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오즈 영화에 나타난 가족 해체 : <동경 이야기>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면서
2. 모노노아와레(物のぁゎれ) 속에서
3. 오즈의 인물들
4. 나오면서
1. 들어가면서
2. 모노노아와레(物のぁゎれ) 속에서
3. 오즈의 인물들
4. 나오면서
본문내용
다. 그에게는 일상적인 삶과는 다른 것, 또는 특별히 주목해야 할 긴급한 것으로서의 의미작용 또는 내러티브라는 것은 없다. 삶 자체가 예외나 긴급성을 갖지 않는 일종의 무상함이기 때문이다.10) 오즈는 사물을 결코 명쾌하게 결론내리지 않는다. 그는 삶의 불가해성과 불명확성을 누구보다 더 잘 아는 철학자이기 때문이다. 그는 사물을 이해하고 포용하며 사물과 일체가 되어 모노노아와레의 정서를 이끌어낸다. 인정과 자연의 풍물 등의 아름다움에 의해 생기는 절실한 정취 그리고 애감, 즉 모노노아와레(物のぁゎれ)를 통해 오즈는 삶에 대한 깊은 통찰력을 보여주며 사물과 마음의 조화, 감성과 이성의 조화 속에서 그의 영화세계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오즈의 세계는 몇 마디의 언어로는 정의내릴 수 없는 조화로움의 것이다. 이 지구상에 오즈의 영화를 정의내릴 수 있는 단 하나의 형용사가 존재할 수 있을까? 가장 평범한 일상 속에서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라는 가장 근원적인 삶의 진리를 이야기하는 오즈! 자연의 섭리를 따르는, 변화하는 만물의 이치를 수용하는 오즈, 그가 바라보는 가족해체는 그 누구보다 심오하고 사려 깊다.
오즈의 세계는 그.런. 게 아닐까?
흐흠, 아무래도 그.런. 것 같다.
4. 참고문헌
1) 도널드 리치, 김태원/김시순 옮김,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세계』, 현대미학사, 1995, p23
2) 이를 직역하면, 사물의 슬픔(sadness of things)이다. 즉, 사물이 갖고 있는 가장 아름다운 모습은 그것이 갖고 있는 슬픔이라는 ‘슬픔의 미학'을 말한다.
3) 주윤탁? 김지석, 『아시아 영화의 이해』, 제3문학사, 1998, p295
4) 도널드 리치, 김태원/김시순 옮김,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세계』, 현대미학사, 1995, p81
5) 아서 놀레티/데이비드 데서, 편장완/정수완 옮김, 『일본영화 다시보기』, 시공사, 2001, p163
6) 전운혁, 『우리가 주목할 만한 일본영화 100』, 삼진기획, 2000, p353
7) 도널드 리치, 김태원/김시순 옮김,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세계』, 현대미학사, 1995, p29
8) 막스 테시에, 최은미 옮김, 『일본영화사』, 동문선, 2000, p65
9) 주윤탁? 김지석, 『아시아 영화의 이해』, 제3문학사, 1998, p305
10)박성수, 「<늦봄> 이후에 나타난 오즈의 영화미학」, 『오즈 야스지로』, 시네마테크부산, 2004, p17
오즈의 세계는 그.런. 게 아닐까?
흐흠, 아무래도 그.런. 것 같다.
4. 참고문헌
1) 도널드 리치, 김태원/김시순 옮김,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세계』, 현대미학사, 1995, p23
2) 이를 직역하면, 사물의 슬픔(sadness of things)이다. 즉, 사물이 갖고 있는 가장 아름다운 모습은 그것이 갖고 있는 슬픔이라는 ‘슬픔의 미학'을 말한다.
3) 주윤탁? 김지석, 『아시아 영화의 이해』, 제3문학사, 1998, p295
4) 도널드 리치, 김태원/김시순 옮김,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세계』, 현대미학사, 1995, p81
5) 아서 놀레티/데이비드 데서, 편장완/정수완 옮김, 『일본영화 다시보기』, 시공사, 2001, p163
6) 전운혁, 『우리가 주목할 만한 일본영화 100』, 삼진기획, 2000, p353
7) 도널드 리치, 김태원/김시순 옮김, 『오즈 야스지로의 영화세계』, 현대미학사, 1995, p29
8) 막스 테시에, 최은미 옮김, 『일본영화사』, 동문선, 2000, p65
9) 주윤탁? 김지석, 『아시아 영화의 이해』, 제3문학사, 1998, p305
10)박성수, 「<늦봄> 이후에 나타난 오즈의 영화미학」, 『오즈 야스지로』, 시네마테크부산, 2004, p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