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사진 출발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근대사진 출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호요소(레퍼토리)로 구성되어 있고, 그 구성규칙(컴퍼지션)이 F로 표시된다면 우리으 기호세계(W)는 라는 관계에의한 이요소들의 결합을 통해 완성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W=F(X1, X2......Xn)
고유의 구성요소 + 구성규칙
A라는 예술가가 만들어내는 기호. B라는 예술가가 만들어 내는 기호. 등 어떠한 이론을 만들어 내는 확률은 크다.
이 세계의 불확실성은 세계를 구성하는 기호 요소와 컴퍼지션에 조합될 가능성은 엄청나게 크기 때문에 기호세계가 가장 간단히 2종류의 레퍼토리(X1과X2) X1:X1, X1:X2, X2:X1, X2:X2라는 4개의 실현 가능성을 갖는다.
정보용량
커뮤니케이션에서 수신자는 받아들인 정보를 수용하는 능력에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 이상의 정보를 수용하여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수신자가 K종류 기호열의 레퍼토리를 단위시간 내에 L개 까지 수용(판독) 할 수 있다고 하면 2개의 정보량(C)는 다음과 같다.
C=LlogK
정보는 송신자가 예정한 것으로서 이것을 ‘객관적 정보’ 라 부른다면 수신자가 기대하는 정보를 ‘주관적 정보’라 한다.
이 주관적 확률은 수신자가 전언 기호열의 출현에 대한 심리적 기대치이다.
지금 다음과 같은 전언이 주어 졌다고 하자. 문자 아래의 숫자느 그 추측이 실패한 횟수를 가르킨다.
JEDER(31) SITOATION(311) GENAU(322) EINE(2) WIRKLICHKEIT(22) WIRD
여기에서 전언을 구성하는 문자는 45개, 실패회수는 22회이다. 하나의 문자를 할당하기 위한 가지선택의 수는 5회이기 때문에 전체전언의 문자 특정과 관련한 가지선택의 회수는 총 5x45 =225회 이다. 그렇다면 각가지 선택의 실패율은 22/225=0.098일 것이다.
실패율(0.098)로부터 수신자의 주관적 정보 0.33비트가 얻어지고 한문자 마다의 주관적 정보량은 0.33x5=1.65비트가 된다.
피 실험자를 수신자로 하는 전언의 주관적 정보량을 표시 하면, 송신자의 입장에서 본 객관적 정보와 구별하여 주관적 정보를 고찰하는 것은 수신자가 작품을 해석하고 평가는 기준을 부여하는 것이며 작품의 가치(좋음)를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감정표현은 변형과 함께 그 필여성을 예술적으로 납득시키는 매체조작이 극히 중요하다.
이렇게 할때 비로서 예술가가 표현하려는 감정의 이미지가 작품을 매개로 수용자에게 전달될 수가 있다. 감정의 이미지를 표현한다고 해도 예술의 변형된 구성속에 객관화되는 것은 활성화 되지 않은 가상적인 보편적 감정의 의미이며 그것은 실제로 대중에게 체험되기 이전의 작품에 내제하는 가능성에 지나지 않는다.
예술의 상징구조 속에 숨어 있는 이런 가능성의 의미를 실현에 의해 실제로 감각적으로 구체화하여 대중의 마음에 진정한 감동을 유발시키는 것이야 말로 예술의 궁극적인 목적일 것이다. 결국 예술작품은 다른 상징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자연에 대한 반응을 유효적절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단순히 자연을 형식적으로 표현하는 데엔만 머무르지 않고 표현하려는 바를 대중에게 호소하여 그 마음을 움직이고 그들에게 교양을 주는 효능을 가져야 한다. 상징의 이와 같은 실천적 기능을 우리는 커뮤니케이션이라고 부르는데 이런의미에서 예술 작품은 뛰어난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이 된다.
예술작품이란 구체적으로 어떤것일까?예술작품이란 작가 예술적 전언을 물적 매체에 의해 직관적으로 구체화한것이다. 예술작품을 만들어 내는 창작과정은 예술가의 자유로운 행위에 의해서 지탱된다. 이러한 행위는 턴재적 재능이나 고도의 숙련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것은 자연현상고 같이 결정적인 법칙에 의해 지배되는 것이 아니라. 미래에 관해서는 항상 예측 불가능한 요인을 배태한 불확정적 현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이 예술의 묘미이며 일률적인 법칙에 지배되지 않으며 인간의 자유로운 행동으로서 나타난다.
기호정보를 몰은 그 하나는 의미정보(information semantique) 다른 하나를 미적정보(information esthetique) 라고 부르고 있다. 의미정보는 논리구조에 의해서 명료한 의미표현을 하고 수신자에게 지식을 전달 한다. 그에 반해 미적 정보는 특정의 해석자에만 고유의 레퍼토리를 갖기 때문에 번역이 불가능 하고, 그 컴퍼지션은 우연한 부호의 유회에 탐지되어 수신자에게 어떤 종류의 정서적 반응을 불러 일으키려 한다.
● 기호 상징 체계에 의한 사진분석
시각 예술인 미술고 사진에서의 논리구조 즉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를 분석함으로서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런 분석이 좀 더 객관적으로 누구에게나 적요될지는 좀 더 많은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시각언어의 문법적 구성은 크게 미적 정보와 의미정보라는 측면에서 분석해 보자.
작가의 미적 체엄으로 형성된 미적지각으로 표현된 일정한 방식을 미적정보라 하고 화면안에 담고 있는 figure관념적 의미 판단을 의미정보라 한다.
● 미적 정보의 분석
㉠ Figure의 Tone분류(Low, N, High)
㉡ Figure의 조형요소(점, 선, 면)
㉢ 심도단계(얕다← N→ 깊다)
㉣ Ground(단수, 복수, tone depth)
㉤ Figure의 Ground에 면적비 (%)
㉥ Figure의 상한위치(Ⅰ Ⅱ Ⅲ Ⅳ )
㉦ Figure의 방향정 각도( Ⅰ↗ Ⅱ↖ Ⅲ↙ Ⅳ↘ ↔ ↕ )
㉧ Visual Angle( 상좌 ↑ ← , 하좌 ↓ ← , 상우 ↑ → , 하우 ↓ →, 상 ↑중 ↔ 하 ↓ )
㉨ 사선 이미지
㉩ Figure의 수 (1, 2, 3, 다수)
㉠ 그외...
● 의미 정보의 분석
㉠ 중심 Figure의 의미
㉡ 배경과 Figure의 연관성
㉢ 제 1 Figure + 제 2 Figure 효과
● 사진은 구체적 형상으로부터 추상성으로 전개를 끊임없이 추구하는 예술이다. 다음은 일상적 의미와 개념적 의미를 알아보자.
㉠ 일상적인 주제를 일상적인 표현기법으로 전달(브르스 데비슨)
㉡ 일상적인 주제를 개념적, 추상적 표현기법으로 전달(난 골딘, 메플도프)
㉢ 개념적인 주제를 일상적인 표현기법으로 전달(에머트 고윈)
㉣ 일상적인 주제를 개념적, 추상적 표현기법으로 전달(데비드 호크니,요셉코주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0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