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에너지 대사등에 대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에너지 대사등에 대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관상동맥 질환자는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은 최대하 운동 검사 수준에서 측정된 산소 섭취량으로 일정한 추정식을 통해 산출한다.
2)자각적 운동 강도
운동강도에 대한 내성을 6-10의 15단계로 기록.-간편, 가치있고 믿을만한 하다.
자각적 운동 강도는 심박수 측정과 산소 섭취량을 계산하는데 높은 상관관계
따라서 운동 부하 검사 시 프로토콜의 각 단계마다 심박수와 자각적 운동 강도를 함께 기록하여 피검자가 최대 운동 능력까지 도달했는지 여부를 예측 최대 심박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자각적 운동 강도 측정법 :
1) 0-10까지의 12단계 척도
2)6-10까지의 15단계 척도 : 더 널리 사용.
자각적 운동 강도의 척도는 생리학적으로 운동량과 운동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지 않고도 피검자의 체력수준에 대한 운동강도의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운동 부하 검사 시 최대 운동 능력에 도달했는지의 여부 판단 가능. 최대 운동 능력을 발현했을 때 척도기준은 17(매우 힘들다) 이상으로 간주.
무산소성 역치의 기준은 13(다소 힘들다)에서 15(힘들다)까지.
보그(Brog Scale) 스케일에 의하면
12-13등급=60%HRmax
16등급 = 90%HRmax
정상인은 RPE 12-16등급이 운동 처방에 이용된다.
이처럼 자각적 운동강도의 척도는 생리학적, 임상적인 측정 자료가 없이도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호흡가스 변인
분당 환기량, 분당 호흡수, 심박수, 산소 섭취량, 호흡 교환율, 대사지수등의 호흡 가스 변인으로 운동 능력을 진단한다.
이같은 변인으로 심폐기능을 평가. 특히 최대 환기량, 최대 심박수, 운동 대사량, 운동 지속시간, 무산소성 환기역치등이 추가적 지표로 활용.
일반인의 분당 환기량 =5-8 L/min 이며 최대 운동 시에는 130-180 L/min로 25-30배 증가한다. 호흡 교환율 : 운동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 ->산소 섭취량이 최대치가 되면 호흡 교환율도 1.15 이상 = 탄수화물이 주에너지원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운동시 대사량(MET) : 휴식시 섭취하는 산소의 양을 몇배 정도 섭취하느냐를 나타낸다.=운동 강도의 지표.
무산소성 환기역치 : 피검자에게 운동 강도를 제시할 때 중요한 지표. 따라서 피검자에게 정확한 운동 강도를 처방하기 위해 정확한 무산소성 환기 역치를 설정하는 방법이 전제되어야.
나)심혈관계 기능 평가
1)심전도 반응
심전도 검사는 심폐기능 평가를 위한 최대 산소 섭취량 측정보다 우선한다.
허혈성 심장질환, 관상동맥 질환 유무 진단 목적.
* 민감성 : 병이 있을 때 있다고 할 수 있는 확률/특이성 : 없을 때 없다고 할 수 있는 확률
A)ST 분절의 변화
ST segment = 탈분극 직후 심실의 활성화 상태
T wave = 심실의 재분극
QRS = 심실의 탈분극
심근 허혈증 진단 기준 : ST 분절의 이상 또는 지연된 재분극.
ST 분절 : 안정 상태의 기저선 보다 -1.0 mm(0.1 mV)정도 낮아진 채로 기간이 80 msec 이상일 때 심근 허혈증.
EKG : 큰칸 하나=5 mm= 0.2 sec=200 msec 작은 칸 하나= 1mm= 0.04 sec=40 msec /큰 칸 5개=1 sec=1000 msec
작은 한 칸 = 1 mm= 0.1 mV/큰 한칸 = 0.5 mV/ 큰 두칸 = 1 mV
ST segment Depression : 1)Up-sloping 2) Horizontal(Flat) 3)Down-sloping
운동 검사할 때 관상 동맥 혈류량은 약 5배 증가. 관상 동맥 혈관이 대략 2/3 정도 제한받으면 ST 분절의 이상은
1)기준치에 비해 1 mm 이하 또는 그 이상의 이상 반응
2)최소 0.08초 길이(작은 칸으로 두 개) 길이 이상
3)편평하거나 하강(Flat or down-sloping)
4)ST 분절의 이상반응=>관상 동맥 질환 양성.
ST 분절의 이상 반응의 출현 시기, 기간, 하강의 크기=심근 허혈증의 정도와 상관
ST 분절의 이상이 조기에 발생하고 깊이가 -0.2 mV 이상이며 검사 마지막 5분 또는 회복기까지 연장되면 주 관상동맥의 협착 시사.
ST 분절의 이상이 있을 때 운동 중지 시점을 결정하는 판단 기준이 미확립.
-ST 분절 이외에 다른 위험 인자가 없다면 ST 분절이상이 -0.2 - -0.4 mV에 도달하게될 때 검사자의 종합적 판단에 의해 운동을 중지한다.
ST 분절의 상승 = 국부 심실성 부전 또는 동맥압 형성 부위의 유도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나타난다. 급성 허혈증이 운동 중에 ST 분절 상승 유발할 수도.= 주 관상동맥과 전하행성 관상동맥의 협착과 유관.
B)R 파 파고
운동 중 R 파 파고가 높아지지 않으면 =심근 허혈증
관상 동맥 질환의 부가적 지표.
불확실한 ST 분절 이상 반응을 해석하는 유용한 지표. 좌갈래(가지) 차단 상태(LBBB)에서 허혈성 증상을 나타내는 유일한 심전도적 지표.
C)T 파 변화
대부분의 건강하고 젊은 사람들은 운동 주 또는 운동 직후 T 파 반응이 증가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과환기, 저칼륨혈증, 과도한 부하에 의해 T 파가 평탄화되고 역위되기도 한다.
T 파의 역위는 보통 운동 후 회복기에 나타난다.
D)U 파 전도 : 운동중 또는 후의 U 파 역위는 심근 허혈성과 좌전부 관상동맥의 심한 협착과 상관. V5 흉부 유도에서 가장 잘 나타난다.
2)혈압 반응
운동부하검사 시 포로토콜의 각 단계 마다 측정된 혈압반응 중 수축기 혈압은 점증적으로 증가하지만 이완기 혈압은 변화가 없거나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맥압(Pulse pressure)은 커진다.
고강도의 힘들 운동을 수행할수록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의 차이는 커진다.
점증 운동 부하 운동시 혈압 반응에 대한 결과 해석
1)운동 강도가 증가하면서 수축기 혈압이 감소하거나 올라가지 않으면 비정상-운동으로 수축기 혈압이 감소하면(EIH : Exercise Induced Hyptension)은 관상동맥 질환, 심장 판막증, 심근 질환, 부정맥 가능성.
증상이 없는 심장질환자 중에서 일부는 운동성 저혈압. 혈압 강하제 복용자나 장시간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