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시장에 대한 차별적 공급대신에 기업 수요의 강도에 따른 공급 우선에 치중하여야 한다. 특히 모든 생산라인 및 수송과정에서의 문제가 있으면 납기일 준수에 차질이 생기게 되므로 노동자의 근로의욕 고취에 款심을 기울여야 한다. 인사조직에 있어서도 선호되는 제품라인이나 중점 품목 라인을 중심으로 고급 인력의 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보면,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불황기의 마케팅 전략의 추진 방향은 수요의 다양화를 최대 한도로 충족시키는 데 기본 목표가 주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노력은 경기 변동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없다. 즉, 호황이나 불황을 막론하고 선호되는 제품 라인이나 중점 품목 라인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경영관리의 각 기능에서 시너지 효과 추구에 기업 전략의 기본을 두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