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 이론과 마샤의 청소년 정체성 이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 이론과 마샤의 청소년 정체성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에릭슨의 심리.사회발달 이론
① 신뢰감 대 불신감이 형성되는 단계(0∼1세)
③ 주도성 대 죄책감이 형성되는 단계(4∼5세)
④ 근면성 대 열등감이 형성되는 단계(6∼11세)
⑤ 정체성 대 정체성 혼미를 형성하는 단계(12∼18세)
⑥ 친밀감 대 고립감이 형성되는 단계(18∼24세)
⑦ 생산성 대 침체성(24∼54세)
⑧ 통합성 대 절망감(54세)
Ⅱ. 마샤의 청소년 정체성 이론
① 정체성 혼미(identity diffusion, 정체성 확산)
② 정체성 유실(identity foreclosure)
③ 정체성 유예(identity moratorium)
④ 정체성 성취(identity achievement)
(1) 정체성 확립에 있어서 연령의 경향
(2) 정체성 확립에 있어서 사회적 영향
(3) 정체성확립에 있어서 문화적 영향
(4) 정체성확립에 있어서 교육적 영향

본문내용

.
연령에 따른 명백한 발달상 진보가 있으나 주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은 Erikson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어려울 수 있다.
여러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한 영역에서는 강한 정체성을 성취하고 있다 하더라도 다른 영역에서는 여전히 정체성을 찾고 있는 중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2) 정체성 확립에 있어서 사회적 영향
정체성 성취를 향한 청소년들의 진보를 촉진시키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요인은 부모의 양육방식이다.
(3) 정체성확립에 있어서 문화적 영향
정체성을 성취해 나가는 것이 일부 소수 젊은이들에게는 어려운 과업이 될 수도 있는데
특히 소수민족의 청소년들에게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소수민족 젊은이들도 유아기 초기와 학령전기 시절부터 개인의 능력을 제대로 획득할 수 있는 기회와 환경을 가질 수 있다면 자신들의 세계에 긍정적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고, 건설적인 정체성을 발전시키고, 유능한 자아감을 인식하고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4) 정체성확립에 있어서 교육적 영향
① 영아기에는 아이들이 마음껏 활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고 혼자서 할 수 있또록 격려해준다.
② 유아기에는 가능한 유아들을 수용하고 포용해주는 여유가 필요하다.
③ 아동기에는 교사나 부모가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가지고 능력 이상의 과제를 수행하도록 강요하거나 타인과 무리하게 비교하지 않도록 한다.
④ 청소년기에는 청소년들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가능한 대안들을 탐색해 보거나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주고, 청소년들이 그들의 고민을 함께 이야기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11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