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본문내용
- 약 24시간 이후 석고 붕대가 마르면 보행이 가능함
- 석고붕대를 하고있는 동안 여러가지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유과정을 도우며
석고를 제거한 후 재활도 용이하도록 하기위해 특별한 금기사항이 없는 한
전문인의 처방에 따라 운동을 계획함
[약물요법]
1) 전문인의 처방에 따라
-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4 - 7일 이상은 사용하지 말고 통증이
있을때만 사용함
-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사용함
2) 통증이 약할 경우 의사의 처방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진통제
(예: 아세트 아미노펜) 를 사용할 수 있음
[생활시 유의사항]
- 수술후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우울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능한 빨리
정상생활과 일을 시작함
- 수술후 6주 동안은 격심한 운동을 피함
- 퇴원후 완전히 치유되었다는 전문인의 말이 있을때 운전을 시작할 수 있음
[식이요법]
- 수술부위 치유촉진을 위해 균형잡힌 식사와 고단백식이를 섭취함
- 활동이 적어서 생길 수 있는 변비가 있으면 물과 섬유질 음식을 많이
섭취함
[전문인과 상담해야 할 경우]
- 석고붕대한 부위의 지속적이고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
- 석고붕대를한 끝부분의 피부 색깔이 변하거나 냉감, 저릿한 감각이
있는 경우
- 석고붕대를 하기 전보다 더욱 조직부종이 커진 경우
- 이미 설명된것 이외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날 경우
- 치료에 사용된 약물에 의해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Cast and traction
■ 석고붕대 (cast)
< 목적 >
1. 골편을 정복된 상태로 유지 고정
2. 연조직에 균일한 압박
3. 기형을 교정하고 방지한다.
< 석고 붕대의 종류 >
▷ short-arm cast
팔꿈치 아래부터 손목까지 하는 붕대
▷ Gauntlet cast
팔꿈치 아래부터 손목까지를 하고 엄지를 포함시킨다.(thumb spica)
▷ long-arm cast
액와 위쪽에서부터 손목까지 팔꿈치는 보통 90도 각도로 고정된다.
▷ short-leg cast
무릎 아래에서 발가락까지의 붕대
▷ long-leg cast
무릎관절 위에서부터 발가락까지 하는 붕대로 발은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로 고정된다.
▷ Body cast
척추안정을 위해 몸체를 싸주는 것
▷ spica cast
몸체와 사지를 포함하는 석고붕대를 말한다.
1. shoulder spica cast - 몸체, 어깨, 팔꿈치를 포함한 자크형태
2. Hip spica cast - 몸체와 하지를 포함하는 석고붕대
- single hip spica : 유두선에서 골반과 한쪽 허벅지를 포함
- Double hip spica : 유두선이나 상복부에서 골반, 양쪽 허벅지, 아래쪽 다리까지 포함
- One and half hip spica : 상복부에서 한쪽 다리 전부 그리고 다른쪽 다리 무릎까지 하는 석고붕대
▷ 석고붕대 고정기
골절 주위로 외부적 지지에 따라 조기에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구 독립이 가능
1. Cylinder cast
하지 윗부분에 사용하며 무릎의 골절이나 탈구 혹은 팔꿈치 탈구에 사용됨.
< 간호 >
♣ 간호사정
1. 압박증후 - 통증, 부종, 창백한피부나 푸르름, 손상받은 피부로부터 원위 피부가 참, 감각이상(따뜸거림), 맥박이 약해지거나 소실됨. 마비
2. 사지의 피부를 사정함 - 뼈돌출 부위의 심한 통증은 욕창으로의 발전을 의미하는 징후이다. 악취나 석고붕대위로의 삼출물을 주의깊게 관찰
3. 욕창여부를 사정
- 하지 : 발꿈치, 과부위, 발등, 비골의 윗부분, 슬개골의 앞쪽
- 상지 : 상완골내 측상과 척골경상돌기
- 천골, 전과상, 장골극, 견갑골의 척추경계
4. 부동으로 인한 가능 합병증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심혈관계 호흡기계, 위장관계를 사정
♣ 간호진단
1. 부종과 관련된 조직속으로의 출혈, 위축적인 석고 붕대로 인한 조직관류 변화
2. 외상 및 치료등으로 인한 운동장애
♣ 간호중재
1. 적절한 조직관류 유지
- 사지를 elevation 시켜줘서 심장보다 높게 한다.
- 석고붕대가 마르는동안 환자의 자세를 2시간마다 바꿔준다.
- 처음 24시간동안은 매 시간마다 환자의 신경혈관적 상태를 사정하구 그후엔 부종의 상태를 봐서 사정간격을 늘린다.
- 압력 부위가 있을 경우 석고붕대로 창을 만들어 피부 부위를 검사하고 치료한다. 그후 다른 압력을 만들지 않기 위해 창을 막음
2.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 가능한한 운동을 격려
- 처방된 운동에 따른 규칙적으로 자주 ROM 시행을 권장하며 등장성 운동을 하도록함
- Position change
- 처방된 대로 색전 방지용 스타킹을 착용하고 정규적으로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폐허탈과 폐렴 방지)
- 석고붕대 증후군이 있는지 살핌(Nausea , Vomiting , Abd distension)
- 수분섭취를 권장
3. 청결유지
4. 피부간호
♣ 환자교육 및 건강유지
1. 신경혈관상태
` 손, 발의 청색증이나 창백, 통증이나 조이는듯한 느낌은 순환장애의 증상이나 증후이다.
` 석고붕대 양쪽에 얼음주머니를 대준다.
2. 운동을 격려
3. 피부자극
` 석고 붕대 가장자리로 인한 피부자극을 방지
` 석고붕대 가장자리에 패드를 대줌
4. 운동
적극적 운동의 격려와 부동된 부분은 위축을 막고 근육을 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등장성 운동을 함.
- 다리의 석고붕대 : 무릎높이로 아래로 다리를 낮추어 그래로 멈추었다가 이완하는 동작을 반복, 발가락을움직이는 동작을 반복
- 팔의 석고붕대: 주먹을 쥐고 그대로 멈추었다가 이완하는 동작을 반복, 어깨를 움직임
5. 석고붕대가 제거된 후
1. 약한 비누로 피부를 씻고 건조시키며 건조도니 피부에 로션을 바란다.
2. 부종 조절을 위해 사지를 올린다.
♣ 평가
1. 사지의 변색이나 통증, 감각의 이상이없다 --> 말초순환 이상 무
2. 보조를 받으며 보행이 가능
3. 합병증의 증후가 없다.
▦ 견인 (Traction)
< 목적 >
1. 골절 감소와 부동화
2. 손상된 사지의 정상 길이와 배열 회복
3. 근육 경련 감소와 제거 변형 방지
4. 통증 감소
< 견인의 종류 >
▷ 지속 견인 (running traction)
1. 어느쪽으로면 힘이 가해지는 견인의 형태로 피부나 골
- 석고붕대를 하고있는 동안 여러가지 합병증을 예방하고 치유과정을 도우며
석고를 제거한 후 재활도 용이하도록 하기위해 특별한 금기사항이 없는 한
전문인의 처방에 따라 운동을 계획함
[약물요법]
1) 전문인의 처방에 따라
-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4 - 7일 이상은 사용하지 말고 통증이
있을때만 사용함
-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사용함
2) 통증이 약할 경우 의사의 처방없이도 사용할 수 있는 진통제
(예: 아세트 아미노펜) 를 사용할 수 있음
[생활시 유의사항]
- 수술후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우울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능한 빨리
정상생활과 일을 시작함
- 수술후 6주 동안은 격심한 운동을 피함
- 퇴원후 완전히 치유되었다는 전문인의 말이 있을때 운전을 시작할 수 있음
[식이요법]
- 수술부위 치유촉진을 위해 균형잡힌 식사와 고단백식이를 섭취함
- 활동이 적어서 생길 수 있는 변비가 있으면 물과 섬유질 음식을 많이
섭취함
[전문인과 상담해야 할 경우]
- 석고붕대한 부위의 지속적이고 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
- 석고붕대를한 끝부분의 피부 색깔이 변하거나 냉감, 저릿한 감각이
있는 경우
- 석고붕대를 하기 전보다 더욱 조직부종이 커진 경우
- 이미 설명된것 이외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날 경우
- 치료에 사용된 약물에 의해 부작용이 나타날 경우
Cast and traction
■ 석고붕대 (cast)
< 목적 >
1. 골편을 정복된 상태로 유지 고정
2. 연조직에 균일한 압박
3. 기형을 교정하고 방지한다.
< 석고 붕대의 종류 >
▷ short-arm cast
팔꿈치 아래부터 손목까지 하는 붕대
▷ Gauntlet cast
팔꿈치 아래부터 손목까지를 하고 엄지를 포함시킨다.(thumb spica)
▷ long-arm cast
액와 위쪽에서부터 손목까지 팔꿈치는 보통 90도 각도로 고정된다.
▷ short-leg cast
무릎 아래에서 발가락까지의 붕대
▷ long-leg cast
무릎관절 위에서부터 발가락까지 하는 붕대로 발은 자연스러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로 고정된다.
▷ Body cast
척추안정을 위해 몸체를 싸주는 것
▷ spica cast
몸체와 사지를 포함하는 석고붕대를 말한다.
1. shoulder spica cast - 몸체, 어깨, 팔꿈치를 포함한 자크형태
2. Hip spica cast - 몸체와 하지를 포함하는 석고붕대
- single hip spica : 유두선에서 골반과 한쪽 허벅지를 포함
- Double hip spica : 유두선이나 상복부에서 골반, 양쪽 허벅지, 아래쪽 다리까지 포함
- One and half hip spica : 상복부에서 한쪽 다리 전부 그리고 다른쪽 다리 무릎까지 하는 석고붕대
▷ 석고붕대 고정기
골절 주위로 외부적 지지에 따라 조기에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구 독립이 가능
1. Cylinder cast
하지 윗부분에 사용하며 무릎의 골절이나 탈구 혹은 팔꿈치 탈구에 사용됨.
< 간호 >
♣ 간호사정
1. 압박증후 - 통증, 부종, 창백한피부나 푸르름, 손상받은 피부로부터 원위 피부가 참, 감각이상(따뜸거림), 맥박이 약해지거나 소실됨. 마비
2. 사지의 피부를 사정함 - 뼈돌출 부위의 심한 통증은 욕창으로의 발전을 의미하는 징후이다. 악취나 석고붕대위로의 삼출물을 주의깊게 관찰
3. 욕창여부를 사정
- 하지 : 발꿈치, 과부위, 발등, 비골의 윗부분, 슬개골의 앞쪽
- 상지 : 상완골내 측상과 척골경상돌기
- 천골, 전과상, 장골극, 견갑골의 척추경계
4. 부동으로 인한 가능 합병증이 있는지 알아내기 위해 심혈관계 호흡기계, 위장관계를 사정
♣ 간호진단
1. 부종과 관련된 조직속으로의 출혈, 위축적인 석고 붕대로 인한 조직관류 변화
2. 외상 및 치료등으로 인한 운동장애
♣ 간호중재
1. 적절한 조직관류 유지
- 사지를 elevation 시켜줘서 심장보다 높게 한다.
- 석고붕대가 마르는동안 환자의 자세를 2시간마다 바꿔준다.
- 처음 24시간동안은 매 시간마다 환자의 신경혈관적 상태를 사정하구 그후엔 부종의 상태를 봐서 사정간격을 늘린다.
- 압력 부위가 있을 경우 석고붕대로 창을 만들어 피부 부위를 검사하고 치료한다. 그후 다른 압력을 만들지 않기 위해 창을 막음
2.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
- 가능한한 운동을 격려
- 처방된 운동에 따른 규칙적으로 자주 ROM 시행을 권장하며 등장성 운동을 하도록함
- Position change
- 처방된 대로 색전 방지용 스타킹을 착용하고 정규적으로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한다.(폐허탈과 폐렴 방지)
- 석고붕대 증후군이 있는지 살핌(Nausea , Vomiting , Abd distension)
- 수분섭취를 권장
3. 청결유지
4. 피부간호
♣ 환자교육 및 건강유지
1. 신경혈관상태
` 손, 발의 청색증이나 창백, 통증이나 조이는듯한 느낌은 순환장애의 증상이나 증후이다.
` 석고붕대 양쪽에 얼음주머니를 대준다.
2. 운동을 격려
3. 피부자극
` 석고 붕대 가장자리로 인한 피부자극을 방지
` 석고붕대 가장자리에 패드를 대줌
4. 운동
적극적 운동의 격려와 부동된 부분은 위축을 막고 근육을 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등장성 운동을 함.
- 다리의 석고붕대 : 무릎높이로 아래로 다리를 낮추어 그래로 멈추었다가 이완하는 동작을 반복, 발가락을움직이는 동작을 반복
- 팔의 석고붕대: 주먹을 쥐고 그대로 멈추었다가 이완하는 동작을 반복, 어깨를 움직임
5. 석고붕대가 제거된 후
1. 약한 비누로 피부를 씻고 건조시키며 건조도니 피부에 로션을 바란다.
2. 부종 조절을 위해 사지를 올린다.
♣ 평가
1. 사지의 변색이나 통증, 감각의 이상이없다 --> 말초순환 이상 무
2. 보조를 받으며 보행이 가능
3. 합병증의 증후가 없다.
▦ 견인 (Traction)
< 목적 >
1. 골절 감소와 부동화
2. 손상된 사지의 정상 길이와 배열 회복
3. 근육 경련 감소와 제거 변형 방지
4. 통증 감소
< 견인의 종류 >
▷ 지속 견인 (running traction)
1. 어느쪽으로면 힘이 가해지는 견인의 형태로 피부나 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