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 론 ‥‥‥‥‥‥‥‥‥‥‥‥‥‥‥‥‥‥‥‥‥‥‥‥‥‥‥‥‥
1
제1절 연구 목적 ‥‥‥‥‥‥‥‥‥‥‥‥‥‥‥‥‥‥‥‥‥‥
1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2
제2장 문헌연구 ‥‥‥‥‥‥‥‥‥‥‥‥‥‥‥‥‥‥‥‥‥‥‥‥‥‥‥‥
3
제1절 CAPM의 이론의 개요 ‥‥‥‥‥‥‥‥‥‥‥‥‥‥‥
3
제2절 증권시장선의 도출 ‥‥‥‥‥‥‥‥‥‥‥‥‥‥‥‥‥
5
제3절 CAPM 이론의 한계 ‥‥‥‥‥‥‥‥‥‥‥‥‥‥‥‥
7
제4절 국내증권시장에 대한 CAPM 선행연구 검토 ‥‥‥
8
제3장 한국증권시장에서의 CAPM 검증 ‥‥‥‥‥‥‥‥‥‥‥‥‥‥‥
10
제1절 가설의 설정 ‥‥‥‥‥‥‥‥‥‥‥‥‥‥‥‥‥‥‥‥
10
제2절 표본의 선정 및 자료 모집 ‥‥‥‥‥‥‥‥‥‥‥‥
10
제3절 자료의 처리 ‥‥‥‥‥‥‥‥‥‥‥‥‥‥‥‥‥‥‥‥
11
제4절 가설의 검증 ‥‥‥‥‥‥‥‥‥‥‥‥‥‥‥‥‥‥‥‥
13
제4장 결 론 ‥‥‥‥‥‥‥‥‥‥‥‥‥‥‥‥‥‥‥‥‥‥‥‥‥‥‥‥‥
15
제1절 연구의 요약 ‥‥‥‥‥‥‥‥‥‥‥‥‥‥‥‥‥‥‥‥
15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5
참고문헌 ‥‥‥‥‥‥‥‥‥‥‥‥‥‥‥‥‥‥‥‥‥‥‥‥‥‥‥‥‥‥‥
17
부 록 ‥‥‥‥‥‥‥‥‥‥‥‥‥‥‥‥‥‥‥‥‥‥‥‥‥‥‥‥‥‥‥‥
18
<그림2-1> 자본시장선 ‥‥‥‥‥‥‥‥‥‥‥‥‥‥‥‥‥‥‥‥‥‥‥‥‥
3
<그림2-2> 증권시장선 ‥‥‥‥‥‥‥‥‥‥‥‥‥‥‥‥‥‥‥‥‥‥‥‥‥
5
<그림3-1> 삼성전자의 증권특성선 ‥‥‥‥‥‥‥‥‥‥‥‥‥‥‥‥‥‥
11
<그림3-2> SK텔레콤의 증권특성선 ‥‥‥‥‥‥‥‥‥‥‥‥‥‥‥‥‥
12
<그림3-3> 현대자동차의 증권특성선 ‥‥‥‥‥‥‥‥‥‥‥‥‥‥‥‥‥
12
<그림3-4> 추정된 SML과 개별주식의 베타-수익률 ‥‥‥‥‥‥‥‥‥
14
<표3-1> 분석 대상 회사의 개요‥‥‥‥‥‥‥‥‥‥‥‥‥‥‥‥‥‥‥‥
10
<표3-2> 각 주식의 평균수익률과 분산 ‥‥‥‥‥‥‥‥‥‥‥‥‥‥‥‥
11
<표3-3> 회귀분석에 의한 의 추정‥‥‥‥‥‥‥‥‥‥‥‥‥‥‥‥‥‥
11
<표3-4> 삼성전자의 단순회귀 ANOVA ‥‥‥‥‥‥‥‥‥‥‥‥‥‥‥
12
<표3-5> SK텔레콤의 단순회귀 ANOVA ‥‥‥‥‥‥‥‥‥‥‥‥‥‥‥
12
<표3-6> 현대전자의 단순회귀 ANOVA ‥‥‥‥‥‥‥‥‥‥‥‥‥‥‥
12
<표3-7> 시장평균수익률과 무위험수익률(일간) ‥‥‥‥‥‥‥‥‥‥‥
13
<표3-8> 개별증권의 , , , , ‥‥‥‥‥‥‥‥‥‥‥‥‥
13
<표3-9> 추정값과 실제값의 비교 ‥‥‥‥‥‥‥‥‥‥‥‥‥‥‥‥‥‥‥
13
<표3-10> SML에 의한 수익률과 실제수익률 비교 ‥‥‥‥‥‥‥‥‥
14
1
제1절 연구 목적 ‥‥‥‥‥‥‥‥‥‥‥‥‥‥‥‥‥‥‥‥‥‥
1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2
제2장 문헌연구 ‥‥‥‥‥‥‥‥‥‥‥‥‥‥‥‥‥‥‥‥‥‥‥‥‥‥‥‥
3
제1절 CAPM의 이론의 개요 ‥‥‥‥‥‥‥‥‥‥‥‥‥‥‥
3
제2절 증권시장선의 도출 ‥‥‥‥‥‥‥‥‥‥‥‥‥‥‥‥‥
5
제3절 CAPM 이론의 한계 ‥‥‥‥‥‥‥‥‥‥‥‥‥‥‥‥
7
제4절 국내증권시장에 대한 CAPM 선행연구 검토 ‥‥‥
8
제3장 한국증권시장에서의 CAPM 검증 ‥‥‥‥‥‥‥‥‥‥‥‥‥‥‥
10
제1절 가설의 설정 ‥‥‥‥‥‥‥‥‥‥‥‥‥‥‥‥‥‥‥‥
10
제2절 표본의 선정 및 자료 모집 ‥‥‥‥‥‥‥‥‥‥‥‥
10
제3절 자료의 처리 ‥‥‥‥‥‥‥‥‥‥‥‥‥‥‥‥‥‥‥‥
11
제4절 가설의 검증 ‥‥‥‥‥‥‥‥‥‥‥‥‥‥‥‥‥‥‥‥
13
제4장 결 론 ‥‥‥‥‥‥‥‥‥‥‥‥‥‥‥‥‥‥‥‥‥‥‥‥‥‥‥‥‥
15
제1절 연구의 요약 ‥‥‥‥‥‥‥‥‥‥‥‥‥‥‥‥‥‥‥‥
15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15
참고문헌 ‥‥‥‥‥‥‥‥‥‥‥‥‥‥‥‥‥‥‥‥‥‥‥‥‥‥‥‥‥‥‥
17
부 록 ‥‥‥‥‥‥‥‥‥‥‥‥‥‥‥‥‥‥‥‥‥‥‥‥‥‥‥‥‥‥‥‥
18
<그림2-1> 자본시장선 ‥‥‥‥‥‥‥‥‥‥‥‥‥‥‥‥‥‥‥‥‥‥‥‥‥
3
<그림2-2> 증권시장선 ‥‥‥‥‥‥‥‥‥‥‥‥‥‥‥‥‥‥‥‥‥‥‥‥‥
5
<그림3-1> 삼성전자의 증권특성선 ‥‥‥‥‥‥‥‥‥‥‥‥‥‥‥‥‥‥
11
<그림3-2> SK텔레콤의 증권특성선 ‥‥‥‥‥‥‥‥‥‥‥‥‥‥‥‥‥
12
<그림3-3> 현대자동차의 증권특성선 ‥‥‥‥‥‥‥‥‥‥‥‥‥‥‥‥‥
12
<그림3-4> 추정된 SML과 개별주식의 베타-수익률 ‥‥‥‥‥‥‥‥‥
14
<표3-1> 분석 대상 회사의 개요‥‥‥‥‥‥‥‥‥‥‥‥‥‥‥‥‥‥‥‥
10
<표3-2> 각 주식의 평균수익률과 분산 ‥‥‥‥‥‥‥‥‥‥‥‥‥‥‥‥
11
<표3-3> 회귀분석에 의한 의 추정‥‥‥‥‥‥‥‥‥‥‥‥‥‥‥‥‥‥
11
<표3-4> 삼성전자의 단순회귀 ANOVA ‥‥‥‥‥‥‥‥‥‥‥‥‥‥‥
12
<표3-5> SK텔레콤의 단순회귀 ANOVA ‥‥‥‥‥‥‥‥‥‥‥‥‥‥‥
12
<표3-6> 현대전자의 단순회귀 ANOVA ‥‥‥‥‥‥‥‥‥‥‥‥‥‥‥
12
<표3-7> 시장평균수익률과 무위험수익률(일간) ‥‥‥‥‥‥‥‥‥‥‥
13
<표3-8> 개별증권의 , , , , ‥‥‥‥‥‥‥‥‥‥‥‥‥
13
<표3-9> 추정값과 실제값의 비교 ‥‥‥‥‥‥‥‥‥‥‥‥‥‥‥‥‥‥‥
13
<표3-10> SML에 의한 수익률과 실제수익률 비교 ‥‥‥‥‥‥‥‥‥
14
본문내용
동차는 고평가되어 있다는 판단을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제4장 결 론
제1절 연구의 요약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 SK텔레콤, 현대자동차 등의 3개 주식에 대한 4년5개월간의 주가자료를 이용하여 CAPM 이론의 핵심인 증권시장선이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우선 증권특성선(SCL)에서는 개별주식의 수익률과 종합주가지수 수익률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는 결정계수가 약 0.626에 달하고 있으며, SK텔레콤과 현대자동차도 결정계수가 0.4 이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삼성전자의 수익률이 특별히 종합주가지수 수익률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삼성전자 단일 종목의 시가총액이 전체주식시장 시가총액의 13.9%에 달하여 2001년 7월 현재의 자료임. (증권거래소, 「주식」, 2001년8월호(제396호), 통계편 pp37)
시가총액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증권거래소의 종합주가지수 산출방법이 시가총액식임을 고려한다면 종합주가지수 수익률 결정에 삼성전자가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SK텔레콤의 경우도 시가총액 기준 8.4%로 3위의 기업이고, 현대자동차는 2.4%로 시가총액 9위의 기업이기 때문에 2001년 7월 현재의 자료임. (앞의 자료, 통계편 pp37)
역시 같은 이유로 높은 상관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증권시장선에 의한 개별주식의 수익률의 설명력을 확인한 결과에서는 삼성전자의 경우는 거의 정확하게 증권시장선에 의해 수익률이 설명되고 있었고, SK텔레콤과 현대자동차는 실제의 수익률과 약25% 가량의 오차를 가지고 있어 설명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개별주식의 위험과 수익률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CAPM 이론의 설명력을 검증하여 보았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한계로 인하여 본 연구 결과의 신뢰도에 다소간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첫째, 검증에 채택된 표본 주식의 수가 세 종목에 불과하고, 검증대상기간은 4년 5개월(53개월)로 매우 짧은 기간이었다. 표본의 수가 적음으로 인해서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결과의 가치에 문제가 있으며, 또한 전체기간을 단일기간으로 처리하여 시간 구간별 비교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둘째, 자료의 통계적 처리가 정치(精緻)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이론적으로 시장수익률은 모든 주식뿐만 아니라 채권, 부동산 등 모든 위험자산으로부터 산출되어야 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이의 대용치로 종합주가지수를 사용하였다. 종합주가지수의 모든 위험자산에 대한 대표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넷째, 개별 주식에 대한 분석만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을 때의 위험-수익률 관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도 아쉽게 생각되는 부분이다.
다섯째, 현실적인 한계이겠지만 이론상 사전적(ex-ante)으로 베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과거의 자료로부터 통계적 처리를 통하여 추출한 사후적(ex-post) 베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과거의 자료가 시간 구간(time horizon)의 설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베타 또한 해당 주식의 진정한 베타를 대신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고 하겠다.
이러한 한계를 최대한 극복하고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표본 주식의 수와 연구대상 기간을 충분히 확대하고, 개별주식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다양한 포트폴리오 조합에 대한 분석까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보다 치밀한 통계적 처리를 함으로써 한국증권시장에서의 CAPM 이론의 성립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찬표구본열(1996), 현대재무론, 비봉출판사
김대호오세경(2000), 증권투자론, 경문사
김우철외7인(2000), 현대통계학, 영지문화사
이경욱이정도(1992), 재무관리, 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이철송(2000), 회사법강의, 박영사
정한규(1999), 재무관리원론, 경문사
지청장하성(2000), 재무관리, 법경사
증권거래소(2001), 주식(2001년5월호, 제393호), 증권거래소
증권거래소(2001), 주식(2001년8월호, 제396호), 증권거래소
한국신용정보매경Economy(2001), 상장기업분석(2001년 봄호), 한국신용정보
Zvi BodieAlex KaneAlan J. Marcus(2001), Essentials of Investments, New York, Mc Grow Hill
국찬표한상일(1999), “조건부 CAPM을 이용한 주식수익률 변화의 횡단면적 설명력”, 재무연구, Vol.17 pp147-180, 한국재무학회
김대영(1999), “한국증권시장에서의 CAPM의 다변량 검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나상호(1995), “제로베타 CAPM의 다변량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정희(1989), “한국증권시장에서의 CAPM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제승(1991), “한국증권시장의 CAPM 실증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태백(1999), “CAPM과 베타는 죽었는가?”, 증권학회지, Vol.24 pp239-510, 한국증권학회
이순희(1987),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에 관한 실증적 연구(우리나라의 증권시장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용(1995), “조건부 CAPM에 관한 실증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원(2000), “베타를 이용한 한국증권시장에서의 CAPM 유용성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담(1996), “조건부 이분산성을 이용한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의 실증적 검증”, 재무연구, Vol.12 pp51-76, 한국재무학회
조성준(1998), “조건부 CAPM 검증 : 위험의 시장가격이 시간가변성을 가지는 경우의 실증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청(1982), “현대포트폴리오 이론과 CAPM의 실증적 연구”, 증권학회지, Vol.3, pp109-143, 한국증권학회
인터넷사이트
한국은행, 2001, 경제통계, http://www.bok.or.kr/
제4장 결 론
제1절 연구의 요약
본 연구에서는 삼성전자, SK텔레콤, 현대자동차 등의 3개 주식에 대한 4년5개월간의 주가자료를 이용하여 CAPM 이론의 핵심인 증권시장선이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우선 증권특성선(SCL)에서는 개별주식의 수익률과 종합주가지수 수익률의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삼성전자의 경우는 결정계수가 약 0.626에 달하고 있으며, SK텔레콤과 현대자동차도 결정계수가 0.4 이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삼성전자의 수익률이 특별히 종합주가지수 수익률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은 삼성전자 단일 종목의 시가총액이 전체주식시장 시가총액의 13.9%에 달하여 2001년 7월 현재의 자료임. (증권거래소, 「주식」, 2001년8월호(제396호), 통계편 pp37)
시가총액으로 1위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 증권거래소의 종합주가지수 산출방법이 시가총액식임을 고려한다면 종합주가지수 수익률 결정에 삼성전자가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SK텔레콤의 경우도 시가총액 기준 8.4%로 3위의 기업이고, 현대자동차는 2.4%로 시가총액 9위의 기업이기 때문에 2001년 7월 현재의 자료임. (앞의 자료, 통계편 pp37)
역시 같은 이유로 높은 상관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증권시장선에 의한 개별주식의 수익률의 설명력을 확인한 결과에서는 삼성전자의 경우는 거의 정확하게 증권시장선에 의해 수익률이 설명되고 있었고, SK텔레콤과 현대자동차는 실제의 수익률과 약25% 가량의 오차를 가지고 있어 설명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개별주식의 위험과 수익률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CAPM 이론의 설명력을 검증하여 보았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한계로 인하여 본 연구 결과의 신뢰도에 다소간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첫째, 검증에 채택된 표본 주식의 수가 세 종목에 불과하고, 검증대상기간은 4년 5개월(53개월)로 매우 짧은 기간이었다. 표본의 수가 적음으로 인해서 결과에 대한 통계적 결과의 가치에 문제가 있으며, 또한 전체기간을 단일기간으로 처리하여 시간 구간별 비교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둘째, 자료의 통계적 처리가 정치(精緻)하게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이론적으로 시장수익률은 모든 주식뿐만 아니라 채권, 부동산 등 모든 위험자산으로부터 산출되어야 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이의 대용치로 종합주가지수를 사용하였다. 종합주가지수의 모든 위험자산에 대한 대표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넷째, 개별 주식에 대한 분석만을 수행함으로써, 포트폴리오를 구성했을 때의 위험-수익률 관계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도 아쉽게 생각되는 부분이다.
다섯째, 현실적인 한계이겠지만 이론상 사전적(ex-ante)으로 베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과거의 자료로부터 통계적 처리를 통하여 추출한 사후적(ex-post) 베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하는 과거의 자료가 시간 구간(time horizon)의 설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베타 또한 해당 주식의 진정한 베타를 대신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고 하겠다.
이러한 한계를 최대한 극복하고 신뢰도가 높은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표본 주식의 수와 연구대상 기간을 충분히 확대하고, 개별주식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다양한 포트폴리오 조합에 대한 분석까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보다 치밀한 통계적 처리를 함으로써 한국증권시장에서의 CAPM 이론의 성립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찬표구본열(1996), 현대재무론, 비봉출판사
김대호오세경(2000), 증권투자론, 경문사
김우철외7인(2000), 현대통계학, 영지문화사
이경욱이정도(1992), 재무관리, 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이철송(2000), 회사법강의, 박영사
정한규(1999), 재무관리원론, 경문사
지청장하성(2000), 재무관리, 법경사
증권거래소(2001), 주식(2001년5월호, 제393호), 증권거래소
증권거래소(2001), 주식(2001년8월호, 제396호), 증권거래소
한국신용정보매경Economy(2001), 상장기업분석(2001년 봄호), 한국신용정보
Zvi BodieAlex KaneAlan J. Marcus(2001), Essentials of Investments, New York, Mc Grow Hill
국찬표한상일(1999), “조건부 CAPM을 이용한 주식수익률 변화의 횡단면적 설명력”, 재무연구, Vol.17 pp147-180, 한국재무학회
김대영(1999), “한국증권시장에서의 CAPM의 다변량 검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나상호(1995), “제로베타 CAPM의 다변량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정희(1989), “한국증권시장에서의 CAPM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제승(1991), “한국증권시장의 CAPM 실증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안태백(1999), “CAPM과 베타는 죽었는가?”, 증권학회지, Vol.24 pp239-510, 한국증권학회
이순희(1987),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에 관한 실증적 연구(우리나라의 증권시장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승용(1995), “조건부 CAPM에 관한 실증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원(2000), “베타를 이용한 한국증권시장에서의 CAPM 유용성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담(1996), “조건부 이분산성을 이용한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의 실증적 검증”, 재무연구, Vol.12 pp51-76, 한국재무학회
조성준(1998), “조건부 CAPM 검증 : 위험의 시장가격이 시간가변성을 가지는 경우의 실증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청(1982), “현대포트폴리오 이론과 CAPM의 실증적 연구”, 증권학회지, Vol.3, pp109-143, 한국증권학회
인터넷사이트
한국은행, 2001, 경제통계, http://www.bok.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