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가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가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는 이스라엘에 대해 배타적 권리를 가지신 여호와의 언약 개념에 근거한 거룩한 분노라고 할 수 있다(Baldwin).
성 경: [슥1:15]
안일한 열국을 심히 진노하나니...고난을 더하였음이라 - 여기서 스가랴는 예루살렘과 시온을 해친 열국에 대한 진노를 선포함으로써 고난받는 이스라엘을 위로한다. 하나님께서 열국에 대해 진노하시는 까닭은 자신들이 하나님의 도구임을 망각하고 자만하여 난폭하게 행동했기 때문이다(사 10:5-7,12).
성 경: [슥1:16]
그러므로...예루살렘에 돌아왔은즉 내집이 그 가운데 건축되리니 - 본절은 13절에서 언급된 '선한 말씀, 위로하는 말씀'을 보다 긍정적이고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이다. 문두에 나오는 '그러므로'란 어구는 하나님이 이스라엘에 대해서 질투하기까지 분노하시고 계시기 때문에 다음에 언급되는 약속의 말씀이 성취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여호와께서는 12절에 언급된 '여호와의 사자'의 중보에 대한 응답으로서, 예루살렘에 대한 자신의 자비를 다시 보이시겠다고 약속하셨다(겔 43:1-5; 48:35). 한편 '내 집' 곧 성전이 재건되리라고 하는 것은 신적 자비가 주어질 것임을 뜻하는 표현이다. 구약의 몇몇 성구들을 비교해보면, 성전 건축이 완성되어 봉헌된 때는 B.C.516년(스 6:15,16)인 것으로 보이며, 이런 성전 건축의 완성은 본절과 다음절의 약속이 완전히 성취되는 초기 국면이었다(사 2:2,3; 렘 31:38-40; 겔 40-42장; 행 15:14-18, Helpran).
성 경: [슥1:17]
여호와의 말씀에...다시 예루살렘을 택하리라 하셨다 하라 - 본절은 예루살렘의 회복과 번영을 예고함으로써 다가올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대망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여기에 나타난 위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즉 (1)쇠퇴해 있고 짓밟혀져 있던 이스라엘 중에 여호와의 사자가 임재함. (2)이스라엘을 위한 진지하고도 애정이 깃든 중보, (3)미래의 축복에 대한 약속등이다. 한편 첫 번째 환상은 전체 환상들의 제목에 해당하는 일반적인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나머지 환상들은 이 환상에 대한 세부적 사정을 제시한다(Feinberg).
성 경: [슥1:18,19]
본절에서 21절까지는 두 번째 환상으로, 네 뿔과 네 명의 공장이 등장한다. 그리고 이 두 번째 환상과 다음에 이어지는 세번째 환상은 13절과 17절에 약속된 안위를 근거로 제시된다. 특별히 두 번째 환상에서는 이스라엘을 괴롭혔던 열방들에 대해서 하나님이 크게 진노하심으로 이 약속이 실현될 것을 말하고 있고, 세 번째 환상(2:1-13)은 이스라엘에게 약속하셨던 번영을 보증함으로써 그들을 위로하고 있다.
내가...본즉 네 뿔이 보이기로 - 이곳의 네 뿔은 유다와 이스라엘, 그리고 예루살렘을 공격하여 그 백성들을 다 흩어버렸던 열방들을 뜻한다. 탈굼역은 이 네 뿔을 '네 나라'로 번역하였고, 어떤 학자는 이를 다니엘 2장과 7장에 언급되고 있는 세계의 네 제국, 곧 바벨론, 메대바사, 그리스, 로마, 혹은 앗수르, 애굽, 바벨론, 메대-바사등으로 보기도 한다(K.L.Baker, Feinberg). 그러나 네 뿔을 특정한 나라와 연관시켜 제한할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어느 시대이건 하나님의 백성을 괴롭히는 존재가 있기 때문이다.
성 경: [슥1:20]
공장 네 명을 내게 보이시기로 - 이들 공장에 대해서는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 (1)네 뿔이 단 2장과 7장의 네 제국을 상징한다고 보는 자들의 견해로서, 이들 장인들 역시 이들 네 제국을 상징한다는 주장이다. (2)이들 장인들은 과거에 이스라엘을 괴롭혔던 나라들을 징벌하기 위해 하나님이 사용하시는 백성들로서, 애굽, 바벨론, 페르시아, 그리스 등이라는 주장이다. 여기서 (2)의 견해가 보다 타당하지만, 구체적인 나라를 규정하기는 어렵다. 아무튼 저자가 말하려는 핵심은 이스라엘의 모든 대적들이 궁극적으로는 패배하고 말 것이라는 점이다(Charles Ryyie, K.L. Baker).
성 경: [슥1:21]
스가랴의 질문과 천사의 대답이 이루어진다. 유다를 헤쳐서 - 70인역은 '그리고 이스라엘을 산산조각 내버린'이라는 말을 첨가했다.
열국의 뿔을 떨어 치려 하느니라 - 이스라엘을 괴롭히던 열국들이 모두 하나님이 일으킨 세력에 의해 멸망당함을 의미한다. 이는 바사에 의해 열강이 정복당함으로써 성취되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통해 완성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