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사의 특성과 종류
2. 동사의 7형태 (태에 따른 변화)
3. 시제와 법 및 기타에 따른 동사 변화
2. 동사의 7형태 (태에 따른 변화)
3. 시제와 법 및 기타에 따른 동사 변화
본문내용
동사의 기본 개념 (Basic Concept of Verbs)
1. 동사의 특성과 종류
히브리어 문법 중에서 다른 언어에 비해 가장 특이한 것이 동사라고 할 수 있다. 히브리어 동사도 법(Mood), 시(Tense), 태(Voice)가 있으나, 대부분의 언어들이 법을 기준으로 시와 태를 구분하는 것과 달리 태를 기준으로 법과 시제에 따라 변화한다. 자세한 것은 잠시 뒤에 다루기로 하고, 여기서는 어간의 모음 형태에 따른 동사의 종류와 어간의 자음 형태에 따른 동사의 종류를 살펴보기로 한다.
1) 모음 형태에 따른 동사의 종류
히브리어 동사는 보통 세 자음 어간으로 되어 있으며, 어간의 모음 형태에 따라 ‘아’ 동사와 ‘에’ 동사 그리고 ‘오’ 동사의 세 가지로 구분한다.
① ‘아’ 동사는 동사 어간의 모음 형식이 ‘아-아’( )의 형태로 된 동사로서 대부분이 타동사이나 간혹 자동사(상태동사)도 있다.
타동사
(마-ㄹ
1. 동사의 특성과 종류
히브리어 문법 중에서 다른 언어에 비해 가장 특이한 것이 동사라고 할 수 있다. 히브리어 동사도 법(Mood), 시(Tense), 태(Voice)가 있으나, 대부분의 언어들이 법을 기준으로 시와 태를 구분하는 것과 달리 태를 기준으로 법과 시제에 따라 변화한다. 자세한 것은 잠시 뒤에 다루기로 하고, 여기서는 어간의 모음 형태에 따른 동사의 종류와 어간의 자음 형태에 따른 동사의 종류를 살펴보기로 한다.
1) 모음 형태에 따른 동사의 종류
히브리어 동사는 보통 세 자음 어간으로 되어 있으며, 어간의 모음 형태에 따라 ‘아’ 동사와 ‘에’ 동사 그리고 ‘오’ 동사의 세 가지로 구분한다.
① ‘아’ 동사는 동사 어간의 모음 형식이 ‘아-아’( )의 형태로 된 동사로서 대부분이 타동사이나 간혹 자동사(상태동사)도 있다.
타동사
(마-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