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현대문명
※현대문명의 특징
Ⅱ. 기독교적 세계관(A Christian worldview)
1. 서론
2. 기독교적 세계관을 견지해야 하는 이유
(1)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인정함에 있다.
(2) 이원론(二元論)적 행습의 탈피를 위하여서이다.
(3) 풍성한 삶으로 회복을 위해서이다.
3. 기독교 유신론(唯神論) - 기독교 세계관
※참고서적
1) 제임스 사이어 지음, 김헌수 옮김,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IVP. 1985.
2) 송인규, '죄많은 이세상으로 충분한가',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85.
※현대문명의 특징
Ⅱ. 기독교적 세계관(A Christian worldview)
1. 서론
2. 기독교적 세계관을 견지해야 하는 이유
(1)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인정함에 있다.
(2) 이원론(二元論)적 행습의 탈피를 위하여서이다.
(3) 풍성한 삶으로 회복을 위해서이다.
3. 기독교 유신론(唯神論) - 기독교 세계관
※참고서적
1) 제임스 사이어 지음, 김헌수 옮김,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IVP. 1985.
2) 송인규, '죄많은 이세상으로 충분한가',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85.
본문내용
구속받은 그 순간부터 개인의 삶은 천국으로의 연속 시간상에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연스럽게 다음의 명제 '역사는 직선적인 것이며, 인간에 대한 하나님의 계획을 섭취시켜가는 의미있는 사건들의 연속이다' 라는 것에 접근한다. 비록 인간의 행위가 혼란하게 보일지라도 분명한 시작과 끝이 있으며, 그것은 창조-타락-구속-영화의 길을 가는 것이다.
여섯째 명제로는 '인간은 죽음은 하나님 및 그의 백성과 함께 누리는 생명의 문이든지, 인간의 갈망을 궁극적으로 채워주실 유일하신 분과 영원히 갈라서는 문이든지 둘 중 하나이다' 에서 영화된 존재로 변화된 자들의 교제가 이루어지는 천국과 영원히 하나님과 분리된 지옥이 있음을 분명히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께서는 사람과 교통하고 있다'는 명제에서 우리는 설레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바라본다. 그의 교통하심은 '계시'라고 표현되는 자연을 통한 일반계시와 초자연적인 방법을 통한 특별계시로 이루어진다. 특별계시의 정점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셨다. 따라서 사람들은 누구든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과 교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창조주이시자, 지지자이시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속자요 친구가 되신 우주의 주님이신 하나님은 바로 사람과 교통하신다는 놀라운 사실을 들고 싶다. 이러한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할때, 우리는 진정한 사랑과 순종과 찬양을 하나님께 드릴 수 있게 된다.
※참고서적
1) 제임스 사이어 지음, 김헌수 옮김,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IVP. 1985.
2) 송인규, '죄많은 이세상으로 충분한가',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85.
여섯째 명제로는 '인간은 죽음은 하나님 및 그의 백성과 함께 누리는 생명의 문이든지, 인간의 갈망을 궁극적으로 채워주실 유일하신 분과 영원히 갈라서는 문이든지 둘 중 하나이다' 에서 영화된 존재로 변화된 자들의 교제가 이루어지는 천국과 영원히 하나님과 분리된 지옥이 있음을 분명히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하나님께서는 사람과 교통하고 있다'는 명제에서 우리는 설레는 마음으로 하나님을 바라본다. 그의 교통하심은 '계시'라고 표현되는 자연을 통한 일반계시와 초자연적인 방법을 통한 특별계시로 이루어진다. 특별계시의 정점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셨다. 따라서 사람들은 누구든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하나님과 교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창조주이시자, 지지자이시며,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구속자요 친구가 되신 우주의 주님이신 하나님은 바로 사람과 교통하신다는 놀라운 사실을 들고 싶다. 이러한 기독교 세계관을 바탕으로 할때, 우리는 진정한 사랑과 순종과 찬양을 하나님께 드릴 수 있게 된다.
※참고서적
1) 제임스 사이어 지음, 김헌수 옮김,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사상', IVP. 1985.
2) 송인규, '죄많은 이세상으로 충분한가',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8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