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포드 회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밀포드 회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하는 사람(정신과 의사, 심리학자 또는 임상사회복지사)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재의 또 다른 최근의 경향은 실천분야의 출현이다. 즉 그것은 임상사회사업 내의 특수 전문분야의 확대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건강보호시스템은 임상사회복지사를 더욱 요청하게 되었고, 특히 입원환자에 대한 서비스, 보건교육, 가족계획 상담을 위한 입.퇴원 서비스의 영역에는 더욱 임상사회복지사를 요청하고 있다. 또한 산업체들은 정서적이며 사회적 안녕을 위하여 노동생활의 질에 대한 관계를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노동자의 생산성과 효율성의 두 가지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으로 사회복지사에 의한 노동자 부조프로그램(employee assistant programs)의 발전을 가져오게 되었다. 임상사회복지사들은 또한 아동학대, 교정분야, 법정 서비스, 경찰국, 그리고 가족폭력분야 기관 등에서 충분한 역할을 해야 한다.
임상사회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최근의 경향은 임상적인 실천에 다양한 접근이 성장해 왔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한 전국적인 조사에서 응답한 임상사회복지사의 84%가 하나 이상의 이론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Jayarante, 1982). 이 경향은 기술적인 절충주의와 이론적 통합으로 지향하고 있다(Siporin, 1985)
사회사업의 전문직은 계속해서 발전되고 있다. 초창기로부터 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은 개인과 사회변화에 대한 초점 전환으로 특징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사회적.경제적.정치적 환경에 의해서 크게 구속되었다, 그러나 사회복지실천의 장점은 사회사업의 철저한 가치뿐만 아니라 환경 속의 인간이라는 접근에 준거해 있는 것이다. 분열과 분리에 대한 논쟁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의 목적은 변치 않고 남아 있다. 다시 말하면 사람들이 더욱 행복하게 생활하고, 좀더 건강하게 그리고 더욱 의미 있게 생산적이며 용감하게 보호받고 생활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것에 헌신하는 것이다. 사람들이 도움을 필요로 하는 한 사회복지실천은 봉사와 성장을 계속하게 될 것이다.
2. 우리나라 사회사업의 도입과 현황
구미에서 발달한 개별사회사업이 우리나라엣 도입된 것은 1950년6.25 동란 직후에 많은 외국 민간원조단체가 들어온 것이 계기가 되었다. 이들 외원단체는 연합회(KAVA Korea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를 결성하고 있는데 1960년대에는 그 회원단체가 무려 130여 개에 이르렀으나 그 후 철수계획에 따라 점차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단체는 세계기독교봉사회(Christian World Service)로 이 봉사회는 가정복지부라는 부서를 통해 사회사업의 프로그램을 전개하였다. 여기에는 Mrs. Elizabeth Hayes라는 개별사회사업을 전공한 슈퍼바이저가 프로그램을 지도했을 뿐만 아니라 요청이 있으면 타 기관이나 단체에도 출장하여 지도하였다.
또 다른 단체는 메노나이트 중앙재단 한국지부 (MCC: Mennonite Central Committee, Korea Relief Unit)로 이 단체는 지금은 철수되고 없지만 한국 최초로 1962년에 가정아동복지사업부(FCC: Family Child Assistance Program)를 창설하여 전문적 프로그램을 슈퍼바이저로서 활동하였다. 그 후신은 현재의 대구가정복지회이다. 그리고 캐나다 유니테리안 봉사회(USC: Uniterianm Service Committee of Canada)에서도 그 시도를 엿볼수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직접 간접으로 개별사회사업 발전에 이바지한 외국인 공로자는 보건사회부 사회복지자문관 Dr. Charles G. Chakerian, Miss Ronee Gerard, 기독교양자회(CAPORK)의 수퍼바이저이던 Elvinah Spoelstra, 한노병원에서 활약한 Diakon Gotfred Rekkebo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당시 외원단체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은 거의 개별사회복지사로 통용되기도 하였다.(전재일.김상규, 1987:56~57)
우리나라 사회사업 발전에서의 외국 민간원조단체들과의 관계성을 살펴보면 대부분 그들의 본래 목적은 물론 전문적 사회사업에 있기보다는 종교적인 선교활동에 있었고, 따라서 관계 인사들도 전문적 교육이나 훈련을 받지 못한 비전문가들이 많아 프로그램에 사회사업 방법론은 활용되지 못하고 따라서 발전을 기할 수가 없었다. 더구나 1960년대 후반부터는 많은 단체가 점차로 철수하게 되면서 사회사업의 발전은 오히려 퇴보하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러나 1970년대부터 우리나라 처지에 맞는 사회사업의 토착화에 대해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또 한편으로는 현존하는 많은 기관이나 시설은 아직도 수용보호의 전통적 방법에서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고 있어 인력의 수요, 공급에서 전문성이 부족하고, 따라서 사회사업의 발전 면에서 저해요인이 되고 있다. 또 전문기관의 미성숙, 즉 사회사업의 발전과 절대적인 관계가 있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특히 상담기관 같은 것이 충분하지 못한 뿐만 아니라 현존하는 기관도 전문적 사회사업을 실천하기에는 여러 가지 여건이 성숙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외에도 민주의식의 결여, 즉 사회사업의 전제가 되는 민주주의와 개인존중의 사고 방식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사회사업이 가진 본래의 의미나 원리가 올바르게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아울러 이론적 결핍, 즉 사회사업이 준거로 하는 기초과학적 기반이 미약함을 들 수 있다.(전재일.김상규, 1987:56~59)
그러나 1980년대에 들어와서 경제적 사회적, 정책적 변화로 사회사업 발전을 위한 기본적 여건은 개선되고 있는 편이다. 최근에 와서 사회복지관, 의료기관, 사회복지시설, 그리고 정부행정기관에서도 사회복지전문요원으로 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자를 채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사회사업의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충분히 발휘하기에는 앞서 지적한 여러 가지 면에서 아직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이 앞으로 우리나라 사회복지실천 발전의 관건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영자씨(gogals80)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