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어셈블리어의 정의
2. 어셈블리 언어의 기본적인 구성요소
1). 정수 상수
2). 정수형 수식
3). 실수 상수
4). 문자 상수
5). 문자열 상수
6). 예약어
7). 식별자
8). 디렉티브
9). 명령어
(1). 레이블
(2). 명령어 니모닉
(3). 피연산자
(4). 주석
2. 어셈블리 언어의 기본적인 구성요소
1). 정수 상수
2). 정수형 수식
3). 실수 상수
4). 문자 상수
5). 문자열 상수
6). 예약어
7). 식별자
8). 디렉티브
9). 명령어
(1). 레이블
(2). 명령어 니모닉
(3). 피연산자
(4). 주석
본문내용
어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을 식별하기 위한 짧은 단어이다.
(3). 피연산자
어셈블리 언어 명령어는 0에서 3개까지의 피연산자를 가진다. 각각은 레지스터, 메모리 피연산자, 상수, 입출력 포트가 될 수 있다. 메모리 피연산자는 변수의 이름 혹은 변수의 주소를 갖는 레지스터에 의해 지정된다. 이 때, 변수의 이름은 변수의 주소를 의미한다.
(4). 주석
Comment는 두 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로 시작되는 한줄 주석과, COMMENT 디렉티브와 사용자 지정 심벌로 시작되는 블록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COMMENT 디렉티브를 사용해 주석을 표시할 경우 COMMENT에 뒤따르는 사용자 지점 심벌이 나올 때까지 중간의 모든 내용을 주석으로 간주한다. 즉,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피연산자
어셈블리 언어 명령어는 0에서 3개까지의 피연산자를 가진다. 각각은 레지스터, 메모리 피연산자, 상수, 입출력 포트가 될 수 있다. 메모리 피연산자는 변수의 이름 혹은 변수의 주소를 갖는 레지스터에 의해 지정된다. 이 때, 변수의 이름은 변수의 주소를 의미한다.
(4). 주석
Comment는 두 가지 방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로 시작되는 한줄 주석과, COMMENT 디렉티브와 사용자 지정 심벌로 시작되는 블록 주석을 사용할 수 있다. COMMENT 디렉티브를 사용해 주석을 표시할 경우 COMMENT에 뒤따르는 사용자 지점 심벌이 나올 때까지 중간의 모든 내용을 주석으로 간주한다. 즉,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