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전적 의미
-경영적 의미
-매몰원가의 예시 및 매몰원가 개념의 중요성
-매몰 원가의 효과
-경영적 의미
-매몰원가의 예시 및 매몰원가 개념의 중요성
-매몰 원가의 효과
본문내용
이미 지불해버린 비용을 '헛되지 않게' 만들려고 과거의 지출에 연연하게 된다. 매몰원가 효과는 '콩코드(Concorde)의 착각'으로 불리기도 한다. 영국, 프랑스가 공동 개발한 초음속 여객기 '콩코드'는 개발 도중 엄청난 경비를 들였고, 완성하더라도 채산을 맞출 가능성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 거액의 개발자금을 투자했기 때문에 도중에 중지하는 것은 낭비라는 이류로 개발 작업이 계속 이어졌다고 한다. 미국에서는 1981년에 테네시 탐빅비(Tombigbee) 하수로 건설 사업에 대한 중지 여부를 논의한 일이 있다. 이때 사업 중지를 반대한 어느 상원의원은 '만일 사업을 중지한다면 납세자의 세금을 함부로 사용하게 된 것'이라고 말한 사실이 있다. 각국의 공공사업에서도 장래 채산성이 나쁘고, 환경파괴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고, 계획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것을 알았을 경우 등등의 이유로 즉각 사업을 중지해야 하는데도 '지금까지 투자한 것이 헛되다.'는 이유로(그밖에 다른 이유도 있겠지만) 사업이 중지되지 않고 강행되는 사례가 있지 않을까 싶다. '엎지른 물'이나 '과거에 연연하지 말라'는 말은 매몰원가에 얽매이지 말라는 것을 시사하는 휴리스틱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