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본문내용
구약 석의
8.1. 주석이 무엇인가?
8.1.1. 사전적인 뜻
주석(nEa·), 주해(nEu°), 석의(a·eu), 강해(E≫u°)란 낱말들이 국어사전에서는 그리 뚜렷한 뜻의 차이 없이 비슷하게 풀이하고 있지만, 일상 어법에 따라 그 낱말들이 주는 느낌은 조금씩 다르다.
주석이라고 하면 한 줄 한 줄, 한 낱말, 한 낱말의 뜻을 풀이한다는 느낌을 준다. 논문을 쓸 때 붙이는 각주에서 주라는 낱말의 뜻이 그러하다. 그러면서도 단락 단락의 뜻을 풀이해 주는 일도 주석에 들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주해도 비슷한 뜻이겠다. 석의라 함은 본문 전체의 뜻을 밝혀낸다는 면을 조금 더 강조하는 듯이 보인다. 강해는 주석, 주해, 석의한 것을 알아듣기 쉽게 풀어 놓은 것을 가리키는 것 같다. 보통은 강해 설교를 뜻하기에 본문의 뜻을 밝히는 것 못지 않게 밝힌 뜻을 현재의 상황에 맞게 풀이하는 것에도 관심을 쏟는다. 그러고 보면 강해는 주석 다음의 과정까지 포함한다 하겠다.
영어로는 exegesis, interpretation, exposition의 순으로 학문적인 정확성과 엄밀함이 덜어지고 실용도가 높아지는 듯한 인상을 받는다. 1960년대에 미국에서 나온 The Interpreter\'s Bible은 본문해설을 exegesis부분과 exposition부분의 둘로 나누어 성경의 한 책이라 하더라도 각 부분의 필자를 달리하고 있다. 최근에 나온 The New Interpreter\'s Bible(1996)에서는 각 책에 대해 한 사람이 commentary를 쓴 다음에 reflections를 덧붙인다. 또 미국에서 낸 총서 Interpretation은 일반적인 주석 총서 commentary보다는 조금 쉽고 대중적인 느낌을 준다. 학문적인 주석 총서로서 Hermeneia(\'해석\'이라는 뜻의 헬라말)라는 것도 있다([문헌]8.7.24를 보라). 우리 학교 신대원에는 <구(약)석(의)방(법론)>과 <신(약)석(의)방(법론)>이라는 필수 과목이 있다. 왜 구약주석방법론, 신약주석방법론이라 하지 않는가?
웹스터 사전에서는 exegesis를 exposition, explanation과 같이 보면서 특히 \'어떤 본문이나 성경의 부분을 비평적으로 풀이하는 것\'(critical interpretaion of a text or portion of Scripture)이라고 한다. 두덴 독독 사전에서는 Exegese를 \'어떤 본문, 특히 성경을 (학문적으로) 풀이하고 해석하는 것\'([wissenschaftliche] Erkl
8.1. 주석이 무엇인가?
8.1.1. 사전적인 뜻
주석(nEa·), 주해(nEu°), 석의(a·eu), 강해(E≫u°)란 낱말들이 국어사전에서는 그리 뚜렷한 뜻의 차이 없이 비슷하게 풀이하고 있지만, 일상 어법에 따라 그 낱말들이 주는 느낌은 조금씩 다르다.
주석이라고 하면 한 줄 한 줄, 한 낱말, 한 낱말의 뜻을 풀이한다는 느낌을 준다. 논문을 쓸 때 붙이는 각주에서 주라는 낱말의 뜻이 그러하다. 그러면서도 단락 단락의 뜻을 풀이해 주는 일도 주석에 들어가는 것으로 보인다. 주해도 비슷한 뜻이겠다. 석의라 함은 본문 전체의 뜻을 밝혀낸다는 면을 조금 더 강조하는 듯이 보인다. 강해는 주석, 주해, 석의한 것을 알아듣기 쉽게 풀어 놓은 것을 가리키는 것 같다. 보통은 강해 설교를 뜻하기에 본문의 뜻을 밝히는 것 못지 않게 밝힌 뜻을 현재의 상황에 맞게 풀이하는 것에도 관심을 쏟는다. 그러고 보면 강해는 주석 다음의 과정까지 포함한다 하겠다.
영어로는 exegesis, interpretation, exposition의 순으로 학문적인 정확성과 엄밀함이 덜어지고 실용도가 높아지는 듯한 인상을 받는다. 1960년대에 미국에서 나온 The Interpreter\'s Bible은 본문해설을 exegesis부분과 exposition부분의 둘로 나누어 성경의 한 책이라 하더라도 각 부분의 필자를 달리하고 있다. 최근에 나온 The New Interpreter\'s Bible(1996)에서는 각 책에 대해 한 사람이 commentary를 쓴 다음에 reflections를 덧붙인다. 또 미국에서 낸 총서 Interpretation은 일반적인 주석 총서 commentary보다는 조금 쉽고 대중적인 느낌을 준다. 학문적인 주석 총서로서 Hermeneia(\'해석\'이라는 뜻의 헬라말)라는 것도 있다([문헌]8.7.24를 보라). 우리 학교 신대원에는 <구(약)석(의)방(법론)>과 <신(약)석(의)방(법론)>이라는 필수 과목이 있다. 왜 구약주석방법론, 신약주석방법론이라 하지 않는가?
웹스터 사전에서는 exegesis를 exposition, explanation과 같이 보면서 특히 \'어떤 본문이나 성경의 부분을 비평적으로 풀이하는 것\'(critical interpretaion of a text or portion of Scripture)이라고 한다. 두덴 독독 사전에서는 Exegese를 \'어떤 본문, 특히 성경을 (학문적으로) 풀이하고 해석하는 것\'([wissenschaftliche] Erk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