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교통안전교육에 관한 고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의 교통안전교육에 관한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내리기도 전에 급 출발하다 사망 시킨 사고, 차에서 내려 앞으로 건너가는 어린이를 치어 사망 시킨 사고를 비롯해 운전자의 순간적인 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런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우선 버스와 관련해서 생길 수 있는 사고 유형들을 버스 운전자, 인솔교사, 학부형들이 인식하여 보다 조심함은 물론 이를 어린이들에게 가르쳐주어야 합니다. 그런 후 인솔교사가 스쿨버스 운전자에 대한 자격요건 강화와 정기적인 교통안전 교육실시 등이 제도화되어야 합니다.
아울러 우리나라도 유럽처럼 스쿨버스 운전자에게 \'기사\'개념보다는 \'교육자\'로 인식 될 수 있도록 자부심과 긍지를 심어주며 이에 합당한 대우를 해주어야 합니다. 미국에서 실시하고있는 \'Safety wave(확인하고 손 흔들기)제도도 도입해야 합니다. 이 제도는 우선 어린이들이 차에서 내린 후 스쿨버스 운전자를 바라보고 손을 들어줍니다. 그러면 운전자가 백미러로 차가 오지 않음을 확인한 다음 어린이에게 다시 손을 흔들어줍니다. 그제야 어린이는 길을 건너는 안전한 도로횡단 방법의 한 가지입니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운행하는 안전한 자동차 조건*
?법에 의해 허가 받은 차량이어야 한다.
?상비의약품이 반드시 비치되어 있어야 한다.
?비상 사태 시 연락 가능한 무전기나 카폰이 있어야 한다.
?모든 자석에 안전벨트가 있어야 한다.
-유아교육기관의 자동차를 운행하는 운전기사 조건
?운행하는 차량에 적합한 면허소지자여야 한다.
?유아를 위한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을 받아 인공 호흡법, 질식 시 구조 등이 가능해야 한다.
?어린이 승차 시 주의사항과 안전장치 및 비상사태 시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운행기록방법을 익혀야 한다.
?운행코스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을 확인하여 알고 있도록 한다.
4) 유형별 교통안전 행동요령
*도로에서 보행 할 때의 안전*
-횡단보도에서는 교통신호등 또는 교통경찰의 지시에 따르고, 차가 주행하는 차로 쪽을 살피면서 똑 바로 건너가야 합니다.
-횡단보도에서는 오른쪽으로 길을 건넙니다.
-부모님과 함께 있을 때에는 부모님의 손을 잡고 건너 갑니다.
-비가 올 때는 우산으로 눈앞을 가려 차가 오는 것을 못 보는 경우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신호등이 없는 도로에서는 더욱 조심하여 자동차를 운전하는 사람에게 손을 들어 \"제가 먼저다\"라 는 표시를 하고, 달려오는 차가 멈추는 것을 확인한 뒤에 천천히 건너가야 합니다.
-무단횡단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나쁜 행동으로 절대 해서는 안 되고, 조금 돌아 가더라도 횡단 보도나 지하도로 건너야 하겠습니다.
※ 안전한 도로횡단 5원칙
?우선 멈춘다.
?좌우의 차를 본다.
?횡단보도 오른쪽에서 운전자를 보며 손을 든다.
?차가 멈추었는지 먼저 확인한다.
?건너는 동안 차를 계속 보면서 천천히 걷는다.
*차를 타고 내릴때의 안전*
-차를 기다릴 때에는 차도에서 완전히 떨어져 줄을 서서 기다립니다.
-차가 완전히 멈춘 뒤에 차례차례 내리고 탑니다.
-급히 뛰어와서 타지 않을수 있도록 시간을 여유있게 잡습니다.
-절대로 뛰어 내러 가거나 타서는 안 됩니다.
-주.정차 되어 있는 차의 바로 앞이나 뒤로 무단횡단 하지 않습니다.
*자전거 탈 때의 안전*
-자전거는 자신의 몸에 적당한 것을 선택해서 타야 합니다.
-짐받이나 수평 기둥대에 사람을 태우지 말아야 겠습니다.
-손을 놓는 등의 장난을 하면서 운전을 해서는 안 되겠습니다.
-차가 많이 다니는 도로에서는 되도록 자전거를 타지 않고, 넓은 운동장이나 놀이터에서 탑니다.
6) 교통사고를 당했을 때 행동요령
-교통사고가 난 경우에는 부모님이나 어른에게 연락을 해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교통사고로 조금 다쳐서 아무 이상이 없는 것 같아도 반드시 병원에서 검사를 통해 이상이 없는지를 확인하고, 자동차 운전하는 어른의 연락처를 받아 두어야 합니다. 교통사고는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어른들에게 말해 검사를 받아 보아야 합니다.
-교통사고를 내고도 그냥 가버리는 차가 있는 경우에는 차의 번호 및 차를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을 적어두어야 합니다.
-교통사고가 나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상황이면 신속하게 112와 119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어린이 교통사고 처치법*
-외상이 없거나 경상이라도 차에 치이면 반드시 병원에 가야한다.
-아이가 차에 치이면 가능한 한 입원시켜서 전문이의 치료를 받으면서 세심하게 관찰한다.
-사고가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2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