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지주의 기원과 발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지주의 기원과 발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 물음이었다. 왜냐하면 영지주의자들은 기독교 교리를 잘못 해석 하였으며, 또한 그리스도를 영지주의 체계내의 한 요소로써 단순하게 변형시켰기 때문이다.38) 즉 영지주의의 활동으로 말미암아 교회내에 옳바른 가르침을 알고 있는것은 성경인가 아니면 영지주의의 가르침인가 대해 대답해야 했다. 여기에 대해 대표적인 반 영지주의적 교부, 이레니우스는 영지주의에 대해 성경의 권위를 대조시켰다. 특별히 그는(이단들에 대항해)에서 이단을 옳은 교리 표준에서 이탈한자 (4장 26절) 라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교회와 영지주의간에 몇가지 뚜렷한 결과를 낳았는데 이것은 기독교 교리를 형셩하느데 촉진제와 같은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39)
첫째, 영지주의가 스스로 보편적 종교임을 자처함으로 교회로 하여금 자신의 보편성(Catholicity)을 주장하게 만든 계기가 되었다.
둘째, 영지주의가 구약성서와 사도들의 저작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구약의 영감과 신약성경의 내용을 영구적으로 확정해 놓는 일이 교회의 긴급한 과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셋째, 기독교를 근본적으로 하나의 교리적 체계로 볼수이싸도 하는 저들의 주장에 대해 교회는 그러한 교리가 실제로 어떠한 것인가를 진솔함으로 답변을 주어야 했다.
넷째, 교회의 교리를 통일하기 위해서는 신앙의 표준 (regula fide)이 요구되었다.
다섯째, 영지주의가 방관할수 없을 정도로 확대되기 시작하자 교회는 유능한 수호자를 요구하지 않을수 없게 되었다. 그 결과 감독이 선두에 나서 이단 전체를 대항하여 싸우게 되었고 따라서 감독의 우위성이 확보 되었으며 감독직을 발전시키도록 자극을 주었다.
여섯째, 결국에 가서 실패로 돌아가긴 했지만 영지주의자들이 신비주의를 어느정도 교회에 전해주는 데 성공하게 되어 신비주의에 대한 교리적인 각성이 있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영지주의의 금욕주의는 부분적으로 교회의 수도원 제도를 위하여 길을 예비해 주었다. 이외에도 영지주의가 기독교 교리에 미친 영향은 대단하다. 특별히 영지주의적 사상이 기독교적 가르침과 결합하여 기독교의 근본적인 신앙을 위협하는 요소가 되었는데 특별히 창조와 이세계에 대한 신의 통치사상, 또한 구원론과 기독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 결론: 영지주의에 대한 교리사적 평가
우주와 기독교 교리에 대하여 전체를 포괄할수 있는 사상을 가지고 지식적 체계를 구성하려고 번민하고 노력한 것은 그들의 사상에서 볼만한 것이다. 다만 이것을 시도함에 있어서 역사적인 기초와 종교적 경험을 떠나서 되는대로 신비적인 우화의 아개속을 방황하면서, 또 이 세계와 물질을 악한 것이라고 보는 염세사상, 또한 지식적 교만 때문에 저들의 운동은 실패하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 신학의 발달은 직 간접적으로 그들의 자극에 기인되는 바가 적지 아니하였다. 신학의 용어에도 그들에의해 처음으로 사용된것이 많았다. 실제적으로 교회가 교리적으로 얻은 이익은 하나님의 계시의 한계를 분명히 했다는 점과 신 구약의 관계를 결정짓는 것을 배우게 되었다. 더우기 그때의 세례식서에 기초하여 해석의 표준(신앙의 법칙)으로서 구실을 할 수 있었던 진리를 간단하고도 자세하게 말할 필요성을 강하게 느낀것은 교리적 수확이었다. 또 교회에서 지적 요소가 강조되기 시작했으며, 가현설의 자극으로 말미암아 오직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을 통해서만 구원될 수 있다는 속죄교리를 정립하게 되었다. 영지주의는 2-3C에 가장 왕성하여 6C를 거쳐 거의 자취를 감추었으나 그 사상은 숨어서 후대에도 계속해서 비슷한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오늘날에도 고대 영지주의의 근본사상을 부흥시키려는 강한 경향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특별히 오늘날 한국에서 일고 있는 시한부 종말론자들도 그 한 기류로 진단해 볼 수 있다. 물론 교리적이며, 상황적이며 또한 한국교회가 처한 정황들을 비롯한 다양한 원인들이 있지만 혼합주의적 영향과 거짓된 구원의 교리를 통한 이단들리 고대 교회 부터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다고 하는것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는 교훈이라 생각한다. 이런점에서 교회는 항상 교리적으로 경성하며, 말씀과 성경의 균형있고 살아있는 건전 한 신앙형성 얼마나 중요한가를 일깨워 준다.
참 고 도 서
김의환, 교회사, 세종문화사, 1983.
민영진편, 성서백과대사전(제8권), 성서교재간행사, 1980.
송낙원, 교회사, 이건사, 1981.
신성종, 신약역사, KSRFA, 1985.
한국개혁주의신행협회편, 신학사전, KSRFA, 1981.
한철하, 고대기독교사상, CLS, 1970.
곤잘레스.L(이형기 차종순역), 기독교사상사 , 총회출판국, 1988.
니이브 J.L(서남동역), 기독교교리사, 대한기독교서회, 1978.
벌코프.L(김진홍 김정덕공역), 기독교교리사, 세종문화사, 1972.
워크.W(이영헌외공역), 세계기독교회사, 대한기독교서회, 1987.
헤넬, I.C(송기덕역), 폴릴리히의 그리스드교사상사, 한국신학연구소, 1985.
헨리차드윅(서영일역), 초대교회사, CLC, 1983.
Baker\'s, Theological Dictionary / Encyclopidia of Roligion & Ethics,
edited by James Hastings, Vol , N.Y., 1951.
Brown, H.O.J, Heresies, Doubleday & company, 1984.
Bruce, F.F, New Testament History, New York, Anchor Books edition, 1972.
Iatourette, K.S., A History of the Expansion of Christianity ; The First
Centuries, Vol , New York, Harper and Brother, 1937.
J.N.D 켈리(김광식역), 고대기독교리사, KCLSI, 1980.
Schaff, Philip, Ante-Nicene Christanity, A.D.100-325 Grand Rapids,
Eerdmans, 1956.(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Vol. )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8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