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양 쓰나미의 발생상황과 이후의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지진과 쓰나미의 개요
3. 지진과 쓰나미 발생상황
4. 피해 등의 특징
5. 현지조사에 대하여
6. 조사의 주요 결과
7. 결 론

본문내용

작용에 의해 한방향의 흐름 지속시간이 길고 큰 대규모의 침식이 발생했다. 연안부분에서의 식생기초부분의 침식은 아마도 밀려오는 파도에서의 충격적인 파력으로 모래가 사라졌다고 생각된다. 좁은 하구에 침식된 쓰나미가 넓은 강도 내에서 넓어져 큰 소용돌이를 형성하여 그것이 선로의 기초를 크게 침식하였다. 깊이 2m, 길이 200m이상, 폭 20m정도의 규모였다. 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피복되어 있는 것은 침식이 없었다.
7. 결 론
현재 생각할 수 있는 과제를 이하에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가. 시가지에서의 쓰나미 내습(표류물)
해안지역에서 또는 소상해있는 쓰나미는, 선박, 차량, 건물 등을 삼켰다. 인도네시아ㆍ반다아체의 시가를 지나자 자갈 등의 표류물을 포함한 탁류가 보였다. 파괴력을 높여 인적피해증가의 원인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의 이 문제는 매우 심각하여 표류물의 침입방지는 중요한 문제이다.
나. 낮은 곳이나 하천에서의 소상(모래이동)
이번에도 하구부를 통과한 하천 상류로의 소상, 또는 갯벌 등의 평지로의 침입이 보인다. 여기에서 특히 교량의 침식, 도로파괴 등의 피해가 보이며, 토사이동과의 연계에 의해 쓰나미가 쓸고 난 후의 위력을 확인했다.
다. 건물과의 상호작용(피난건물의 안전성 확인)
육상으로의 소상의 과정에서 쓰나미는 주택 등의 건물을 파괴했다. 단 구조상의 강도나 주변 식생 때문에 파괴를 면한 예도 있었다. 이번 데이터를 정리하면서 파괴기준을 정리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우리나라의 피난곤란지역에서는 일시피난빌딩의 이용도 검토하여, 실제로 쓰나미 내습에 대해 건물이 안전한지 어떤지를 확인 할 수 있는 기준이 시급히 필요하다.
라. 인도양 연안 각국에서의 방재대책의 제언
현행의 조기경보 시스템의 적용과 전달 시뮬레이션에 의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 이것에 대해 우리나라의 방재기술(양적 경보 시스템)이 할 수 있어 대상국에서 실시할 수 있는 대책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때 지역에 대한 쓰나미 정보의 내용정리와 전달수단의 확보는 불가결하다.
마. 데이터베이스의 작성과 장기적인 교육 계몽활동
이번 대재해의 실태(영상, 전문조사, 미디어정보)나 복구ㆍ부흥과정을 후세에 남길 의무가 있다. 또, 심각한 재해를 경험하고도 세월이 지나면 기억에서 사라지게 된다. 지속적인 계몽ㆍ교육활동이 필요하다. 재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는 우리나라에서의 방재대책을 강화하는 원동력이 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14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