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노벨상의 제정경위와 과학자의 윤리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 노벨상의 제정경위와 과학자의 윤리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노벨상 제정 경위
의사(擬似)과학의 문제, 과학자의 윤리적 접근

본문내용

다르
다. 1986년 MIT에서 수행한 이마니시-카리와 노벨 의학상 수상자 볼티모어가
공저자로 된 논문이 < 셀(Cell) >에 발표되었다. 이 논문은 생쥐에 유전자를 이
식시켜 항체생산의 유도가 가능했다는 결과였다. 논문이 나온 지 1개월도 되지
않아 그 때 터프츠 대학에 있던 이마니시-카리의 연구원 오투울(Margot
O\'Toole)은 이 논문의 이마니시-카리가 수행한 부분에 실제 증명되지 않은 것을
증명된 것처럼 하여 포함시켰다는 문제를 제기하였다.
이에 연구비를 지급한 국립보건원 등에서 이 문제를 검토했으며 실험결과에
오류가 있기는 했으나 주요 결론에 위협을 주는 정도는 아니며 날조 혐의는 없
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1989년 오투울은 좀 더 강도를 높여 이마니시-카
리의 연구는 날조된 것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고 딩얼(John Dingell) 의원과 같
은 정치인도 가세하였다. 딩얼은 수사당국에 의뢰하여 실험노트를 검토하게 하
여 날조가 증명되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런 다툼의 소용돌이 속에서 이마니시-카리를 지지한 볼티모어는 록펠러 대
학 총장직을 사임하게 되었으며 국립보건원에서 문제는 HHS(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로 넘어갔다. 1996년 최종적으로 날조혐의가 없다
는 결론이 내려져 문제는 일단락 되었으나 10년간 계속된 아미니시-카리 문제는
언론에 널리 보도되어 과학에 심각한 타격을 입혔다. 과학자도 그렇고 그런 인
물이라는 인식을 대중에게 심어 주기에 충분했다.
다시 말해서 과학자의 세계에서 날조는 과학에 불신을 심어 주는 가장 파괴
적인 행위이지만 과학에는 이를 방지하는 메커니즘이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이
엄격한 평가기능이 있는 잡지에 발표하여야 일차적 인정을 통과한 것이라는 개
념이다. 그러나 의사과학 판별법에 게시한 대로 대부분 초정상 내용은 그렇지
못한 때문에 문제가 된다. 기자회견에서 발표하거나 자신들만의 학술적 규격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잡지에 발표된다. 사실상 과학이라고 인정받을 수 없는 것
이 거의 전부이지만 일반인은 그것을 과학으로 오인한다.
필자는 우리의 신과학 연구에 \'철저하지 못한 연구\'는 있다고 하더라도 날조는
없으리라고 믿고 싶다. 그러나 날조란 자료자체를 조작하지 않고도 증명된 것이
아닌 것을 알고도 증명된 것처럼 말하는 의도적인 속임수도 포함되므로 연구자
의 날조가 있을 가능성도 크다고 본다. 예를 들어 알 만한 과학자가 텔레비전에
서 꿈연구를 통해 텔레파시의 존재를 증명한다고 하자. 이때 그 실험이 철저하
지 못한 것을 알고서도 적당히 보여주며 결론적으로 텔레파시가 존재한다고 말
할 경우에 이것은 마찬가지로 날조이다. 만일 어떤 과학자의 행위가 분명한 날
조라는 것을 입증한다면 그는 과학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윤리위반, 아니 범죄를
저지르는 행위를 했다고도 말할 수 있다.
4. 타인의 공로인정과 인용, 뉴에이지 작가의 수법
다음에 과학의 윤리 중에 중요한 것이 타인의 공로를 인정해야 한다는 조항이
다. 타인의 아이디어, 연구결과는 잡지에 발표된 것은 물론이고 개인적으로 들은
사항일지라도 반드시 인용하여 나타내어야 한다. 인용은 이와 같이 타인의 공로
를 인정한다는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중요할 뿐만 아니라 과학의 형식을 갖추어
주는 중요한 사항이다. 인용된 문헌을 보고 실험방법의 정확성뿐만 아니라, 연구
의 가설과 결론의 정확성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학의 세계에서 대부분 인용의 문제는 타인의 연구결과를 인용하지 않고 도
용하는 경우이며 이 때 과학자는 윤리위반으로 상응하는 처벌을 받게 된다. 또
한 과학의 형식을 위반한 잘못된 인용은, 자신의 가설과 결론을 합리화하려는
과정에서 잘못된 인용이 있더라도 심사과정에서 걸러진다.
그러나 거짓 인용으로 내용을 사실인 것처럼 의도적으로 나타낼 경우에, 프로
파간다를 목적으로 한 낮은 수준의 연구가 이런 경우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날조
에 버금가는 윤리위반으로 간주되어 경력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는지도 모른
다. 타인의 공로 인정 위배 차원이 아니라 그 자체 날조에 해당될는지도 모른다
는 것이다.
초정상 내용을 다루는 뉴에이지 책에는 많은 문헌이 인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셸드레이크(Rupert Sheldrake)의 1981년 < 새로운 과학 생명(A New
Science Life) >에는 약 200개의 학술문헌이 인용되어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04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