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치료의 이론과 실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서치료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독서치료의 이론과 실제

제1장 독서치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1. 독서치료의 정의
1) 독서치료의 어원 및 일반적 정의

◦ 독서치료의 어원
독서치료(Bibliotherapy)란 말의 어원은 ‘biblion(책, 문학)’과 ‘therapeia(도움이 되다, 의.
.
.
◦ 임상적 독서치료와 교육적 독서치료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독서치료에 대한 정의가, 심리치료에서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학교에서 교사나 상담자가 교육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구별되기 시작하였다.(Lejeune. 1969; Moses& Zaccar ia, 1969). 1970년대와서 Berry(1977)도 임상적인 독서치료와 교육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독서치료를 다음의 세가지 측면으로.
].
.
2. 독서치료의 목적
사람이 놀이와 미술활동과 음악을 농해 자신의 내적인 정서를 자유롭게 표현하듯 도서는 자기 방어를 가장 적게 하면서 자신을 표현 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다. 왜냐하면 문자언어가 덜 공격적이고, 대답을 강요하지 않는 자연스러운 방법으로 참여자의 경험과 생각들을 이끌어 내기 때문이다. 이처럼 독서치료는 참여자가 문학작품을 .
.
3. 독서치료의 원리
독서치료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책을 읽는 동안 독자의 내면세계 속에서 무엇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이해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관점이 있을 수 있는데 첫째, 성격적 관점 둘째 독서 행위론적 입장에서 조명할 수 있고, 셋째는 정신분석학적 .
.
.
(3) 통찰의 원리
통찰은 자기 자신이나 자기 문제에 대하여 올바른 객관적인 인식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독서치료자는 내담자에게 자신과 비슷한 문제에 봉착한 책 속의 등장인물이 어떻게 그 문제를 긍정적으로 해결해 나가는지를 스스로 깨닫도록 도움으로써 통찰이.
.
.
4. 독서치료의 유형
1) 대상에 따른 유형
독서치료의 대상(tatget)을 누구로 볼 것이냐에 대해서도 여러 의견이 있어왔다. Hatrt(1987)와 Bernstein(1989)은 책을 읽음으로써 도움을 받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했.
.
3) 볼 수 있는 자료(cideo)
영상매체를 포함한 모든 것들로 영화, 다큐멘터리, 사진, 그림, 엽서 등 그 다양함은 끝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 중에서 접하는 모든 것 중에서 함께 나누.
.
.

본문내용

독서치료의 이론과 실제
제1장 독서치료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1. 독서치료의 정의
1) 독서치료의 어원 및 일반적 정의
독서치료의 어원
독서치료(Bibliotherapy)란 말의 어원은 ‘biblion(책, 문학)’과 ‘therapeia(도움이 되다, 의학적으로 돕다, 병을 고쳐 주다)’라는 그리스어의 두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따라서 근본적으로 독서치료는 문학을 사용하여 정신 건강을 증진 시킨다는 의미를 갖는다(Hynes& Hynes-Berry, 1994), 즉, 문학이 치료적인 특성을 가졌다는 기본 가정에서 출발한다고 볼 수 있다(G0rnicki, 1981). 따라서 독서치료가 무엇인지 가장 단순하게 정의를 내린다면 책을 읽음으로써 치료가 되고 도움을 받는다는 것이다.
일반적인 독서치료의 정의
Doll&Doll(1997)은 일반적인 독서치료의 정의로서 「교육학 사전(Good, 1966:212」의 내용을 인용했다. 즉, “전반적인 발달을 위해 책을 사용하며, 책은 독자의 성격을 측정하고 적응과 성장, 정신적 건강을 위해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 책과 독자 사이의 상호작용 과정이 독서 치료다. 그리고 선택된 독서 자료에 내재된 생각이 독자의 정신적 또는 심리적 질병에 치료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개념”이다. 이와 비슷하게 Harrt(1988)는 치료자와 도서관 사서가 읽으라고 지시한 책을 참여자가 읽음으로써 개인적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도록 안내를 해 주는 것이 독서치료라고 정의하고 있다.
독서치료 용어의 기원
독서치료는 고대부터 알려지고 실시되어 왔지만 그 영어 자체의 기원은 20세기초에 Crothers에 의해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Moody& Limper, 1971). 그는 Atlantic Monthy(1916: 291-301)에 실린 기사에서 “독서치료는 새로운 학문이다. 독서치료를 하는 중에 어떤 특정한 책이 가지는 실제적인 치료 효과에 대하여 다른 의견이 많다는 것은 당연하다.”라고 말했다. 그리고 「Dorland\'s lllustrated Medical Dictionary(1941)」에서는 독서치료에 대해 “신경증을 치료하기 위해 책들을 골라서 읽는 것”이라고 처음으로 정의를 내렸다. 그러나 Tews(1961)는 설문지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내용을 포함시켜 독서치료를 설명했다. 즉, 독서치료는 읽기자료가 들어가도록 선택된 활동 프로그램으로서, 의사가 치료 방법을 계획하고 실시하고 통제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Menningers와 그 외 사람들(Moody&Limper, 1971)은 약물 사용과 독서치료를 비교하기도 했다. 즉, 예측 할 수 있는 결과를 기대하며 내리는 의약품 처방처럼 독서치료에서도 읽기자료를 없애기도 하고 권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임상적인 측면들과는 다소 다르게 Shrodes(1949, 1960)는 독서치료를 독자의 인성과 문학과의 상호작용의 과정으로 정의하기도 했다.
병원과 도서관 협회에서의 독서치료 정의
병원과 도서관 협회는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1961)의 사전적인 정의를 공식적으로 받아들였다. 즉, 독서치료란 정신의학과 의약분야에서 치료의 보조수단으로 읽기 자료를 사용하고, 지시 받은 대로 읽음으로써 개인적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안내하며, 적응을 잘 못하는 사람들을 사회에 복귀시키기 위한 치료이고, 사회적인 긴장을 없애기 위한 활동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은 독서치료에 대한 광범위한 해석을 허용하는 것이며 정신의학과 의약분야뿐 아니라 사회와 교육영역 안에서 독서치료를 사용 할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moody& Limper, 1971)
임상적 독서치료와 교육적 독서치료
1960년대에 이르러서는 독서치료에 대한 정의가, 심리치료에서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학교에서 교사나 상담자가 교육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구별되기 시작하였다.(Lejeune. 1969; Moses& Zaccar ia, 1969). 1970년대와서 Berry(1977)도 임상적인 독서치료와 교육적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독서치료를 다음의 세가지 측면으로 구별했다. 첫째<치료자의 역할과 기능의 차이(예 치료자 대 집단지도자, 관리자, 토론자) 둘째, 참여자 특성의 차이(환자 대 건강한 사람) 셋째, 독서치료과정에 있어서 목적의 차이(건강해지기 위한 것인가 대 자아실현이나 교육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인가)가 그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Berry(1977)는 독서치료란 모든 문학적 형태를 포함하는 문학 작품을 가지고, 치료자와 참여자가 문학작품을 같이 이해하고 나누는 상호작용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 했다.
구체적인 활동 수반의 강조
Hebert(1991), Pardeck(1994), Rosen(1987) 등의 의하면 독서치료는 독서 자료를 읽거나 들은 후에 토론이나 역할놀이, 창의적인 문제해결 활동 등 구체적으로 계획된 호라동을 함으로써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이끌어내도록 돕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책을 읽은 후에 구체적인 활동이 반드시 함께 읽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상호작용을 강조한 Hynes Hynes-Berry(1994; 17)는 “상호작용적 독서치료에서 치료자는 임상적(Clinical) 또는 발달적(developemental) 참여자의 감정과 인지적 반응을 통합하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선택된 문학 작품-인쇄된 글, 시청각 자료, 내담자의 글쓰기 작품에 대한 토론을 유도하고 이끌어 나간다.”고 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독서치료가 문학 작품을 통하여 참여자와 치료자의 치료적 상호작용을 유발시킴으로써 참여자를 도와주는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정의 속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가정들이 포함된다.(김현희, 2000)
① 독서치료는 상호작용 하는 과정이다.
② 문학을 더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1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