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강판을 성형한 것에 적절한 보강을하여 사용하고 그림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레일도어행거등에 의해 원활히 개폐할 수 있도록 매달아 동작시킨다.
도어 행거의 롤러에는 개폐시의 소음을 적게 할 필요가 있는 승용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강제 롤러에 우레탄등의 타이어를 끼운것이 사용된다.
카 도어의 개폐기구로서는 그림과 같이 두짝의 도어를 암에 의해 개폐하는 것과 그림 3-3와 같이 한쪽의 도어를 암으로 개폐시키고 다른쪽 도어를 로프나 체인에 의해 연동하는 것 등이 있다.
카가 주행중에 어린이가 장난으로 카의 동어를 억지로 여는 일도 있을 수가 있으므로,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에서는 카가 주행중에 저속의 도어를 손으로 억지로 여는데에 필요한 힘은 20kg이상이 필요하다. 보통, 이 도어를 닫는 힘을 내기 위하여 주행중 모터에 전류를 흘려서 토크를 내고 있다.
또, 카 내에 갇히는 고장등의 경우, 구출원이 카 도어를 손으로 열 수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 상황에서 어린이들이 부주의로 열려고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이것들을
도어 행거
도어레일
도어의 운동로프
감안하여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는 카가 정지하고, 동력이 절단 되었을 때 카가 저속시 도어를 손으로 억지로 열려고 하는 힘이 5kg이상 30kg이하가 필요하다.
또, 공동주택용에서 승객이 승강기를 탈 때 열려있는 도어안으로 들어갔을 때의 상해나 도어가 닫힐때 도어에 끼어서 받는 아픔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기 위한 도어의 개폐력은 (도어를 완전히 열었을때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힘은 저속측 도어에서 측정해서) 15kg이하이다.
또 자동닫힘을 출입구폭의 중앙에서 일단 저지하여 닫히는 힘을 줄이고 다시 도어를 닫았을때의 힘은 고속측 도어에서 측정하여 15kg이하이어야 gis다.
도어의 하부에는 가이드슈가 문턱 홈에 끼워져 있다. 고장의 통계로는 문턱에 먼지가 쌓여서 도어의 개폐를 방해하여 고장을 일으키는 것이 가장 많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턱의 홈에 먼지가 떨어지도록 구멍을 뚫는 경우가 많다.
3. 도어머신(Door Machine)
도어머신은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고 암이나 로프등을 구동시키고 도어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감속장치로서는 일찍이 웜 감속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벨트나 체인에 희해 감속하는 것이 늘어나고 있다.
1)작동이 원활하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것
2)카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소형 경량일 것
3)동작회수가 엘리베이터의 기동회수의 2배가 되므로 보수가 용이할 것
4)가격이 저렴할 것도어 머신에 요규되는 성능은 작동이 확실하고 다음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등을 들 수가 있다. 1),2)를 중요시하면 DC모터 부착을, 2),3)에서는 감속기구부착식, 3),4)를 중요시할때는 AC모터 부착이 될 것이다.
도어머신에 필수적인 또 하나의 특성은 닫혀진 상태에서 정전되었을 때도 닫혔을 때 구출을 위해 도어를 열 수가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웜기어는 역효율이 나빠서 열리지 않을 경우가 있으므로, 설계상 주의를 요한다.
도어 모터는 도어의 행정의 절반까지는 도어를 가속시키고 나머지 절반은 도어를 감속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정기적으로 가속과 감속을 하려면 DC모터가 가장 적합하고, 대다수가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 AC모터를 사용하고 사이리스터에 의해 속도 조절하는 방식도 있다. 도어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토크를 내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4. 도어 인터록(door interlock)
도어인터록 장치는 승강장의 도어 안전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이다.
이 장치는 카가 정지하지 않는 층의 도어는 전용열쇠를 사용하지 않으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도어 록과 도어가 닫혀 있지 않으면 운전이 불가능 하도록 하는 도어 스위치로 구성된다.
도어인터록 장치로 중요한 것은 시건 장치가 확실히 걸린후 도어스위치가 온(on)도과(car가 call준비) 또 도어스위치가 끊어진 후에 도어록이 열리는 구조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그림에 보는 바와같이 가동 훅에 단락편을 설치하고 자물쇠가 채워짐으로써 스위치가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장에서 자물쇠를 열기이한 열쇠(비상용 열쇠)는 특수한 것으로 해야하고 일반 공구로 열리지 못하도록 해야한다.
5.도어클로저(door closer)
엘리베이터 사고의 절반이상이 출입구부근에서 일어나는 중대사고가 많다
그 중에서도 도어가 열려서는 안될 때에 열린경우에 발생한 사고가 중대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므로, 현재는 도어가 열린상태에서의 규제가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도어가 닫히는 모양으로 되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으로 많은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도어닫힘기구에는, 레버시스템과 코일스프링 및 도어체크를 조합하여 [스프링클로저]방식과, 그것보다 간단한 것으로 와이어와 추를 써서 도어체크를 생략한 웨이트클로저 방식이 있다. 스프링클로저에서 도어체크를 제거한 것, 레바방식에 추를 사용한 것등 중간것 있다.
그림에 표시한 것은 레버스프링클로저의 일례로, 이것은 수동식(운전자가 배치된 엘리베이터용)의 클로저이나 원리는 같다. (b)는 도어가 같은 모양으로 열리는 것으로, (d)는 그때의 스프링리턴체크 부분을 표시한 것이고, (a),(c)는 도어가 완전히 닫친 경우이다.
웨이트식의 경우 웨이트를 승강로벽을 따라 내려트리는 것과 도어판넬 자체에 달리는 것 2종이 있다. 스프링식은 도어의 닫힘의 끝날 때 약하여지나 웨이트식에서는 시종 같은 힘으로 도어를 닫게하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스프링식을 설치하는 것이 고속 도어장치에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다.
6.도어간극(clearance)과 오버랩(over lap)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를 매개로 하여 건물의 전층이 동일방화구획으로 연결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출입구의 도어는 갑종(또는 을종)방화도어로 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어 상호간 및 도어와 출입구측 사이에는 일정이상의 중복(겹침)과 일정치이하의 간격을 둘 필요가 있다.
7.도어 보호장치
현제의 승용엘리베이터는 거의 모두가 자동식이고, 도어의 개폐도 당연히 전자동식이다. 따라서 도어가
도어 행거의 롤러에는 개폐시의 소음을 적게 할 필요가 있는 승용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강제 롤러에 우레탄등의 타이어를 끼운것이 사용된다.
카 도어의 개폐기구로서는 그림과 같이 두짝의 도어를 암에 의해 개폐하는 것과 그림 3-3와 같이 한쪽의 도어를 암으로 개폐시키고 다른쪽 도어를 로프나 체인에 의해 연동하는 것 등이 있다.
카가 주행중에 어린이가 장난으로 카의 동어를 억지로 여는 일도 있을 수가 있으므로,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에서는 카가 주행중에 저속의 도어를 손으로 억지로 여는데에 필요한 힘은 20kg이상이 필요하다. 보통, 이 도어를 닫는 힘을 내기 위하여 주행중 모터에 전류를 흘려서 토크를 내고 있다.
또, 카 내에 갇히는 고장등의 경우, 구출원이 카 도어를 손으로 열 수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그 상황에서 어린이들이 부주의로 열려고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이것들을
도어 행거
도어레일
도어의 운동로프
감안하여 공동주택용 엘리베이터는 카가 정지하고, 동력이 절단 되었을 때 카가 저속시 도어를 손으로 억지로 열려고 하는 힘이 5kg이상 30kg이하가 필요하다.
또, 공동주택용에서 승객이 승강기를 탈 때 열려있는 도어안으로 들어갔을 때의 상해나 도어가 닫힐때 도어에 끼어서 받는 아픔을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기 위한 도어의 개폐력은 (도어를 완전히 열었을때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힘은 저속측 도어에서 측정해서) 15kg이하이다.
또 자동닫힘을 출입구폭의 중앙에서 일단 저지하여 닫히는 힘을 줄이고 다시 도어를 닫았을때의 힘은 고속측 도어에서 측정하여 15kg이하이어야 gis다.
도어의 하부에는 가이드슈가 문턱 홈에 끼워져 있다. 고장의 통계로는 문턱에 먼지가 쌓여서 도어의 개폐를 방해하여 고장을 일으키는 것이 가장 많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문턱의 홈에 먼지가 떨어지도록 구멍을 뚫는 경우가 많다.
3. 도어머신(Door Machine)
도어머신은 모터의 회전을 감속하고 암이나 로프등을 구동시키고 도어를 개폐시키는 것이다. 감속장치로서는 일찍이 웜 감속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벨트나 체인에 희해 감속하는 것이 늘어나고 있다.
1)작동이 원활하고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것
2)카 상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소형 경량일 것
3)동작회수가 엘리베이터의 기동회수의 2배가 되므로 보수가 용이할 것
4)가격이 저렴할 것도어 머신에 요규되는 성능은 작동이 확실하고 다음사항을 만족하여야 한다.
등을 들 수가 있다. 1),2)를 중요시하면 DC모터 부착을, 2),3)에서는 감속기구부착식, 3),4)를 중요시할때는 AC모터 부착이 될 것이다.
도어머신에 필수적인 또 하나의 특성은 닫혀진 상태에서 정전되었을 때도 닫혔을 때 구출을 위해 도어를 열 수가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웜기어는 역효율이 나빠서 열리지 않을 경우가 있으므로, 설계상 주의를 요한다.
도어 모터는 도어의 행정의 절반까지는 도어를 가속시키고 나머지 절반은 도어를 감속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정기적으로 가속과 감속을 하려면 DC모터가 가장 적합하고, 대다수가 이것을 사용하고 있다. AC모터를 사용하고 사이리스터에 의해 속도 조절하는 방식도 있다. 도어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토크를 내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4. 도어 인터록(door interlock)
도어인터록 장치는 승강장의 도어 안전장치로서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중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이다.
이 장치는 카가 정지하지 않는 층의 도어는 전용열쇠를 사용하지 않으면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도어 록과 도어가 닫혀 있지 않으면 운전이 불가능 하도록 하는 도어 스위치로 구성된다.
도어인터록 장치로 중요한 것은 시건 장치가 확실히 걸린후 도어스위치가 온(on)도과(car가 call준비) 또 도어스위치가 끊어진 후에 도어록이 열리는 구조로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구조로서는 그림에 보는 바와같이 가동 훅에 단락편을 설치하고 자물쇠가 채워짐으로써 스위치가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장에서 자물쇠를 열기이한 열쇠(비상용 열쇠)는 특수한 것으로 해야하고 일반 공구로 열리지 못하도록 해야한다.
5.도어클로저(door closer)
엘리베이터 사고의 절반이상이 출입구부근에서 일어나는 중대사고가 많다
그 중에서도 도어가 열려서는 안될 때에 열린경우에 발생한 사고가 중대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으므로, 현재는 도어가 열린상태에서의 규제가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도어가 닫히는 모양으로 되는 것이 가장 올바른 방법으로 많은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다.
이 도어닫힘기구에는, 레버시스템과 코일스프링 및 도어체크를 조합하여 [스프링클로저]방식과, 그것보다 간단한 것으로 와이어와 추를 써서 도어체크를 생략한 웨이트클로저 방식이 있다. 스프링클로저에서 도어체크를 제거한 것, 레바방식에 추를 사용한 것등 중간것 있다.
그림에 표시한 것은 레버스프링클로저의 일례로, 이것은 수동식(운전자가 배치된 엘리베이터용)의 클로저이나 원리는 같다. (b)는 도어가 같은 모양으로 열리는 것으로, (d)는 그때의 스프링리턴체크 부분을 표시한 것이고, (a),(c)는 도어가 완전히 닫친 경우이다.
웨이트식의 경우 웨이트를 승강로벽을 따라 내려트리는 것과 도어판넬 자체에 달리는 것 2종이 있다. 스프링식은 도어의 닫힘의 끝날 때 약하여지나 웨이트식에서는 시종 같은 힘으로 도어를 닫게하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스프링식을 설치하는 것이 고속 도어장치에 적합하다고 말할 수 있다.
6.도어간극(clearance)과 오버랩(over lap)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출입구를 매개로 하여 건물의 전층이 동일방화구획으로 연결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출입구의 도어는 갑종(또는 을종)방화도어로 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어 상호간 및 도어와 출입구측 사이에는 일정이상의 중복(겹침)과 일정치이하의 간격을 둘 필요가 있다.
7.도어 보호장치
현제의 승용엘리베이터는 거의 모두가 자동식이고, 도어의 개폐도 당연히 전자동식이다. 따라서 도어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