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KS JIS ASTM 플라스틱시험방법
플라스틱 생분해도 측정은 2002년 10월 기술표준원에서 한국산업규격으로 규정한 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의 호기성 생분해도 및 붕괴도의 측정 방법(KS M3100-1)으로 실시(기술표준원고시 제 2002-1298)해오고 있다. 측정방법은 ISO 14855(국제규격), ASTM D 53389(미국), JIS K 6953(일본), EN 13432(유럽)과 동일한 방법을 도입 운영하고 있다. 생분해도 측정은 퇴비화 조건에서 발생하는 최종 분해산물인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해 유기화합물인 플라스틱의 호기성 생분해도를 측정하고 있으며, 측정시 45일간 표준물질(셀룰로오즈)의 분해가 70% 이상, 용기별 표준물질의 분해도 차이가 20% 이내일 경우 유효한 측정으로 인정하고 있다.
생분해도 측정기관은 기술표준원 주관하에 국가공인 시험기관(KOLAS)을 지정,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한국의류시험연구원,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인증 기준은 초기 45일 동안 생분해도 값이 표준물질 대비 60% 이상으로, 이 시점에서도 뚜렷한 생분해가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 참 고 -
ISO 14855
Determination of the ultimate aerobic biodegradability and disintegration of plastic materials under controlled composting conditions -- Method by analysis of evolved carbon dioxide
ASTM D5338-98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Aerobic Biodegradation of Plastic Materials under Controlled Composting Conditions
KS M3100-1
퇴비화조건에서의 플라스틱의 호기성 생분해도 및 붕괴성 측정
*측정: 발생 이산화탄소 정량 법
상기 생분해도 측정 방법은 플라스틱의 생분해 측정방법만을 나열, 규정하였으며 생분해성 합성수지 제품에 대한 인증기준은 국가별 시험기간 및 분해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상이하다.
- 한국: 6개월, 기준물질 대비 90%
- 미국: 6개월, 기준물질 대비 60%
- 유럽: 6개월, 기준물질 대비 90%
- 일본, 독일: 6개월, 절대치 60%
KS, ASTM, JIS의 차이점
http://cafe.naver.com/chinasteeltrade/148
KS : Korean Standards
산업표준화법에 의거하여 우리나라 정부가 제정한 국가 규격이며, 제정일로부터 5년
마다 규격의 적합여부를 심의하여 개정, 확인, 폐지 등을 결정 합니다.
총 16개 부문 (A~X) 중의 한 부문을 나타내는 알파벳 기호와 규격의 고유번호인 아라
비아 숫자 4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플라스틱이라면....KSM xxxx를 찾으시면 됩니다.)
ASTM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미국재료시험협회의 약자
미국에서의 모든 재료 및 시험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표준화를 시행하고 있는 단체.
ASTM은 표준화의 대상을 Specification9규격), Method(방법), Definition(정의)으로
대별하고 있으며, 다시 이들을 정식규격(Standard)과 가규격(Tentative)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제정된 규격에는 규격번호(통일성은 없다)와 함께 기호를 붙여 품종 내용을
표시하고 있다.
A : Ferrous Metals(단, Casting의 Nonferrous Metals중 일부는 별도 분류)
B : Nonferrous Metals
C : Cementifious, Ceramic, Concrete and Mansonry Meterials
D : Miscellaneous Materials
E : Miscellaneous Subjects
F : Materials for Specific Applications
G : Corrosion, Deterioration, Degradation of Materials
ES : Emergency Standards
P : Proposals
이 대분류 뒤에 \"-년도\"를 붙여서 Old 와 New 를 구분한다.
JIS : Japan Industrial Standards 일본공업규격
일본
플라스틱 생분해도 측정은 2002년 10월 기술표준원에서 한국산업규격으로 규정한 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의 호기성 생분해도 및 붕괴도의 측정 방법(KS M3100-1)으로 실시(기술표준원고시 제 2002-1298)해오고 있다. 측정방법은 ISO 14855(국제규격), ASTM D 53389(미국), JIS K 6953(일본), EN 13432(유럽)과 동일한 방법을 도입 운영하고 있다. 생분해도 측정은 퇴비화 조건에서 발생하는 최종 분해산물인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해 유기화합물인 플라스틱의 호기성 생분해도를 측정하고 있으며, 측정시 45일간 표준물질(셀룰로오즈)의 분해가 70% 이상, 용기별 표준물질의 분해도 차이가 20% 이내일 경우 유효한 측정으로 인정하고 있다.
생분해도 측정기관은 기술표준원 주관하에 국가공인 시험기관(KOLAS)을 지정,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화학시험연구원, 한국의류시험연구원,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 한국원사직물시험연구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인증 기준은 초기 45일 동안 생분해도 값이 표준물질 대비 60% 이상으로, 이 시점에서도 뚜렷한 생분해가 진행됨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 참 고 -
ISO 14855
Determination of the ultimate aerobic biodegradability and disintegration of plastic materials under controlled composting conditions -- Method by analysis of evolved carbon dioxide
ASTM D5338-98
Standard Test Method for Determining Aerobic Biodegradation of Plastic Materials under Controlled Composting Conditions
KS M3100-1
퇴비화조건에서의 플라스틱의 호기성 생분해도 및 붕괴성 측정
*측정: 발생 이산화탄소 정량 법
상기 생분해도 측정 방법은 플라스틱의 생분해 측정방법만을 나열, 규정하였으며 생분해성 합성수지 제품에 대한 인증기준은 국가별 시험기간 및 분해도에 따라 아래와 같이 상이하다.
- 한국: 6개월, 기준물질 대비 90%
- 미국: 6개월, 기준물질 대비 60%
- 유럽: 6개월, 기준물질 대비 90%
- 일본, 독일: 6개월, 절대치 60%
KS, ASTM, JIS의 차이점
http://cafe.naver.com/chinasteeltrade/148
KS : Korean Standards
산업표준화법에 의거하여 우리나라 정부가 제정한 국가 규격이며, 제정일로부터 5년
마다 규격의 적합여부를 심의하여 개정, 확인, 폐지 등을 결정 합니다.
총 16개 부문 (A~X) 중의 한 부문을 나타내는 알파벳 기호와 규격의 고유번호인 아라
비아 숫자 4자리로 구성되어 있다.
(플라스틱이라면....KSM xxxx를 찾으시면 됩니다.)
ASTM :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Materials 미국재료시험협회의 약자
미국에서의 모든 재료 및 시험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표준화를 시행하고 있는 단체.
ASTM은 표준화의 대상을 Specification9규격), Method(방법), Definition(정의)으로
대별하고 있으며, 다시 이들을 정식규격(Standard)과 가규격(Tentative)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제정된 규격에는 규격번호(통일성은 없다)와 함께 기호를 붙여 품종 내용을
표시하고 있다.
A : Ferrous Metals(단, Casting의 Nonferrous Metals중 일부는 별도 분류)
B : Nonferrous Metals
C : Cementifious, Ceramic, Concrete and Mansonry Meterials
D : Miscellaneous Materials
E : Miscellaneous Subjects
F : Materials for Specific Applications
G : Corrosion, Deterioration, Degradation of Materials
ES : Emergency Standards
P : Proposals
이 대분류 뒤에 \"-년도\"를 붙여서 Old 와 New 를 구분한다.
JIS : Japan Industrial Standards 일본공업규격
일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