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1969년과 1981년의 영역별 원조에 관한 선호
도 시
읍
1969
1981
1969
1981
공공서비스
가 족
다른 연계*
합 계
실 수
46
39
15
100
82
67
25
9
101
61
17
67
15
99
86
58
30
12
100
93
* 친구, 이웃, 자원봉사자
<표 1>에서 1969년의 경우를 보면 과반수 이상의 노인들이 도움이 필요할 때 가족이나 다른 연계를 통해 도움을 구하겠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지역간의 격차가 현저하여 읍수준에서는 더욱 현저한 결과를 볼 수가 있다. 그러나 12년 후인 1981년의 경우를 보면 가족이나 다른 개인적인 연계보다는 공공서비스를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도시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역사회보호를 위한 서비스들 중의 하나로 출발한 사례관리는 특히 장기보호를 필요로 하는 정신질환자나 노인들에게 적합한 서비스유형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지역사회정신보건영역에서는 이것을 기본적인 서비스라고 일컬었고, 사회사업영역에서는 지역사회노인보호에 유용한 사회사업개입으로 보게 되었다.
Ⅲ. 사례관리의 내용과 노인집단에의 적용
1.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는 서비스관리라고도 불려지는데, 이것은 개별화되어 있는 전문적인 다양한 서비스들을 클라이언트에게 효과적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사례관리를 중심으로 한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고 점차 많은 기관들이 이것을 프로그램으로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도 사례관리의 정의에 대해 합의가 되어 있지 않다.
특히 사례관리가 처음 시작된 미국의 경우를 보면 이에 관한 미전국회의 개최 이후 혹은 오코너(O\'Connor)가 22개 기관에서 사례관리에 관한 비교분석을 한 이후에도 사례관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쟁은 해결되지 않고 남겨져 있는 상태이다.
오코너는 이에 대해 사례관리는 사회사업의 핵심적인 기술 중 하나로 인정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으며, 분명한 것은 사례관리자들은 그들이 돕고 있는 사람들의 실제적인 문제에 촛점을 두는 것이라고 했다. 또한 그들의 주된 목적은 이러한 문제들에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해결책을 찾거나 혹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했다.
비아트리스(Dennis Beatrice)(1981)는 사례관리를 서비스들의 분열, 서비스갭, 서비스의 중복, 목적과 상반되게 운영되는 프로그램, 서비스의 포괄적인 배치의 부족, 조정된 서비스접근에 의해서만 해결될 수 있는 장기보호크라이언트의 복합적인 욕구들로 인한 문제들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그는 사례관리를 장기보호서비스를 통합하고 개별화하는 것, 크라이언트가 서비스의 리스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비시설서비스(noninstitutional services)의 더 광범위한 발전을 촉진시키는 것, 크라이언트들에게 지속적으로 적절한 서비스를 보증해 주는 것, 크라이언트의 복합적이고, 다양한 욕구들을 만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조정하여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한편 발리(Ballew)와 밍크(Mink)는 사례관리를 동시다발적인 복합적인 문제들을 가졌지만 원조를 얻지 못하거나 그 원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을 돕는 데 적절한 서비스라고 했다.
허트만(E. D. Huttman)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관리는 지속적인 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한 집중적인 인테이크서비스로서, 그 주된 과업은 각기 다른 제공자들에 의해 주어지는 서비스들의 공여를 노인개인을 위해 조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들의 정의는 다소간 표현상의 차이는 있지만 사례관리란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장기적인 보호를 필요로 하는 크라이언트에게 적합하도록 서비스들을 조정하여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이들의 내용에서 공통적인 것은 사례관리가 수혜자중심의 원조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관리의 과정은 몇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스테인버그(Raymond M. Steinberg)와 카터(Genevieve W. Carter)는 사례관리를 다룬 1천개의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사례관리조직에서 필요한 11가지 기능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① 케이스 발견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
② 사전심사가장 큰 욕구를 가진 사람들에게 반응하기 위함.
사례관리로 부터 가장 많은 서비스를 얻도록 하기 위함.
③ 인테이크정당한 방법으로 크라이언트와 계약하기 위함
④ 사정크라이언트를 전체적인 개체(whole person)로 이해하기 위함.
크라이언트가 처한 상황의 모든 측면을 알기 위함.
⑤ 목표설정명확한 기대치를 개발하기 위함.
⑥ 보호의 계획개별적인 서비스펙키지를 설정하기 위함.
⑦ 능력의 설정크라이언트의 잠재력을 최대화시키기 위함.
⑧ 보호계획의 실시양질의 서비스들을 발견하고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함.
⑨ 재사정흐름을 유지하기 위함.
⑩ 종결사례관리가 더 이상 필요없을 때 단계적으로 종결키 위함.
관계유지크라이언트에게 접근가능한 채로 남겨둠.
데이비스(Bleddyn Davies)와 췌리스(David Challis)는 장기보호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① 케이스발견
② 적격여부를 위한 심사
③ 크라이언트상황의 사정
④ 서비스와 지지를 준비하기 위한 보호계획
⑤ 모니터링
⑥ 격차보완서비스와 현재의 원조망에 남겨져 있는 격차를 보완하기 위해 지역사회자원들을 이동하고 관리함
1986년 영국 그로우체스터(Gloucester)에서는 재가노인보호프로젝트를 실시한 결과 사례관리자들의 역할을 다음의 10가지로 제시했다.
① 계약
② 사정
③ 보호계획
④ 보호펙키지의 수립
⑤ 감독/재고
⑥ 지역사회차원의 작업
⑦ 상담
⑧ 옹호
⑨ 자원을 주는 사람
⑩ 종료
이러한 기능들은 구조, 개인, 과정, 조직내의 관계, 크라이언트의 수용능력, 가능한 자원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한편 상기의 사례관리과정들은 크게 두가지 성격으로 구분지어 볼 수 있다. 한가지는 전통적인 케이스
도 시
읍
1969
1981
1969
1981
공공서비스
가 족
다른 연계*
합 계
실 수
46
39
15
100
82
67
25
9
101
61
17
67
15
99
86
58
30
12
100
93
* 친구, 이웃, 자원봉사자
<표 1>에서 1969년의 경우를 보면 과반수 이상의 노인들이 도움이 필요할 때 가족이나 다른 연계를 통해 도움을 구하겠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지역간의 격차가 현저하여 읍수준에서는 더욱 현저한 결과를 볼 수가 있다. 그러나 12년 후인 1981년의 경우를 보면 가족이나 다른 개인적인 연계보다는 공공서비스를 선호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도시의 경우 이러한 현상이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지역사회보호를 위한 서비스들 중의 하나로 출발한 사례관리는 특히 장기보호를 필요로 하는 정신질환자나 노인들에게 적합한 서비스유형으로 평가되고 있는데, 지역사회정신보건영역에서는 이것을 기본적인 서비스라고 일컬었고, 사회사업영역에서는 지역사회노인보호에 유용한 사회사업개입으로 보게 되었다.
Ⅲ. 사례관리의 내용과 노인집단에의 적용
1.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는 서비스관리라고도 불려지는데, 이것은 개별화되어 있는 전문적인 다양한 서비스들을 클라이언트에게 효과적으로 연결해 주기 위한 서비스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사례관리를 중심으로 한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고 점차 많은 기관들이 이것을 프로그램으로 채택하여 실시하고 있지만 아직도 사례관리의 정의에 대해 합의가 되어 있지 않다.
특히 사례관리가 처음 시작된 미국의 경우를 보면 이에 관한 미전국회의 개최 이후 혹은 오코너(O\'Connor)가 22개 기관에서 사례관리에 관한 비교분석을 한 이후에도 사례관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논쟁은 해결되지 않고 남겨져 있는 상태이다.
오코너는 이에 대해 사례관리는 사회사업의 핵심적인 기술 중 하나로 인정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으며, 분명한 것은 사례관리자들은 그들이 돕고 있는 사람들의 실제적인 문제에 촛점을 두는 것이라고 했다. 또한 그들의 주된 목적은 이러한 문제들에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해결책을 찾거나 혹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것이라고 했다.
비아트리스(Dennis Beatrice)(1981)는 사례관리를 서비스들의 분열, 서비스갭, 서비스의 중복, 목적과 상반되게 운영되는 프로그램, 서비스의 포괄적인 배치의 부족, 조정된 서비스접근에 의해서만 해결될 수 있는 장기보호크라이언트의 복합적인 욕구들로 인한 문제들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보았다. 그리하여 그는 사례관리를 장기보호서비스를 통합하고 개별화하는 것, 크라이언트가 서비스의 리스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비시설서비스(noninstitutional services)의 더 광범위한 발전을 촉진시키는 것, 크라이언트들에게 지속적으로 적절한 서비스를 보증해 주는 것, 크라이언트의 복합적이고, 다양한 욕구들을 만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조정하여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한편 발리(Ballew)와 밍크(Mink)는 사례관리를 동시다발적인 복합적인 문제들을 가졌지만 원조를 얻지 못하거나 그 원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을 돕는 데 적절한 서비스라고 했다.
허트만(E. D. Huttman)은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례관리는 지속적인 보호를 필요로 하는 노인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기 위한 집중적인 인테이크서비스로서, 그 주된 과업은 각기 다른 제공자들에 의해 주어지는 서비스들의 공여를 노인개인을 위해 조정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들의 정의는 다소간 표현상의 차이는 있지만 사례관리란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장기적인 보호를 필요로 하는 크라이언트에게 적합하도록 서비스들을 조정하여 제공해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이들의 내용에서 공통적인 것은 사례관리가 수혜자중심의 원조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관리의 과정은 몇 단계로 나누어져 있다.
스테인버그(Raymond M. Steinberg)와 카터(Genevieve W. Carter)는 사례관리를 다룬 1천개의 자료들을 검토한 결과 사례관리조직에서 필요한 11가지 기능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① 케이스 발견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
② 사전심사가장 큰 욕구를 가진 사람들에게 반응하기 위함.
사례관리로 부터 가장 많은 서비스를 얻도록 하기 위함.
③ 인테이크정당한 방법으로 크라이언트와 계약하기 위함
④ 사정크라이언트를 전체적인 개체(whole person)로 이해하기 위함.
크라이언트가 처한 상황의 모든 측면을 알기 위함.
⑤ 목표설정명확한 기대치를 개발하기 위함.
⑥ 보호의 계획개별적인 서비스펙키지를 설정하기 위함.
⑦ 능력의 설정크라이언트의 잠재력을 최대화시키기 위함.
⑧ 보호계획의 실시양질의 서비스들을 발견하고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함.
⑨ 재사정흐름을 유지하기 위함.
⑩ 종결사례관리가 더 이상 필요없을 때 단계적으로 종결키 위함.
관계유지크라이언트에게 접근가능한 채로 남겨둠.
데이비스(Bleddyn Davies)와 췌리스(David Challis)는 장기보호 시범사업을 실시하여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① 케이스발견
② 적격여부를 위한 심사
③ 크라이언트상황의 사정
④ 서비스와 지지를 준비하기 위한 보호계획
⑤ 모니터링
⑥ 격차보완서비스와 현재의 원조망에 남겨져 있는 격차를 보완하기 위해 지역사회자원들을 이동하고 관리함
1986년 영국 그로우체스터(Gloucester)에서는 재가노인보호프로젝트를 실시한 결과 사례관리자들의 역할을 다음의 10가지로 제시했다.
① 계약
② 사정
③ 보호계획
④ 보호펙키지의 수립
⑤ 감독/재고
⑥ 지역사회차원의 작업
⑦ 상담
⑧ 옹호
⑨ 자원을 주는 사람
⑩ 종료
이러한 기능들은 구조, 개인, 과정, 조직내의 관계, 크라이언트의 수용능력, 가능한 자원들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한편 상기의 사례관리과정들은 크게 두가지 성격으로 구분지어 볼 수 있다. 한가지는 전통적인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