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D 진열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VMD 진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타점포와의 차별화로 직결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거의 동일한 상품진열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할인점에서는 자점포 특유의 코디네이트 방법을 활용하여 타점포와 차별화되도록 연구해야 한다.
(1) 아이템 코디네이트(Item Coordinate)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하나의 상품과 관련된 여러 가지 품목별로 코디네이트시켜 보여 주는 것으로 디자인별, 스타일별, 소재별 등 여러형태의 제안으로 고객이 보기쉽고, 선택하기 쉬운 서비스를 제공한다.〈그림 13〉
(2) 컬러 코디네이트(Color Coordinate)
시선의 주목률을 높이는 가장 큰 요소는 컬러이며 고객의 구매요소 중 컬러의 비중은 스타일, 소재, 가격 등의 요소보다 비교적 높은 편이다. 가령 아이템이 달라도 같은 종류의 색상과 같은 톤의 컬러 코디네이트는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 질 수 있으며, 같은 아이템일 경우에는 컬러의 강한 대비나 변화 등의 개념으로 다양한 코디네이트가 가능하다.〈그림 14〉
(3) 스타일 코디네이트(Style Coordinate)
스타일을 조화시키는 것으로 한가지 스타일로 일관성있게 코디네이트 시키는 것이 기본이다. 엘레강스 스타일, 캐쥬얼 스타일, 포멀 스타일, 클래식 스타일 등이 있다.〈그림15〉
(4) 라이프스타일 코디네이트(Lifestyle Coordinate)
고객의 생활의 한 장면을 연출하는 방법으로 그 장면의 상품 컨셉에 맞는 파티, 가정생활, 레저, 스포츠 등 특정 스타일을 상품연출로 보여주어 소비자 집단의 기대와 욕구를 시각적으로 코디네이트한다. Party, Out Door, Sports, Business, Picnic 등의 일상생활에 있을 수 있는 생활의 한 장면을 상품연출에 연관시켜 연출한다.
(5) 시즌 이미지 코디네이트(Season Image Coordinate)
시즌을 미리 예시하여 시즌의 패션정보나 생활상식을 제공하기 위한 상품연출이며, 이 때에는 상품선택이 중요하며 트랜드 변화에 주의한다.특히 할인점의 경우 이벤트성을 가진 계절상품의 기획행사시에는 시즌 이미지를 표현하는 코디네이트를 실행하는 경우가 많다.〈그림16〉봄, 여름, 가을, 겨울 외에 설날, 신학기, 바캉스 시즌, 추석, 크리스마스 등 1년간 기념되는 계절 이미지를 상품과 연관시켜 연출한다.
(6) 웨어링 코디네이트(Wearing Coordinate)
일반적인 의상 코디네이트를 말하며, 의류진열시 핸드백, 구두, 스카프, 모자 등의 패션잡화나 선글래스, 이어링, 팔찌 등의 액세사리까지 조화시켜 착용했을 때의 이미지 전체를 코디네이트하는 것을 말한다.〈그림17〉 이 때, 소도구 또는 집기로서 마네킹, 바디, 옷걸이 등을 사용한다.
(7) 토털 코디네이트(Total Coordinate)
웨어링이 완전한 조화를 이루기 위해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그리고 악세사리는 믈론 표정이나 포즈까지 포함된 전체적인 코디네이트를 말하기도 하며, 침실이나 키친등의 생활인테리어의 경우에 있어서 벽면 도배, 바닥 장식재, 조명, 가구, 커튼, 인테리어 소품 등 주거공간을 완벽하게 코디네이트 시키는 것도 이에 해당된다.〈그림18〉
?코디네이트 유형별 사례

마. 연출 구성
(1) 직선형 구성
수평, 수직, 사선구성이 있으며, 보기쉽고, 자연스러운 형태가 만들어진다. 시선의 좌우, 상하의 움직임으로 유도하여 다양한 상품을 보여줄 수 있다.
(2) 삼각형 구성
상품연출의 대부분은 삼각구성으로 하는 경우가 많다. 삼각형 구성은 시각적으로 가장 안정감을 주고 조형적으로 완벽한 균형을 유지하여 비교적 손쉽게 진열 할 수 있으며, 직삼각형, 정삼각형 등 여러형태의 삼각형구성으로 상품의 연출유형에 리듬감과 변화감을 부여할 수 있다.
(3) 곡선 구성타원형, 나선, 유선형 등 부드러운 리듬감과 변화감을 연출한다.
(4) 방사상 구성상품의 다양함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구성법으로 디자인별, 색상별, 패턴별로 분류하여 벽면에 핀으로 고정시키거나 테이블에 평면으로 진열하는 경우가 많다.


바. 진열 방법
(1) 패깅(Pegging) ‘Peg’는 ‘나무못이나 말뚝에 걸다’라는 뜻으로, ‘Pegging’은 상품을 못이나 걸이개형식의 집기에 걸어놓는 상품진열방법이다. 건전지나 필름, 각종 공구 등의 걸이개에 걸 수 있도록 포장된 한 가지 아이템의 상품이나 색상별로 일률적으로 걸어놓아, 포장된 상품의 앞면이 보이도록 하여, 고객이 쉽게 상품을 만질 수 있도록 하는 진열법으로서, 할인점이나 수퍼마켓에서 많이 활용된다. 의류상품의 경우 야구모자나 배낭, 양말 등의 진열에 활용된다.〈그림19〉
(2) 쉘빙(Shelving) 선반이나 곤도라에 상품을 정리정돈하여 진열하는 방법으로, 니트류, 셔츠, 진 슬랙스 등의 의류상품을 개어서 진열하거나 대부분의 창고형 도매할인점, 수퍼마켓에서 활용하는 단순한 진열법이다. 한 가지 아이템의 상품이나 기능이 같은 상품, 색상, 스타일, 사이즈 등으로 분류하여 진열하며, 상단과 중간, 하단으로 진열방법을 차별하는 경우도 있다.〈그림20〉

(3) 행잉(Hanging) 긴 파이프형태의 집기에 상품을 걸어놓는 진열법으로 대부분 의류를 진열할 때 활용한다. 의류를 스타일별, 색상별, 사이즈별로 구분하여 진열하며. 고객이 쉽게 만질 수 있도록 적당한 수량을 진열한다. 상품의 가격이나 사이즈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프라이스 카드나 간
단한 POP를 사용하면 효과적이다.〈그림21〉
(4) 스택킹(Stacking)
매대나 깔판위에 상품을 대량으로 쌓아놓는 진열법이다. 저가상품의 경우나 기획상품, 이벤트 상품 등 광고용의 상품등을 박스상태나 벌크형식으로 진열한다. 고객의 시선을 유도, 저가상품임을 호소하여 구매충동를 자극시킨다.
(5) 덤핑(Dumping) 특정의 집기없이 여러 가지 상품을 동시에 진열하여 저가상품임을 강조하여 고객의 시선을 유도한다. 한꺼번에 여러상품을 놓고 판매하는 것이므로 상품이 상할 수도 있고, 고객이 상품을 선택하기 힘들다는 것이 단점이기는 하지만, 재고량을 줄이기 위한 판매정책중의 하나이며, 여러상품을 동일가격으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어 이벤트적인 요소를 갖고있는 진열법으로서, 할인점에서
  • 가격3,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03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