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관광정책사례조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외관광정책사례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목:외국관광정책사례연구.
2001.6.19.
영산대호텔경영학과
99301101
유지영
━목 차━
Ⅰ.서 론
Ⅱ.본 론
1.프랑스의 관광정책.
(1)정책이념과 목표
(2)관광객의 만족도
2.영국의 관광정책.
(1)정책이념과 목표
(2)관광갹의 만족도
3. 독일의 관광정책.
(1)정책이념과 목표
(2)관광객의 만족도
4.미국의 관광정책.
(1)국제관광정책목표
(2)국제관광홍보
5.일본의 관광정책.
(1)국제관광선전홍보수단
(2)관광시설의 질적수준 향상
(3)관광서비스의 수준향상.
6.중국의 관광정책.
7.태국의 관광정책.
(1)국제관광선전홍보부문
(2)양적인 관광에서 질적인관광으로
8.싱가폴의 관광정책.
(1)정부의 시장별 전략
(2)컨벤션 산업의 유치
(3)관광수도를 꿈꾸는 싱가폴
(4)차별화된 마케팅전략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판촉 활동 전개.
③ASEAN시장:업계의 개발 판촉 활동에 의존.
④미국시장: 대규모 예산을 투입하여 TV광고에 주력.
⑤한국시장:한국.싱가폴간 항공 노선 확대를 배경으로 한국에 대한 판촉 활동 강화.
(2)컨벤션산업 유치.
좁은 국토와 한정된 노동력으로 신흥 공업 국가 중 비교적 열악한 입장에 있는 싱가폴은 컨벤션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싱가폴이 말레이시아 연방으로 부터의 독립 30주년과 싱가폴 컨벤션사무국 21주년을 맞아 도약의 전기를 마련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산업 정책은 하이테크 기업 유치와 컨벤션산업 진흥이다.
특히 컨벤션 산업은 싱가폴이 가장 중점을 두고있는 분야로, 이를 위해 1995년을 '싱가폴 만남의 해'로 정하고 대규모 국제회의장 건설과 유치 활동에 총력을 기울였다.
싱가폴은 컨벤션 산업 육성을 위해 전용 컨벤션센터와 대규모 숙박 사설을 확충하는 등 국제 회의 개최할 수 있는 여건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싱가폴관광청 관계자는 도쿄, 홍콩차이나, 방콕, 콸라룸푸트 등 아시아 지역 경쟁 도시를 따돌리기 위해서 회의 시설 확충에 끊임없는 투지를 할 예정이다.
(3)관광수도를 꿈꾸는 싱가폴
이처럼 관광목적지로서 싱가포르의 오늘날 명성은 치밀한 마케팅 노력의 결과이다. 싱가포르관광청(STB)은 싱가포르를 마케팅하는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비즈니스로서 관광을 인식하고 관광관련 기업들의 투자유치, 새로운 관광지와 경험 개발 등 새로운 기회 창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동안 싱가포르는 관광분야에서 한계가 없음을 선언한 'Tourism Unlimited' 전략을 추진해왔다. 관광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국가경제에 기여하기 위해 새로운 공간과 영역을 창출하자는 것이다. 1996년 7월, 국가관광계획인 [Tourism 21: Vision of A Tourism Capital] 발표하면서 싱가포르 관광은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이 계획은 급성장하는 아시아·태평양지역 관광에서 선두주자로 나서기 위해 싱가포르를 '관광수도'로 만든다는 것이다. 파리나 뉴욕, 런던을 떠올리면 대도시 이상의 기억, 즉 음식에서 패션, 문화에 이르기까지 관광명소 이상으로 매력적인 장소성(magical sense of place)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방문객에게 세계적인 대도시들처럼 감성적인 면에서 어필할 필요가 있음을 주목하고 특성별로 11개 테마존(thematic zones) 개발하고 세계적 수준의 스포츠, 문화, 예술이벤트를 개최하는 등 관광상품을 재구성하였다.
2000년 9월부터는 '싱가포르에는 색다른 삶이 있다(Live It Up in Singapore)'라는 새로운 캠페인으로 또다시 세계적인 시선을 집중시키고 있다. 다양한 문화의 도시, 공원도시, 재미의 도시, 예술의 도시, 관문의 도시라는 다섯가지 주제아래 101가지 즐길거리를 소개한다. 명소를 둘러보는 차원을 벗어나 관광지의 진면모를 경험하고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하는 것이 주요 테마로서 향후 2년반 동안 진행할 대형 프로그램이다.
(4)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싱가포르가 관광객과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해 전개하는 마케팅전략은 매우 독특하다.
①끊임없는 관광상품의 개발이다. 체험산업으로서 관광을 재인식하고 싱가포르만의 매력을 만드는 데 주력하였다. 세계최초의 나이트 사 파리(night safari)는 사양산업으로 접어든 동물원을 달러박스로 만 들었다.주롱새공원 역시 다양한 각종 새들과 그들이 펼치는 쇼로 인해 끊임없이 새를 훈련시키고 노력하는 싱가포르의 특징 한 면을 볼 수 있 는 예이다.
②싱가포르가 경제 발전을 지속하기 위한 지역화 전략이다.국경을 넘어 주변국 의 다양한 문화와 역사, 자연자원을 활용함으로서, 싱가포르가 관광비즈니스 의 중심지(Tourism Hub) 역할을 한다는 개념이다. 싱가포르의 도시적 분위기 와 인도네시아의 한적한 해안이 종합적인 매력을 연출하는 빈탄리조트 개발 이 좋은 사례이다.
③핵심전략은 협력정신(a spirit of cooperation)이다. 서로 비용경쟁 을 하는 대신 'co-opetion', 즉 경쟁보다 장기적으로 더 많은 이익을 가져올 수 있는 '협력과 경쟁의 조화'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파트너쉽을 강조 하며 상생(win-win)의 원칙하에 모든 부문이 상호 이익을 극대화하는데 목표 를 두고 있다. 이 과정에서 싱가포르관광청은 단순히 프로모션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조정자로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Ⅲ.결론
각국의 관광정책은 각국의 역사적 배경과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기반 조건에 따라 관광현상이 생성.발전되었다.
또한 국제 정치 .경제 상황이 급속히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 관광 환경 또한 급변하는 속성을 갖고 있어 관광정책 환경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개발도상국의 관광정책은 관광산업이 새로운 산업으로 등장하여 관광외화 획득, 고용증대, 지역개발촉진을 목적으로 국가가 지원하고 각종 혜택을 부여한다.
선진국의 관광정책의 경우는 국민의 여가선용의 균등한 기회조장, 생산성 향상, 국민 보건 증진, 소비자 보호측면에서의 양질의 서비스 생산,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각 국이 국제 관광정책의 추진방향을 관광자원을 제대로 활용하여 상품화시키고, 그 나라만의 특색 체험과 감동이 있는 관광 상품개발과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관광상품을 개발한다면, 국가의 이미지 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제성에도 기여 할 것 이다.Y
참고문헌
『저서』
장병권,【한국관광행정론】,일신출판,1996:p174~179.
소태양,【관광학원론】,법문사,1996:p355~361.
채용식,【국제관광정책론】,학문사, 1997:230~248.
임주환,한광종,【관광정책론】,백산출판사,1992:p67~69.
김광식,【현대관광정책론】,삼광출판사,1999:p3763~375.
『사이트』
www.this.co.kr(관광정보연구)
www.traveltime.co.kr(한국여행신문)
www.ktri.re.kr(계간한국관광정책)
www.knto.or.kr.(관광공사자료실)
『논문』
www.myhome.netsgo.com/ecotour(강신겸의관광학연구)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794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