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개론 시험 답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컴퓨터 개론 시험 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위에 탑재(주로 UNIX)
전용 서버에 운영체제로 직접 탑재되는 NOS
제품
◆ NetWare◆ LAN Manager◆ VIENS
◆ NetWare◆ LAN Manager◆ VIENS
◆ NetWare◆ Windows NT
12번
인터럽트의 뜻
영어 사전을 찾아보면
interrupt: 가로 막다, 중단하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컴퓨터에서 인터럽트는 무었일까요??
인터럽트는 프로세서에게 보내는 하드웨어 신호입니다.
신호를 받은 컴퓨터는 일을 멈추고 다른 프로그램을 시작하게 됩니다.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 예기치 않은 특수한 상태가 발생하면 작업을 중단하고 먼저 처리한 다음, 이전에 처리하던 작업으로 되돌아가
나머지 작업을 계속 수행하는 과정을 인터럽트라고 합니다.
예기치 않은 특수한 상태에 대표적으로 i/o입출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마우스로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하여 제가 하고있는 프로세스를 잠시
중단하고 시작 버튼을 누렀을때에 일(프로그램의 실행)을 처리 하도록 하는게 대표적이라 할수 있습니다.
그럼 인터럽트의 처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 알아 보겠습니다.
여기서 인터럽트 신호가 오게되면 원래 프로그램의 명령 까지 수행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첫번째 명령어 주소를 PC에 저장한다.
그러면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프로그램이 끝나면
다시 원래 프로그램을 수행하게끔 만들어준다.
그림
1.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프로세스
{
PC1 int i;
PC2 i=i+1;
............
PC54 i=i-4; ->여기서 인터럽트 신호가 오면 이 명령까지 수행한뒤
PC55 i=i+3;
}
stack or PCB
{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
PC 202 int j;
PC 203 j=j+1;
}
2. 인터럽트 발생후 처리 첫번째
프로세스
{
PC1 int i;
PC2 i=i+1;
............
PC54 i=i-4; ->모든 레지스터 내용을 stack 이나 PCB에 넣어줌
PC55 i=i+3;
}
stack or PCB
{
프로세스1에 대한 레지스터 정보를 여기다 저장해줌
저장해 두고 나면 PC에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PC의 첫번째 주소값 202를 넣어줌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
PC 202 int j;
PC 203 j=j+1;
PC 204 end
}
3.인터럽트 발생후 두번째
프로세스
{
PC1 int i;
PC2 i=i+1;
............
PC54 i=i-4;
PC55 i=i+3;
}
stack or PCB
{
프로세스1에 대한 레지스터 정보를 여기다 저장되어 있음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
PC 202 int j;->그러고 나면 여기서 부터 프로그램이 가동 되고
PC 203 j=j+1;
PC 204 end->프로그램이 여기까지 수행되면
}
4.인터럽트 발생후 세번째
프로세스
{
PC1 int i;
PC2 i=i+1;
............
PC54 i=i-4;
PC55 i=i+3;->여기서 부터 다시 수행됨
}
stack or PCB
{
프로세스1에 대한 레지스터 정보를 다시 원래대로 만들고 PC에 주소값 55 를 넣어주면 중단 되었던 프로세스가 다시 수행되게 된다.
}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
PC 202 int j;
PC 203 j=j+1;
PC 204 end
}
여기서 궁금한점 PC주소값 55는 어떻게 알고 잇을까???
인터럽트 요청이 와서 그 다음 명령이 수행될 주소값 (55)을 stack이나 PCB에서 저장하고 있고
원래 PC 값은 계속 바뀌게 됩니다.
한마디로 요쥔하자면
stackPC = PC(프로세스에 다음 번 수행될 PC주소)
해놓고 여기서 저장하고 있다는 거지요.
그리고 나서 PC에는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첫번째 주소값이 들어가게 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을 실행합니다.
그러면 PC는 202....203....204이렇게 가다가 서비스 루틴의 마지막 명령에 의해서 다시 PC는 55를 가지게 됩니다.
이러한 55는 stack이나 PCB에서 55를 저장해둔것을 다시 PC에 저장 시키겠죠 ^^;;
두번째 궁금한점????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은 어떻게 끝에 오게 되면 다시 스택 이나 PCB 내용을 원래대로 복구하라는 명령을 하게 될까???
아마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마지막 명령어에 이르게 되면 스택 이나 PCB 내용을 원래 복구하라고 처음부터 설계된 거 같습니다.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마지막 명령어가 다시 원래 프로세스로 돌아가게 설계되어 있지 않은 것도 있습니다만........
잘모르므로 생략하겟습니다.
PC
중앙처리장치 (CPU)안에 들어있는 제어장치 중에 포함되 있는 장치로써
다음에 수행할 명령어의 주소(Address)를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 입니다.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은 인터럽트가 왔을때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말한다.
PCB
특정한 프로세스를 관리할 필요가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운영 체제 커널의 자료 구조이다.
운영체제에 따라 PCB에 포함되는 항목이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PCB에 들어간 정보
프로세스 식별자(Process ID)
프로세스 상태(Process State) : 생성(new), 준비(ready), 실행(running), 대기(waiting), 완료(terminated) 상태가 있다.
프로그램 계수기(Prgoram Counter) : 프로그램 계수기는 이 프로세스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리킨다.
CPU 레지스터 및 일반 레지스터
CPU 스케줄링 정보 : 우선 순위, 최종 실행시각, CPU 점유시간 등
메모리 관리 정보 : 해당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 등
프로세스 계정 정보 : 페이지 테이블, 스케줄링 큐 포인터, 소유자, 부모 등
입출력 상태 정보 : 프로세스에 할당된 입출력장치 목록, 열린 파일 목록 등
PCB의 위치
PCB가 프로세스의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접근하지 못하도록 보호된 메모리 영역 안에 남는다. 일부 운영 체제에서 PCB는 커널 스택의 처음에 위치한다. (이 메모리 영역은 편리하면서도 보호를 받는 위치이기 때문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0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