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 셈, 함, 야벳 이후의 언어 변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약 셈, 함, 야벳 이후의 언어 변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누르시오니 내 진액이 화하여 여름 가물에 마름같이 되었나이다” (Yom Class!).
91.
양력의 하루 (빛과 어두움)
92. 시편 32:3 “내가 토설치 아니할 때에 종일 신음하므로 내 뼈가 쇠하였도다” ( )
93.
그 어떠한 사건이 종결된 한 때를 가리킨다.
94. 예:
95. 창 2:4 “여호와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 때에 천지의 창조된 대략이 이러하니라”
96. 레 14:1-2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문둥 환자의 정결케 되는 날의 (때에, at the time- *the procedure for cleansing a leper took at least 8 days) 규례는 이러하니 곧 그 사람을 제사장에게로 데려갈 것이요“
97. 전 12:3 “그런 날에는 집을 지키는 자들이 떨 것이며...” (날에는: 노후)
98.
99. 창세기 1장 내에서의 관용법: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00.
101. J. Robert Vannoy: yom 은 미정의 시간길이를 뜻한다.
102. a) 구약에서 특별히 명기하지 않은 한 때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됨이 이 논리를 허용한다.
103. b) 창세기 1장에서 낮과 밤을 주관하는 광명 (lights)은 넷째 날에 창조하셨다 (1:14-19). 그럼으로 셋째 날까지에 사용된 yom은 시간적 (24시) 의미를 담고있지 않다.
104. c) 만약 “yom\"을 24시간이 아닌 하나님의 창조의 시간으로 이해한다면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셋째 날이니라“라는 문구는 상징적으로 하나님의 창조의 시작과 끝을 가리킴이 무리가 아니다. 이렇게 문구를 반복하는 문학형식을 히브리 문법에서는 Merism 혹은 Inclusion라고 한다.
105. d) 창 1:26-31은 제 6일의 창조내용이다. 특별히 27절에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를 참고하고 2:7에 보면 남자를 창조하신다. 2:8에 그 남자는 에덴동산에 있고 2:15에서는 그 동산을 얼마동안 다스리며 지키고 있다 그리고 2:19에서는 동물들의 이름을 아담이 짓고 있다. 그리고 2:21-23절에 와서 그디어 여자를 창조하신다. 이 6일 또한 24시간이 아니었음을 우리는 알 수 있다.
106. e) 하나님께서 제 칠일에 그 창조하시는 일을 쉬셨다 했는데 그 안식의 칠일은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107. f) 이 외에도 7일이라는 (3+31=7) 숫자를 상징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formulaic numbers). 이는 구약에서 3이나 7자의 숫자를 중요하게 여기는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창40-41에 요셉을 꿈을 풀이해준 바로의 술관원장과 떡 관원장의 꿈에서 그들을 포도가지 세계와 떡 광주리 세계를 보게된다. 41장에서 바로의 꿈 역시 7마리의 암소와 7단의 이삭이 나타난다. 욥기에서는 7명의 아들과 7명의 딸, 7천 양과 3천 낙대, 3친구가 7일동안 대화하는 양식이 나온다. 민14:27-29에서는 3년째마다 특별십일조를 드리며 7년째는 (3+3+1=7) 안식년으로 들어가게 된다 (민15:1이후).
108.
109. 그럼으로 이 yom을 하루 24시간으로 해석하는 것은 성경 내에 기록된 관련문장들과 대립되는 모순을 일으킨다. yom은 미정된 한 때, 하나님의 창조에 있어 한때의 단계를 말할 것이다. 이는 창조의 시간보다는 그 창조의 질서와 순서에 초점을 둔 것이다.
110.
111. [강의 06]
112.
113. 1-창세기 1장의 기록
114. 성경은 하나님께서는 여러 방법으로 (사건, 꿈, 환상, 구전, 문헌, 등등) 그의 말씀을(계시) 기록한 것이다. 성경 여러 부분은 또한 미리 존재했던 기록서나 문서를 사용하기도 했다. 누가복음 1:2-3이 그 예이다. 그러나, 어떠한 방법이던 간에 기록한 저자는 성령의 감동으로 계시의 오류를 남기지 아니했다 (딤후 3:16-17).
115.
116. a) 창세기 1장에 있어서 그 기록의 방법론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그 안에 계시된 하나님의 말씀이 진실하며 신실하다 라는 것이다. 또한 분명히 역사의 지평을 기록하고 있다 라는 것이다.
117.
118. b) 창세기 1장의 바빌론 기원론
119. George Smith (1875, British Museum)은 그의 저서 Chaldean Account of Genesis에서 창세기 저작의 기원을 바빌론으로 주장했다. 그후 1902, Friedrich Delitzch는 “바빌론 과 창세기”라는 강의를 통하여 끝내 Pahn-Babylonian School of OT Interpretations이라는 학회를 발족했다.
120. 이 학회는 구약성경의 신앙 사상과 문학양식이 바빌론 문화로부터 입수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1. 바빌론의 창조신화를 기록한 Enuma Elish (When on High)의 기원은 약 1792-1750BC로 올라간다 (Hammurabi 왕이 Marduk을 Babylon 도시국가의 보호 신으로 선포하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편집된 창조신화이다). 물론 제일 오래된 장 본문서는 약 1000BC이다. 모세가 오경을 기록한 시대를 약 1400-1200BC로 본다면 모세는 Enuma Elish에서 창조사상을 입수했을 것이라는 논리다.
122. Enuma Elish: 만신전의 신들 가운데 바빌론을 창설한 Marduk의 특수성을 강조하기 위한 이야기다. Apsu (god of fresh water 생수의 신) 와 Tiamat (god of salt water 소금물의 신)의 결혼으로 인해 난 Ea 신이 창조의 질서를 파괴하려는 그의 아버지 Apsu를 살해하고 우주의 질서를 다시 세운다. Ea 와 Damkina 여신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Marduk는 능력이 대단한 신이 된다.
123. 세월이 흐른 후 Kingu라는 신이 Tiamat와 결합하여 Apsu를 죽인 Ea와 그의 아들 Marduk를 도전한다. 용으로 변한 Tiamat를 이김으로 Marduk는 만신전의 최대 신이 되며 Tiamat의 머리를 뿌셔 하늘과 땅을 창조하고 그의 목구멍을
  • 가격3,000
  • 페이지수6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53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