지 않는 일들 (공원 쓰레기 줍기 등)은 실제 4시간을 해도 봉사시간 계산에서 50%인 2시간이 들어가는 식으루 되었으면 합니다. 시간을 채우기 위해 편한일만 골라서 한다면 더 많은 일을 해야겠지요. 반대로 정말 제대로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