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IPTV 향후 전망, 블루투스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비쿼터스,IPTV 향후 전망, 블루투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술 종합 정리
마. Mobile IPTV 기술그림 4에서는 나타나 있는 이동단말기와 관련하여 반드시 검토되어야 할 기술이 Mobile IPTV 기술이다. Mobile IPTV란 IPTV의 장점과 이동형 TV의 장점을 하나로 모은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즉 IPTV가 기지고 있는 인터넷 연결성 및 양방향 등 다양한 장점에 이동성을 부가하여 이용자 편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유/무선/방송이 통합된 종합기술이다. 최근 다양한 형태의 무선접속기술들이 개발되면서 무선 환경에서 IPTV를 사용할 수 있도록 계속 개발되고 있고 이에 따른 이용자의 기대도 커지고 있으며 서비스도 보다 조속히 현실화될 것으로 보인다.이용자는 무선접속이 가능한 구간에서 자유롭게 IPTV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며, 또한 다른 무선접속 구간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IP계층에서의 핸드오버와 같은 서비스 연속성 보장기술을 통해 IPTV 서비스를 끊김 없이 제공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물론 특성이 전혀 다른 이기종 무선구간을 이동하는 경우(이런 경우의 이동성 지원을 Vertical 핸드오버라고 하며 WLAN과 WiBro 간의 이동, WLAN과 CDMA 간의 이동 등이 있음)에는 다양한 기술적 이슈가 발생하지만 현재 관련 기술을 연구하는 여러 표준화 단체에서 이미 상당한 수준의 기술이 연구 개발되어 왔다.
IPTV의 향후 발전
3. IPTV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IPTV사업법에서 정하고 있는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IPTV 사업 유형
□ IPTV 전송사업
□ IPTV 콘텐츠 사업
□ 기술기준 제정
기술기준은 단말장치(셋톱박스), 사업용 설비(IP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업자 설비), 네트워크(최소한의 네트워크 품질 기준(QoS) 등) 분야 등 세부분으로 규정되어 있다. 이는 이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특정 사업자 및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보편 타당성을 지향하여 공정경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세부 기술기준 내용을 보면 단말장치는 망의 위해 여부, 디코더, 제한수신 기능 등을 규정하고 사업용 설비는 엔코더, 전송규격 등 설비 규격을 규정하였으며 네트워크는 지연, 지터 등 서비스 품질관련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4. IPTV 표준화 동향
가. 국내 표준화 동향국내 IPTV 단체 표준은 TTA의 프로젝트그룹(PG219)과 동 그룹산하 4개 실무반(WG)을 통해 “IPTV STB 단말 시스템 기술“ 등 총 11건의 표준을 작성하였거나 작성 중에 있다.
[ 표1 ] IPTV 국내 단체표준화 과제 목록
WG명
과제번호
과제명
비고
구조 및 시나리오
(WG2191)
2007-084
IPTV의 QoE 규약

QoS 및 성능규격

트래픽관리 메커니즘

2007-083
구조

요구사항

수신기 규격
(WG2192)
2007-306
IPTV 수신기

2007-087
2007-088
IPTV 서비스 플랫폼 기술

2007-085
MPEG2-TS 기반 컨텐츠 환경규격

ACAP-J기반 미들웨어규격

모바일 IPTV
(WG2193)
2006-643
IPTV에서의 이동성 지원 기술

시큐리티
(WG2194)
2007-086
IPTV Security 기술

나. 국제 표준화 동향IPTV의 국제 표준화는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Telecommunication, 표준화분문)의 SG(Study Group) 13에서 주도하고 있다.
SG 13은 주로 NGN(Next Generation Network)을 연구하고 있는 그룹으로 IPTV관련 국제표준화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ITU-T는 IPTV의 상호 호환성 확보 등을 위한 국제표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일차적으로 각 국(기업, 단체)의 기고를 받아 타당성을 검토하여 분류, 정리할 FG(focus Group)-IPTV를 구성하고 산하에 분야별로 6개 WG(working group)을 구성하여 2006년 7월 1차 회의를 시작으로 2007년 12월까지 총 7차례의 회의를 개최하였다.
FG-IPTV에서는 IPTV 구조, 요구사항, 보안 등으로 분류하여 20건의 문서를 작성하여 ITU-T에 제출하였다. 한편, ITU-T는 이들 문서를 검토하기 위해 2008년 1월 14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워커힐에서 SG9, SG11, SG13, SG16, SG19 회의 및 IPTV-GSI, NGN-GSI 회의를 동시에 개최하였다.
금번 회의에서는 20건의 IPTV 문서에 대한 담당 SG를 결정하고 또한 상호 관련된 있는 SG를 지정하고 상호 협의하여 추진하도록 하였으며 최종 국제표준으로 승인할 SG도 지정하였다.[표2참조]
[표 2] FG IPTV 표준초안 문서 리스트
WG
Doc. Number
Title
담당Q/SG
관련Q/SG
승인SG
WG1
FG IPTV-DOC-0147
IPTV 서비스 요구사항
Q2/13
SG11, Q9/9, Q22/16, Q9/17, Q12/1
SG13
FG IPTV-DOC-0181
IPTV 구조
Q3/13
Q9/9, Q21/16, Q9/17
SG13
FG IPTV-DOC-0182
IPTV 서비스 시나리오
Q1/13
Q9/9, Q8/13, Q2/13, Q22/16, Q12/17
SG13
FG IPTV-DOC-0183
갭 분석
추후 결정


WG2
FG IPTV-DOC-0184
IPTV QoE 요구사항
Q13/12
Q2/9,Q4/13, Q24/16
SG12
FG IPTV-DOC-0185
IPTV 서비스를 지원하는 트래픽 관리 메커니즘
Q4/13
Q5/11, Q16/12, Q17/12
SG13
FG IPTV-DOC-0186
응용 레벨에서의 에러 복구 메커니즘
Q23/16
Q13/12,Q4/13, Q14/17
SG16추후확인
FG IPTV-DOC-0187
IPTV 성능 모니터링
Q13/12
Q14/9,Q14/12,Q4/13, Q24/16, Q14/17
SG12
WG3
FG IPTV-DOC-0188
IPTV 보안
SG17
Q3/9,Q15/13,Q13/16,Q25/16
SG17
WG4
FG IPTV-DOC-0189
IPTV 네트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882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