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 개념의 역사와 실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NGO 개념의 역사와 실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NGO 개념의 발생역사
1) NGO의 존재론적 의미
2) UN의 결성과 NGO
3) 6월항쟁과 한국의 NGO
2. NGO 개념의 실체적 정의
1) NGO의 실체적 개념
2) 다른 단체 개념과의 비교

본문내용

때도 있다. <표 2>는 시민사회 내의 각종 단체를 상호 비교한 것이다. 한 가지 부언하다면, 최근 시민사회에 있는 각종 단체의 개념상의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시민사회단체(CSO: civil society organization)를 사용하자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는데, CSO도 개념상 애매할 뿐만 아니라 비교상의 유효성이 거의 없다는 사실이다.
단체
주요 특징
다른 단체와 비교
NPO
시민사회 내에 있는 모든 단체
제3섹터와 같은 의미
민간단체
공공단체에 상대적인 개념
NPO 중에서 정부와 긴밀한 단체는 제외
공익단체
집단이익추구단체에 상대적인 개념
종교단체는 제외
NGO
자원봉사활동을 통하여 공익을 추구하는 자발적 결사체
시민단체와 같은 의미
민중단체
민중적 주체성을 가진 사람이 체제변혁을 목표로 모인 단체
시민단체에 비하여 계급지향적
관변단체
정부주도로 설립되어 재정지원을 받고 체제유지에 협력
시민단체 비하여 정부종속적
CSO
시민사회의 자발적 결사체
좁게는 시민단체와 비슷하고, 넓게는 민간단체와 비슷
사회단체
사회변혁을 지향하는 진보적 단체
민중단체보다는 넓은 개념
이익집단
정부에 대한 영향력 행사를 통하여 집단이익 추구
시민단체와 구별되는 개념
<표 2> 시민사회 내 각종 단체 개념의 비교
<참고문헌>박상필(2001). 「NGO와 현대사회」. 서울: 아르케.박상필(2001). 「NGO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서울: 한울.유팔무 . 김호기 편(1995).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서울: 한울.Held, David(1996). 「정치이론과 현대국가」, 안외순(역), 서울: 학문과사상사.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75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