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입원하기 한 달 전부터 어머니가 슈퍼마켓에 나가 집을 비우게 되자 \"아빠는 동생만 예뻐해\" \"동생이 없으면 좋겠어\"라는 말을 가끔 했다. 자다가도 경기현상과 오줌 싸는 현상을 자주 보인다.
(5) 장남 : 성격이 괴팍한 편이며 버릇이 없다. 아버지의 관심을 많이 받으면서 자랐고 IP와 지내는 시간이 많으며 잘 싸운다. 그때마다 부모들은 IP만을 꾸짖는다.
4. 가족진단(Family Diagnosis)
(1) 부부 하위체계(Spouse subsystem) : 부부간의 의사소통(Communication)이 잘 안되고, 가족 내 아버지의 권력(Power)이 지나치게 강하다. 부부간의 관계는 매우 경직된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2) 부모 하위체계(Parental subsystem) : 어머니와IP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IP의 남동생과 아버지는 결탁(Allignment)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족내의 이중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IP와의 삼각관계 현상을 보인다.
(3) 형제 하위체계(Sibling subsystem) : IP는 남동생에 대해서는 심한 경계심을, 언니에 대해서는 질투심을 느끼고 있다. 그러므로 형제간에 심한 소외감을 느끼며 속죄양 (Scape goat)현상을 보인다.
(4) 각 하위체계들간에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를 보이며 분리된 가족(Disengaged family)양상을 보인다.
5. 치료목표(Therapeutic goals)
(1) 세대간의 경계를 명료화한다.
(2) 가족의 정서적 유대를 증진시킨다.
(3) IP - 부 - 모 사이를 탈 삼각관계화 한다.
(4) 부부간의 제휴를 증진시킨다.
(5) 형제자매 하위체계 관계를 증진시킨다.
6. 치료과정(Therapeutic process)
(1) 전반기
i) 부부간 일대일 면담을 통해 부모가 IP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파악을 했다.
* IP의 문제에 대해 부는 모의 과잉보호 탓이라 했고, 모는 부의 무관심 탓이라 하며 서로에게 투사(Projection)를 보였다.
연구자는 가족치료체계 형성을 위해 깊이 합류(Joining)하면서 부부간의 대화를 추적(Tracking)해갔다. 모를 지지하는 불균형의 기법도 활용하였다.
ii) 면담과정에서 부모가 IP에게 어떻게 대하는 지를 관찰하였다.
* IP는 여전히 실어증 현상을 보였으며, 특히 부를 보면 겁에 질린 표정을 지으면서 가까이 가질 못했다. 모는 IP를 보며 계속 울기만 했다.
연구자는 부모에게 과제(Tasks)를 제시했다. 과제의 내용은 면담중에 15분 동안은 부의 무릎에 IP를 앉히고 대화를 하도록 하고, 15분 동안은 모의 무릎에 앉히고 대화하도록 지시했다.
(2) 중반기
i) 부부가 IP의 문제에 대해 어떻게 그리고 얼마만큼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했다.
* 부는 IP를 \"원치 않은 아이(Unwanted baby)\"였다고 말하며 \"아들만을 너무 편애한 것 같다\"고 말했다. 모는 \"자기가 너(p. 30)무 돈에만 집착한 것 같고, 엄마 역할을 충분히 못한 것 같다\"고 말하면서 IP의 문제를 부부 각자의 문제라고 말했다. 부의 저항이 감소되었다.
연구자는 IP의 문제를 부모관계의 문제로 재조직화(Reframing)하면서 부부간의 충분한 의사소통(Communication)을 증진시켰다.
ii) 형제간의 상호교류 유형(Transactional pattern)을 파악하기 위해 IP의 언니와 남동생을 개입시켜 관찰하였다.
* 공작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IP는 언니와 많이 어울리는 편이었고, 동생에게는 그저 물끄러미 바라보기만 했다.
연구자는 형제 하위체계의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를 완화시키기 위해 IP와 남동생이 함께 할 수 있는 놀이기구를 줌으로써 5분 내로 해내도록 과제(Tasks)를 제시했다.
iii) 부 - 모 - IP와의 변화된 정서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부모, IP, 형제들을 참여시켜 관찰하였다.
* IP가 부의 무릎에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났고, 그때마다 동생에게 과시하는 듯 즐거워했다.
연구자는 부와 IP와의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를 명확한 경계(Clear boundary)로 완화시키기 위한 재구조화(Reframing)를 유도했다.
(3) 후반기
i) 부부의 문제의식이 얼마나 변화가 있었고, IP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했다.
* 모는 IP를 위해 슈퍼마귑을 나가지 않겠다고 말했고, 부는 가정에 좀더 관심을 갖고 충실하겠다고 말했다.
연구자는 유지(Maintenance)의 기법을 써서 부의 권위를 인정해 주면서 \"아버지가 자식에 대한 마음은 깊으신 분인데, 단지 표현이 부족하셨군요!\"라고 말하면서 계속 지지해 주었다.
ii) 가족 전체를 개입시킴으로써 IP와 가족구성원들이 어떻게 상호교류 하는지를 관찰했다.
* IP는 모의 무릎에도 갔다가 부의 무릎에도 갔다가 언니, 남동생에게도 왔다갔다 하면서 관심을 보였다. 가족 공동으로 하는 게임에서 동생이 실수를 하자 IP는 갑자기 깔깔거리고 웃었고 \"너가 틀렸어\"라고 말하였다. 그와 동시에 부와 모는 IP를 번갈아가면서 안아주었다. 그때부터 IP는 자연스럽게 말을 이어나갔다.
연구자는 가족이 공동을 할 수 있는 과제(Tasks)를 제시함으로써 가족의 상호교류형태 (Family transaction pattern)를 변화시키려고 유도했고 그 결과 IP에게서 나타난 문제는 해결되었다.
7. 평가
IP의 가족은 IP모의 과잉보호(Over protection)와 IP부의 무관심으로 인해 가족구조의 불균형과 세대간의 불분명한 경계를 갖게 되었고, 그 역기능적 증상으로 IP의 실어증이 나타난 사례로서 부 - 모 - IP의 삼각관계가 완화되고 가족내의 경계가 분명해지고 부모 하위체계와 형제 하위체계의 제휴(Allignment)를 증진시킴으로써 가족 교류유형(Family transactional pattern)을 변화시켜 가족구조를 재구조화 (Reframing) 시켰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학년도 석사학위 청구논문 ‘구조적 가족치료 활용에 관한 연구’/ 김효순
(5) 장남 : 성격이 괴팍한 편이며 버릇이 없다. 아버지의 관심을 많이 받으면서 자랐고 IP와 지내는 시간이 많으며 잘 싸운다. 그때마다 부모들은 IP만을 꾸짖는다.
4. 가족진단(Family Diagnosis)
(1) 부부 하위체계(Spouse subsystem) : 부부간의 의사소통(Communication)이 잘 안되고, 가족 내 아버지의 권력(Power)이 지나치게 강하다. 부부간의 관계는 매우 경직된 경계를 형성하고 있다.
(2) 부모 하위체계(Parental subsystem) : 어머니와IP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IP의 남동생과 아버지는 결탁(Allignment)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족내의 이중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IP와의 삼각관계 현상을 보인다.
(3) 형제 하위체계(Sibling subsystem) : IP는 남동생에 대해서는 심한 경계심을, 언니에 대해서는 질투심을 느끼고 있다. 그러므로 형제간에 심한 소외감을 느끼며 속죄양 (Scape goat)현상을 보인다.
(4) 각 하위체계들간에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를 보이며 분리된 가족(Disengaged family)양상을 보인다.
5. 치료목표(Therapeutic goals)
(1) 세대간의 경계를 명료화한다.
(2) 가족의 정서적 유대를 증진시킨다.
(3) IP - 부 - 모 사이를 탈 삼각관계화 한다.
(4) 부부간의 제휴를 증진시킨다.
(5) 형제자매 하위체계 관계를 증진시킨다.
6. 치료과정(Therapeutic process)
(1) 전반기
i) 부부간 일대일 면담을 통해 부모가 IP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파악을 했다.
* IP의 문제에 대해 부는 모의 과잉보호 탓이라 했고, 모는 부의 무관심 탓이라 하며 서로에게 투사(Projection)를 보였다.
연구자는 가족치료체계 형성을 위해 깊이 합류(Joining)하면서 부부간의 대화를 추적(Tracking)해갔다. 모를 지지하는 불균형의 기법도 활용하였다.
ii) 면담과정에서 부모가 IP에게 어떻게 대하는 지를 관찰하였다.
* IP는 여전히 실어증 현상을 보였으며, 특히 부를 보면 겁에 질린 표정을 지으면서 가까이 가질 못했다. 모는 IP를 보며 계속 울기만 했다.
연구자는 부모에게 과제(Tasks)를 제시했다. 과제의 내용은 면담중에 15분 동안은 부의 무릎에 IP를 앉히고 대화를 하도록 하고, 15분 동안은 모의 무릎에 앉히고 대화하도록 지시했다.
(2) 중반기
i) 부부가 IP의 문제에 대해 어떻게 그리고 얼마만큼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했다.
* 부는 IP를 \"원치 않은 아이(Unwanted baby)\"였다고 말하며 \"아들만을 너무 편애한 것 같다\"고 말했다. 모는 \"자기가 너(p. 30)무 돈에만 집착한 것 같고, 엄마 역할을 충분히 못한 것 같다\"고 말하면서 IP의 문제를 부부 각자의 문제라고 말했다. 부의 저항이 감소되었다.
연구자는 IP의 문제를 부모관계의 문제로 재조직화(Reframing)하면서 부부간의 충분한 의사소통(Communication)을 증진시켰다.
ii) 형제간의 상호교류 유형(Transactional pattern)을 파악하기 위해 IP의 언니와 남동생을 개입시켜 관찰하였다.
* 공작놀이를 하는 과정에서 IP는 언니와 많이 어울리는 편이었고, 동생에게는 그저 물끄러미 바라보기만 했다.
연구자는 형제 하위체계의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를 완화시키기 위해 IP와 남동생이 함께 할 수 있는 놀이기구를 줌으로써 5분 내로 해내도록 과제(Tasks)를 제시했다.
iii) 부 - 모 - IP와의 변화된 정서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부모, IP, 형제들을 참여시켜 관찰하였다.
* IP가 부의 무릎에 앉아 있는 시간이 늘어났고, 그때마다 동생에게 과시하는 듯 즐거워했다.
연구자는 부와 IP와의 경직된 경계(Rigid boundary)를 명확한 경계(Clear boundary)로 완화시키기 위한 재구조화(Reframing)를 유도했다.
(3) 후반기
i) 부부의 문제의식이 얼마나 변화가 있었고, IP에 대한 태도가 어떻게 변했는지 파악했다.
* 모는 IP를 위해 슈퍼마귑을 나가지 않겠다고 말했고, 부는 가정에 좀더 관심을 갖고 충실하겠다고 말했다.
연구자는 유지(Maintenance)의 기법을 써서 부의 권위를 인정해 주면서 \"아버지가 자식에 대한 마음은 깊으신 분인데, 단지 표현이 부족하셨군요!\"라고 말하면서 계속 지지해 주었다.
ii) 가족 전체를 개입시킴으로써 IP와 가족구성원들이 어떻게 상호교류 하는지를 관찰했다.
* IP는 모의 무릎에도 갔다가 부의 무릎에도 갔다가 언니, 남동생에게도 왔다갔다 하면서 관심을 보였다. 가족 공동으로 하는 게임에서 동생이 실수를 하자 IP는 갑자기 깔깔거리고 웃었고 \"너가 틀렸어\"라고 말하였다. 그와 동시에 부와 모는 IP를 번갈아가면서 안아주었다. 그때부터 IP는 자연스럽게 말을 이어나갔다.
연구자는 가족이 공동을 할 수 있는 과제(Tasks)를 제시함으로써 가족의 상호교류형태 (Family transaction pattern)를 변화시키려고 유도했고 그 결과 IP에게서 나타난 문제는 해결되었다.
7. 평가
IP의 가족은 IP모의 과잉보호(Over protection)와 IP부의 무관심으로 인해 가족구조의 불균형과 세대간의 불분명한 경계를 갖게 되었고, 그 역기능적 증상으로 IP의 실어증이 나타난 사례로서 부 - 모 - IP의 삼각관계가 완화되고 가족내의 경계가 분명해지고 부모 하위체계와 형제 하위체계의 제휴(Allignment)를 증진시킴으로써 가족 교류유형(Family transactional pattern)을 변화시켜 가족구조를 재구조화 (Reframing) 시켰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8학년도 석사학위 청구논문 ‘구조적 가족치료 활용에 관한 연구’/ 김효순
추천자료
[가족기능]기능적 가족과 역기능적 가족의 비교
건강가족론-기능적 가족과 역기능적 가족, 건강가정사
가족치료의 발달배경, 발달단계를 정리, 가족의 기능에 대해 정리하고 기능적인 역기능적인 ...
가족의 기능과 기능적인 가족, 역기능적인 가족
가족의 기능에 대하여 정리하고 기능적인 가족과 역기능적인 가족에 대해 논하시오
가족치료의 발달배경, 발달단계와 가족의 기능에 대하여 정리하고 기능적인 가족과 역기능적...
기능적인 가족과 역기능적인 가족의 특징을 비교하여 서술.
역기능적 가족이 나오는 책이나 드라마 영화를 보고 내담자의 문제, 치료목표, 치료과정에 대...
역기능적 가족이 나오는 책이나 드라마, 영화를 보고 내담자의 문제, 치료목표, 치료과정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