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학 논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모학 논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제 1 장 서 론1
1. 문제제기1
2. 연구목적2
3. 연구의 범위와 방법6
4. 연구의 기여점과 한계점7
제 2 장 목회자 아내에 대한 이론적 고찰9
1. 목회자 아내의 개념9
2. 목회자 아내라는 사회적 존재10
3. 목회자 아내 이해에 대한 사회학적인 접근11
4. 정체성의 출연12
제 3장 정체성 이론
1. 매카담스의 삶의 이야기를 통한 정체성이론14
1) 이야기의 기원: 음조, 이미지, 주제 15
2) 이야기의 주인공( The Imago) 19
3) 성인의 이야기 만들기 22
2. 후기 현대 사회와 정체성26
1) 사회적 구성이론26
(1) 사회적 구성주의와 정체성27
2) 후기 현대 사회와 대화적 자아, 이야기적 자아29
(1) 이야기적 패러다임과 논리적 패러다임30
(2) 이야기적 자아31
3. 연구방법론 33
1) 질적연구방법33
2) 연구설계35
3) 연구자의 역할 36
4) 참가자들37
제 4 장 면담 사례 39
1. 참가자들 묘사39
1) G씨의 사례40
2) P씨의 사례42
3) H씨의 사례46
4) K씨의 사례48
5) S씨의 사례50
6) Y씨의 사례52
7) A씨의 사례54
8) L씨의 사례55
9) D씨의 사례59
2. 이야기 주제별 분류 및 분석60
1) 결혼(선택)60
(1) 결혼이야기60
(2) 결혼 이야기 에 대한 분석66
2) 배우자69
(1) 배우자 이야기69
(2) 배우자 이야기에 대한 분석76
3) 부르심78
(1) 부르심에 관한 이야기78
(2) 부르심에 관한 이야기에 대한 분석 81
4) 교회이야기83
(1) 교회에 관한 이야기 84
(2) 교회이야기에 대한 분석90
3. 목회자 아내들의 정체성 이야기의 형태와 특성90
1) 결혼 이야기(marriage)의 특성90
2) 남편 이야기의 특성94
3) 부르심 이야기의 특성95
4) 교회 이야기의 특성96
5) 이야기형태들 속에서 나온 공통점96
제 5 장 목회자 아내를 위한 목회 상담에의 적용 100
1. 남편의 역할101
1) 목회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102
(1) 갈등 관계에서 공존의 개념으로102
(2) “걸어다니는 상처 입은자“에서 ”상처 입은 치료자“로103
2) 목회자의 신화 내려놓기(영적갱신)103
(1) 교회성장신화.104
(2) 유명한 목사신화. 105
(3) 희생과 헌신의 신화106
3) 목회자의 구체적 지침106
(1) 가정을 보호하기106
2. 교회의 역할107
1) 목회자 아내에 대한 인식의 전환 필요108
(1) 목회자 아내의 대한 오해의 원인108
(2) 목회자 아내에 대한 성서적인 이해109
2) 안정적인 경제생활110
3) 목회자의 가정 생활에 대한 배려 111
4) 정기적인 안식년 제공 112
3. 지원체계를 통한 교단 차원의 역할112
1) 교단적 지원 113
2) 신학교 교육114
4. 목회상담자의 역할114
1) 여성에 대한 이해114
2) 외부화(externalizing) 작업116
5. 목회자 아내들의 과제117
1) 삶의 한계(경계선)설정117
2) 동료 목회자 아내들과 지지집단형성 118
3) 문화에 대한 패러다임전환119
제 6 장 결 론122
1. 요약113
2. 제언127
참고문헌130
부록1. 동의서 135
부록2. 질문지136
ABSTRACT140

본문내용

미움이 이분법처럼 목회자 아내들의 삶에서 자신의 뜻과 욕구를 성취시키려는 그리하여 그의 삶의 영역을 자신의 뜻대로 조정하려하는 힘과 성취 지향의 욕구와 타인의 의사와 그 관계를 존중하고 그에 대한 친밀감, 사랑과 돌봄의 책임을 유지하려하는 관계 지향의 욕구가 그들의 인터뷰에서 드러났다. 또한 목회자 아내들의 호칭에 대하여서도 이러한 양면적인 감정들이 여실히 드러났다. 나이든 사람이든 상관없이 대접해 주는 것은 좋으며 교회에서는 목회자 아내로 불려지기를 원하고 자신들에 대하여 기대를 갖지 말고 이야기를 하지 말았으며 하는 바램이 그들 모두에게 있었다. 아마 이러한 양가적인 것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삶의 양면성이라고 보아진다.
④ 인터뷰에 참가했던 모든 목회자 아내들에게는 공통으로 그들의 삶을 이끌어 가는 믿음과 신념의 체계가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인터뷰 대상자들이 모두 평신도가 아닌 목회자 아내라는 기독교인을 대상을 삼은 대상의 한계가 이 연구 속에는 있지만 그들 모두는 목회자 아내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억지로 하는 믿음의 형태들이 아니었다. 그들 모두에게 중요한 정체성인 “하나님의 자녀”, “성도”라는 크리스챤으로서의 정체성을 모두 가지고 있었고 이러한 것은 그들의 삶의 위기가 닥쳐올 때 자신 속에 흩어진 자아들을 통합시켜 주는 중요한 역할을 했고 앞으로 미지수이고 알 수 없는 환경 속에서 평안히 앞을 내다 볼 수 있는 앞으로 그들의 삶을 전진 할 수 있는 영원한 보호자, 삶의 버팀목의 역할을 해 주었다. 그들에게서 발견되는 신앙의 단계는 파울러(Fowlerd)의 신앙발달단계들 5단계의 신앙 즉 접속적 신앙(conjunctive faith)의 모습을 보편적으로 발견 할 수 있었다. 그들 모두는 자기의 인생을 지금까지 하나님이 인도해 오셨듯이 비록 생계의 문제가 어떻게 될지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하나님이 자신들의 삶을 인도하실 거라는 하나님 자녀로서 갖는 신뢰인 믿음의 체계가 그들의 이야기의 핵심 축으로서 가지고 있었다. 이 결과도 역시 매카담스의 이야기로 찾아가는 인간 정체성의 이론을 뒷받침해 주는 중요한 결과이다. 좋은 이야기는 좋은 삶의 정체성을 만들어가고 그 이야기 안에는 흔들림 없는 중심축으로서의 믿음체계(ideological setting/belief system)가 존재한다는 이론을 다시금 확인 할 수 있었다.
⑤ 인터뷰를 통해 나타난 목회자 아내들의 이야기에 나타난 공통된 것은 자신에 대한 성숙에의 관심이었다. 이는 자녀들에 대한 어머니로서의 관심뿐만 아니라 다음세대 특히 다른 사람의 영혼을 위한 배려와 봉사에 대한 관심이었으며 더 나아가 그들 모두 남편에게 유용한 사람으로 도움이 되고자 하는 열망이 있었다. 더욱 중요한 것은 그들 자신이 자신에게 성숙한 자가 되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 만약 당신에게 다시 한 번 삶을 선택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무엇을 하기겠습니까” 라는 물음에 그들 모두 다시 공부하겠다는 공통된 대답은 중년 삶의 정체성 이야기 형성과정에 나타난 성인의 내부 속에 깃들인 내적 욕구의 동인이 자신을 확장시키려는 욕구와 이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유용하게 되려는 욕구가 포함된다는 의미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주었다.
⑥ 목회자 아내들의 이야기에 마지막으로 공통적으로 나타난 것은 화해의 속성이었다. 그들의 삶의 이야기의 밑바닥에 흐르고 있는 것은 많은 부분이 남편과 교인에 대하여 가지는 내적인 갈등이었다. 특히 교인들이 그들에게 던지는 한마디의 말들이 그들에게 외로움과 상처가 그들 안에 있었다 할지라도 그들 모두는 교인들을 가슴에 안고 그들을 이해하며 사랑할 수 있는 더 큰 그릇이 되기를 소망하는 화해의 이야기와 남편과의 많은 부분이 갈등을 일으킨다 할지라도 가능한 한 자신들이 양보하고 이해하며 가정의 화합을 이루려는 이야기가 그들의 이야기 대본 속에 깔려있었다. 이는 예수그리스도께서 아무 공로 없이 자신들을 위해 죽으셔서 하나님과 자신들을 화해시키신 구속의 이야기처럼 목회자아내들도 그들을 통하여 가정과 교회가 더 큰 구원의 일을 감당하도록 자기를 잃지 않으면서도 자신을 넘어 설 수 있는 이야기 즉 타인과 세계에 대해 무엇인가를 기여하며 공헌하는 나눔의 이야기가 존재했었다.
제 5 장 목회자 아내를 위한 목회 상담에의 적용
이상과 같이 본 연구자는 연구의 중요 결과로서 목회자 아내들의 이야기에 나타나는 정체성(identity)과 관련돤 4가지의 주제들과 그 속에 들어있는 상호작용적인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면 이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관심분야이면 이 연구의 기본 동인이었던 목회자 아내들을 위한 목회적 돌봄과 상담에 어떻게 적용 할 수 있을까를 생각해 보고자 한다. 목회자와 결혼하며 새로운 환경의 도전 앞에 때론 당혹스럽고 때론 우울하며 때론 좌절해하는 목회자 아내들에게 목회 상담과 돌봄을 과제로 삼고있는 우리는 어떻게 그들의 이야기가 새로운 미래를 위하여 의미 있는 삶의 자취를(legacies)을 남기며 삶의 아름다운 마무리(nice ending)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어떻게 목회자 아내들의 이야기가 보다 의미 있고 건강하고 성숙한 이야기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까? 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러한 과제를 염두에 두며 지금까지 논의한 본 연구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목회자 아내들을 돌보는 돌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연구자의 연구를 통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기본 주제는 목회자 아내들도 다른 여성과 똑 같은 갈등과 바램이 있는 것이다. 목회자 아내들의 살아가는 이야기의 4가지 주제들 즉, “결혼이야기”, “남편이야기”, “부르심 이야기”, “교회이야기”등을 통해서 이 모든 이야기의 배경에 흐르고 있는 기본적 과제가 .목회자 아내에 대한 남편의 태도(시각)와 교인들의 태도였다. 앞장에서 살펴보았듯이 이것이 목회자 아내들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는 과정에서 그들의 삶의 의미 추구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목회자 아내에 대한 남편의 태도와 우리나라 한국 교회가 가지는 목회라는 배경과 전통 사회의 가치관을 가지고 목회자 아내들을 바라보는 교인들의 시각이 어떠하느냐에 따라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11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5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