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모든 운동신경섬유를 포함.
㉡ 근육긴장을 유지하고 신체 운동을 조정하며 걷기 같은 보다 크고 자동적인 운동을 조절.
③ 소뇌로 ; 근육과 관절의 위치, 신체 평형에 대한 정보를 받고 운동 정보들을 피질로부터 근육에 보낸다.
(8) 뇌실계
- 뇌척수액의 생성과 순환을 담당.
- 뇌속에 있는 공간으로 위 아래로 이어져 있다.
(9)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충격을 흡수.
- 신경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
- 포도당, 소량의 단백질, 포타슘, 나트륨을 포함하고 있다.
- 뇌척수액 순환 경로가 막히면 두 개내압이 상승하여 두통, 오심, 구토가 나타나고 배출이 방해받아 수두증이 발생.
(10) 대뇌순환
- 평균 뇌혈류량 ; 750ml/min (심박출량의 15%)
1) 전뇌순환
① 내경동맥(ICA internal carotid artery)에서 시작.
② 전대뇌동맥(ACA) ; 내측 측두엽, 기저신경절의 미부, 내포등에 혈액을 공급
③ 중대뇌동맥(MCA) ; 전중심회, 전두엽, 대뇌의 측두엽 등에 혈액 공급
2) 후뇌순환
① 양측 쇄골하동맥에서 시작.
② 양측 추골동맥이 합쳐져서 기저동맥을 형성하고 기저동맥 → 중뇌에서 양측 후대뇌동맥
(PCA)으로 나뉜다.
③ 후두엽 및 내측 측두엽에 혈액을 공급.
3) 윌리스 환
① 가장 중요한 측부 순환로
② 구성 ; 전교통동맥 + 후교통동맥
4) 심부 관통 혈관
① 비교적 큰 혈관에서 직각으로 기시하여 뇌실질 내로 관통하여 들어가는 아주 가는 혈관.
② 뇌 깊숙한 부위의 혈액 공급.
③ 열공성 뇌경색과 고혈압성 뇌출혈의 중요 원인이 되는 혈관.
5) 대뇌정맥 ; 경막동안으로 배액되어 경정맥을 걸쳐 상대정맥을 순환.
(11) 뇌혈류 조절
- 뇌관류압의 정상범위 ; 70~100 mmHg.
- 혈관을 확장시켜 뇌혈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 이산화탄소 농도 ; 이산화탄소의 상승은 수소이온 농도의 상승을 초래하여 뇌혈관을 확장.
② 수소이온 농도
③ 산소 농도
- 뇌정맥의 산소 분압이 20mmHg 이하가 되면 뇌허혈 증상이 나타나고 뇌파에 이상소견 발생.
- 뇌교에 연수에 있는 혈관운동중추는 척수를 통해 신체의 모든 혈관에 흥분을 전달하여 혈관을 긴장시킨다.
- 시상은 신체의 체액 조절을 돕고 나아가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를 증가, 감소시켜 혈압을 조절.
㉡ 근육긴장을 유지하고 신체 운동을 조정하며 걷기 같은 보다 크고 자동적인 운동을 조절.
③ 소뇌로 ; 근육과 관절의 위치, 신체 평형에 대한 정보를 받고 운동 정보들을 피질로부터 근육에 보낸다.
(8) 뇌실계
- 뇌척수액의 생성과 순환을 담당.
- 뇌속에 있는 공간으로 위 아래로 이어져 있다.
(9) 뇌척수액(Cerebrospinal fluid)
- 뇌와 척수를 보호하고 충격을 흡수.
- 신경세포에 영양을 공급하고 노폐물을 제거.
- 포도당, 소량의 단백질, 포타슘, 나트륨을 포함하고 있다.
- 뇌척수액 순환 경로가 막히면 두 개내압이 상승하여 두통, 오심, 구토가 나타나고 배출이 방해받아 수두증이 발생.
(10) 대뇌순환
- 평균 뇌혈류량 ; 750ml/min (심박출량의 15%)
1) 전뇌순환
① 내경동맥(ICA internal carotid artery)에서 시작.
② 전대뇌동맥(ACA) ; 내측 측두엽, 기저신경절의 미부, 내포등에 혈액을 공급
③ 중대뇌동맥(MCA) ; 전중심회, 전두엽, 대뇌의 측두엽 등에 혈액 공급
2) 후뇌순환
① 양측 쇄골하동맥에서 시작.
② 양측 추골동맥이 합쳐져서 기저동맥을 형성하고 기저동맥 → 중뇌에서 양측 후대뇌동맥
(PCA)으로 나뉜다.
③ 후두엽 및 내측 측두엽에 혈액을 공급.
3) 윌리스 환
① 가장 중요한 측부 순환로
② 구성 ; 전교통동맥 + 후교통동맥
4) 심부 관통 혈관
① 비교적 큰 혈관에서 직각으로 기시하여 뇌실질 내로 관통하여 들어가는 아주 가는 혈관.
② 뇌 깊숙한 부위의 혈액 공급.
③ 열공성 뇌경색과 고혈압성 뇌출혈의 중요 원인이 되는 혈관.
5) 대뇌정맥 ; 경막동안으로 배액되어 경정맥을 걸쳐 상대정맥을 순환.
(11) 뇌혈류 조절
- 뇌관류압의 정상범위 ; 70~100 mmHg.
- 혈관을 확장시켜 뇌혈류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 이산화탄소 농도 ; 이산화탄소의 상승은 수소이온 농도의 상승을 초래하여 뇌혈관을 확장.
② 수소이온 농도
③ 산소 농도
- 뇌정맥의 산소 분압이 20mmHg 이하가 되면 뇌허혈 증상이 나타나고 뇌파에 이상소견 발생.
- 뇌교에 연수에 있는 혈관운동중추는 척수를 통해 신체의 모든 혈관에 흥분을 전달하여 혈관을 긴장시킨다.
- 시상은 신체의 체액 조절을 돕고 나아가 항이뇨호르몬의 분비를 증가, 감소시켜 혈압을 조절.
키워드
추천자료
농협의 구조와기능
소화기계 구조와 기능 및 간호중재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
[과외]2.과학 동물의구조와기능(모의고사)
[과학]과학 동물의구조와기능(핵심기출-2)
[과외]과학 동물의구조와기능(핵심기출-1)
성인간호학 - 내분비계 구조와 기능
내분비계의 구조와 기능
신장비뇨기장애_대상자_간호(구조와기능)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 (맥관계의 구조와 기능,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신경계, 신경계 정의, 신경계 구성, 신경계 기능, 신경계 감염, 신경계 수술간호, 신경, 신...
[아동발달] 영아기 신체발달 - 신체적 성장, 생리적 기능, 뇌와 신경계의 발달, 운동기능의 ...
인체 구조와 기능: 인체 구조와 기능의 이해
본인이 관심있는 가족관련 이슈 및 현상들을 수업시간에 제시되었던 가족관련 관점 및 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