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사의 인권과 과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사의 인권과 과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 인권 변인이다.
따라서 처우문제의 대안은 정부와 법인의 각성과 함께 대외적으로는 정치세력화와 직능별노조를 꾀하면서, 대내적으로는 기관별 인권위원회나 지역별·직능별 인권위원회를 구성하여 작동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세력화나 인권위원회 조직과 활동에는 사회복지사협회가 중심역할을 하거나 적극적으로 지원을 할 책임이 있다.
마지막으로 처우문제는 세계인권선언과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협약에만 등장하는 인권사안이 아니라, <표 4>에서 보듯이 곧 도래할 ISO 26000의 7대 핵심과제 중 2대 과제(조직 내 노동관행, 종업원 인권보장)로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고 있음을 상기한다.

전문성 강화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은 그 자체로 사회에 대한 책임이면서 자신에 대한 책임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은 사회복지사의 인권을 사회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는 거래 급부이고 권위이며, 스스로 윤리적 책임을 수행하는 인권 조건이다. 즉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는 사회적 책임이면서 윤리적 책임이고, 그것은 인권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표 9>는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전문성 조건을 설명하고 있다.

전 문 성
Specialty, Speciality
Professionalism
열 성
Mission
Vision
도 덕 성
Morality
Ethics
사회복지 지식과 윤리
전문 기술 개발
자격관리, 인력개발
전문성 실천 역량
사회 참여, 연대
사회적 가치 창출

투명 경영, 직무 헌신
민주적 리더십
인사의 적합성
<표 9>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전문성의 책임 조건
윤리적 전문성은 더 작은 단위의 전문성, 열성, 도덕성이 고차원에서 합치되었을 때 완성된다. <표 9>는 전문성, 열성, 도덕성의 낱낱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전문성, 열성, 도덕성에 온전히 도달하기 위한 윤리적 책임을 명기한 것이다.
전문성은 단순한 전문적 기술(specialty, speciality)이나 지식이 아니다. 그것은 전문가 정신(professionalism)이 체화된 존재이다. 윤리 없는 사회복지 지식은 전문가의 허위지식이다. 끊임없는 전문 기술 개발과 후진 인력 개발과 투자는 전문가의 윤리적 책임이다.
사회복지사의 사명과 방향성은 열성으로 실천될 일이다. 역량을 발휘하지 않거나 못하는 전문가는 Lip - Service Worker일 뿐이다. 지역사회나 직능분야의 참여와 연대에 기여하지 않는 전문성은 개인주의이거나 냉소주의이다. 전문성이 해내지 못하는 열성의 또 다른 힘은 지역주민과 함께 하면서 새로운 또는 의미 있는 사회적 가치를 창출해 나가는 과정이다.
도덕성을 말할 때 Morality 대신 Ethics를 쓴 것은 지역과 분야에서 관행으로 용납되기도 하는 ‘도덕’의 기준을 국제 기준으로 강화한 ‘윤리’를 선택한 이유이다. 투명경영이 도덕성의 출발이라면 직무헌신은 도덕성의 완성이다. 사회적 가치를 존재이유로 하는 사회복지기관에서는 다른 유형의 리더십보다는 민주적 리더십이 적합하다. 인사의 적합성을 훼손한다면 그 기관은 형해화된 무생물이 될 것이다.
윤리적 전문성은 사회복지사 개인의 의지만으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것은 사회복지기관이 윤리경영의 철학에서 사회복지 전문성 강화라는 목표를 지향하면서 전략적으로 집중해야 할 과제이다.

앞서의 사회복지사의 정치세력화나 노조운동은 인권의 제도화를 촉진하고
사회복지사의 윤리적 전문성 강화는 사회복지사 인권의 구성주의를 조장한다.

사회복지사 인권 없이 클라이언트 인권 없다.
인권은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쟁취하는 것이다.



이명묵 이메일 hwbook@chol.com









<참고 문헌>
마이클 프리먼 저, 김철효 역, 2005, 『인권, 이론과 실천』, 아르케
미셀린 이샤이 저, 조효제 역, 2005, 『세계인권사상사』, 길
박상필, 2005, 『NGO학』, 아르케
박영란 외, 2001, 『한국의 사회복지와 인권』, 인간과복지
박병도 외 인권법교재발간위원회 편, 2006, 『인권법』, 아카넷
이성훈 외, 2003, 『행정과 인권』, 국가인권위원회
조효제 저, 2007, 『인권의 문법』, 휴마니스트
짐 아이프 저, 김형식 · 여지영 역(2001), 『인권과 사회복지실천』, 인간과복지

이명묵 외, 2007, 『사회복지 윤리경영 교육·실천 매뉴얼』, 한국사회복지사협회
이명환 외(2006), 『윤리경영과 지원시스템』, 21세기북스
이원재(2005), 『전략적 윤리경영의 발견』, 삼성경제연구소
정혜원(2004), 『대한민국 희망보고서 유한킴벌리』, 거름
데이비드 보겔, 김민주 외역(2006), 『기업은 왜 사회적 책임에 주목하는가』, 거름
데이비드 뱃스톤, 신철호 역(2003). 『영혼이 있는 기업』, 거름
라인하르트 슈프렝어, 배진아 역(2004), 『위대한 기업의 조건』, 더난출판
로리 앤더슨 외 , 이주형 역(2005), 『What\'s Next? 2015』, 청년정신
마누엘 벨라스케즈, 한국기업윤리경영연구원 역(2002), 『기업윤리』, 매일경제
셜리 사가와 외, 이형진 역(2001), 『아름다운 제휴』, 아르케
시오노야 유이치, 박영일 역(2006), 『경제와 윤리』, 필맥
아리스토텔레스, 이창우 외역(2006), 『니코마코스 윤리학』, 이제이북스
이나모리 가즈오, 김형철 역(2005), 『카르마 경영』, 서돌
조셉 위란트, 김삼룡 역(2003), 『거버넌스 기업윤리』, 이화
피터 드러커, 현영하 역(1995), 『비영리단체의 경영』, 한국경제신문사
김현수 외(2006), 「우리 기업의 윤리경영 추진현황과 과제」, 전국경제인연합회
윤언철(2004), 「윤리경영에 관한 몇가지 오해」, LG주간경제 2004. 9. 8.
이상민 외(2002), 「재인식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삼성경제연구소
전국경제인연합회(2003), 「기업윤리와 기업가치 및 성과간의 관계분석」
전국경제인연합회(2005), 「CEO가 본 윤리경영의 추진 현황과 과제 실태조사」
전국경제인연합회(2005), 「주요 기업의 윤리경영 중점 프로그램」
최인철 외(2002), 「윤리경영의 선진사례와 도입방안」, 삼성경제연구소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3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