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鶯衫)에
화관을 쓰고, 오색(五色) 한삼(汗衫)을 양손에 들고 춤을 추는것을 볼 수 있다.
김진환 춘앵전 연구(한성대 석사학위 논문)p21-24
춘앵전의춤 사위의 아름다움과용어
춘애전은 무엇 보다 움직임이없으면서도
그 안에 온 우주의 몸짓을 축약해 담아내는
큰 움직임이 살아 있는정중동(靜中動)의
춤 사위가 일품이라고 무용 전문가들은 말 하고 있다.
음악에 따른 춤사위를 보면 그 춤사위를 지칭하는 용어들이 다양하게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무용은 춤사위의 명칭을쓰는 경우가 없고
대개 장단의 명칭으로 춤사위의 부분을 지칭하는데 비하여
춘앵전은 무용 동작 하나 하나에 명칭이 붙여져 있고
그 명칭도 일상어가 아닌 시적(詩的)언어로 그 표현이 매우 아름답다.
예를 들면 세 걸음을 탑을 쌓아 올라가듯이 나가는 것을 탑탑고(塔塔高),
앞으로 날 듯이 땅을 밟아나가는 듯한 둥작을 비리(飛履) 등으로 표현 되고 있다.
(이송, 알고 보면 재미 있는 우리 춤 이야기 p75)
장단과 춤사위의 명칭(동작 설명)
1. 상령산[느린10박의 연주] [반주. 평조회상]
[* 춤사위; 염수. 향섭족도. 무작. 수수쌍불]
1-1 향당 교주를 연다.[1-2박 인사.3-4박 허리폄.落奏柳初新之曲 鄕唐交奏]
1-2 오른 손을 왼손 위에 포갠다. [제자리. 斂手]
1-3 나막신을 신고 걸어가듯이 조심스럽고 곱게 내 딛으며 천천히 걸어나간다
[1박2보 전진. 拍妓一人手響牒足蹈 完步而進入]
1-4 두 팔을 일자 모양으로 벌리어서 북편소리를 듣고 반쯤 내렸다
합장단소리(雙聲)에 위로 뿌려 내린다.[제 자리. 拍 舞作. 垂手雙拂]
----창사(唱詞)----
2. 중령산[느린10박의 연주]
[* 춤사위; 좌우소전. 소수수. 도수아]
2-1 좌우로 각각 반씩 돈다. [제자리 1가2보.拍 左右小轉 90도.各一轉 360도]
2-4 한 팔씩 들어 어깨위로 뿌린다. [제자리. 拍 小垂手 半垂手拂]
2-5 오른 팔과 왼팔을 번갈아 가며 어깨에 원형으로 얹는다.
[제자리.拍 掉袖兒 先右次左]
3.세령산[10박의 연주] [춤사위; 사예거, 회란]
3-1 우측으로 2장단 나가고 2장단 들어오고 좌측으로 2장단 나가고 2장단 들어
온다. 손은 가는 측으로 내렸다가 다시 옆으로 들어 어깨 위에 꾸부려 든다.
[1각 4보.우좌좌우.拍斜曳 側身 左右步 先左次右]
3-2 마치 새가 두날개를 펴고 도는 듯한 느낌으로 팔을 어깨높이로 벌리고
좌우로한번씩 돈다. [1각 4보.우진좌전. 廻鸞 左右一大轉360도]
4.도드리[느린6박의 연주]
[* 춤사위; 이수고저, 수수무, 비리, 회두, 탑탑고, 타원앙장, 거수휘지]
4-1 몸의 중심을 오른발 앞으로 두고 두 팔을 위로 뿌려 오른 손을 가슴 앞에 구부
려 들고 왼손은 옆으로 펴 들면서 무릎굴신을 해 준다. 다시 몸의 중심을 뒤로
하여 반대로 해 준다. [제자리.拍 低昻袖. 搖袖.大閃袖. 袖 = 以袖高低]
4-2 두 팔을 앞으로 지어 여미고 몸을 앞으로 숙여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고, 다시
뒤로 제치면서 무릎을 굽혔다 폈다하는 시위로 수무 또는 염수족도라고 한다.
[제자리.拍 折腰理腰=手舞= 斂手足蹈]
4-3 한발을 장단에 맞추어 앞으로 살짝 들었다가 내 딛으며 두 팔을 앞뒤로 엇 갈
리어 각기 아래로 비껴 사선이 되도록 뿌려준다.
[제자리. 拍 飛履 = 一高一抵 = 先擧右趾 次擧左趾]
4-4 한 팔은 어깨에 얹고 발들 때 한 팔은 펴 든다.
[제자리.拍 擡袖. 擧足 時 隨足擡袖]
4-5 한 팔씩 옆으로 들어 손목을 돌리며 얼굴과 시선을 드는 쪽을 돌아 본다.
[제자리.拍 回頭 隨擡袖奇頭側目]
4-6 두팔을 세 번든다. 3장단을 돌되 첫번은 허리 좌우로 약 1자식 뜨게 들고 두 번
째번은 반을 들고 세 번째 번은 한 일자 모양으로 짖는다.
[무진 1각2보전진.拍程 擧袖]
4-7 앞으로 세 걸음 나간다[제자리. 4-6, 4-7.拍 塔塔高 舞進三步]
4-8 세 걸음 나간 다음 합 장단에 두 팔을 힘차게 뒤로 뿌려 내린다
[제자리. 拍 打鴛鴦場 . 落袖]
4-9 한 발식 앞으로 내민다 [이수고저와 같음. 제자리. 拍 搖袖 擧袖揮之]
5.빠른 도드리[빠른 6박의 연주] [춤사위 ; 화전태. 전화지. 당퇴립]
5-1 살작 웃는다. 우아한 미소를 지어야한다[제자리 1각2보.拍 花前態.媚弄]
5-2 두팔을 여미고 한 발씩 들고 솟아뛴다.[제자리.拍轉花持 三轉身]
5-3 물러나 자리 끝에 선다[후퇴. 1각2보.拍 當退立]
6.타령[12박][춤사위 ; 수섬수. 낙화유수. 대섬수. 여의풍. 풍류기.비금사.
회파신.과교선. 첨수. 연귀소]
6-1 두 팔을 일자로 들고 팔을 흔들고 드나든다. 걸음에 따라 좌우소매에 고저가
생긴다. [무진 1각4보.拍 小閃袖 乍(사)]
6-2 좌우로 한번식 뿌리고 돌아간다. [제자리1각4보.拍落花流水左右一佛一轉]
6-3 몸의 중심을 오른발 앞으로 두고 두 팔을 위로 뿌려 오른 손을 가슴 앞에 구부
려 들고 왼손은 옆으로 펴들면서 무릎 굴신을 해 준다. 다시 몸의 중심을 반대
로 해 준다. [제자리.拍 大閃袖= 袖= 以袖高低]
6-4 이수고저로 앞뒤로 진퇴 한다[무퇴무진1각4보拍步如意風 隨樂節舞]
6-5 한 가운데서 두 팔을 뒤로 뿌린다[제자리.拍 後抛袖 擡袖後拂]
6-6 두 팔을 뒤로 여미고 앞뒤로 무릎을 굴신 한다.
[제자리. 拍 風流枝隨身腰合節舞之]
6-7 뒤짐 진 채로 3장단 물러났다가 앞으로 3장단 나갔다 하며 드나든다
[후퇴 전진 1각4보. 拍 飛金沙 進退]
6-8 어깨 위에 꾸부려 든다[한팔씩 어깨에 멘다.제자리.拍拂花簾 左右擡袖拂]
6-9 두 팔 펴들고 한 번식 돈다[제자리.拍 廻波身.左右一轉]
6-10 두 팔을 벌리고 좌우로 세 번 돈다[제자리.拍 過橋仙 左右一大轉]
6-11 두 팔을 앞으로 여민다[제자리.拍 尖袖 袖]
6-12 두 팔을 벌리고 뒤 걸음 쳐 나간다.
[무퇴 1각4보.拍 燕歸巢 舞退. 樂止 염수후 인사]
[고종 30년 정재무도홀기, 김진환 석사학위 논문 P30-33 ]
화관을 쓰고, 오색(五色) 한삼(汗衫)을 양손에 들고 춤을 추는것을 볼 수 있다.
김진환 춘앵전 연구(한성대 석사학위 논문)p21-24
춘앵전의춤 사위의 아름다움과용어
춘애전은 무엇 보다 움직임이없으면서도
그 안에 온 우주의 몸짓을 축약해 담아내는
큰 움직임이 살아 있는정중동(靜中動)의
춤 사위가 일품이라고 무용 전문가들은 말 하고 있다.
음악에 따른 춤사위를 보면 그 춤사위를 지칭하는 용어들이 다양하게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무용은 춤사위의 명칭을쓰는 경우가 없고
대개 장단의 명칭으로 춤사위의 부분을 지칭하는데 비하여
춘앵전은 무용 동작 하나 하나에 명칭이 붙여져 있고
그 명칭도 일상어가 아닌 시적(詩的)언어로 그 표현이 매우 아름답다.
예를 들면 세 걸음을 탑을 쌓아 올라가듯이 나가는 것을 탑탑고(塔塔高),
앞으로 날 듯이 땅을 밟아나가는 듯한 둥작을 비리(飛履) 등으로 표현 되고 있다.
(이송, 알고 보면 재미 있는 우리 춤 이야기 p75)
장단과 춤사위의 명칭(동작 설명)
1. 상령산[느린10박의 연주] [반주. 평조회상]
[* 춤사위; 염수. 향섭족도. 무작. 수수쌍불]
1-1 향당 교주를 연다.[1-2박 인사.3-4박 허리폄.落奏柳初新之曲 鄕唐交奏]
1-2 오른 손을 왼손 위에 포갠다. [제자리. 斂手]
1-3 나막신을 신고 걸어가듯이 조심스럽고 곱게 내 딛으며 천천히 걸어나간다
[1박2보 전진. 拍妓一人手響牒足蹈 完步而進入]
1-4 두 팔을 일자 모양으로 벌리어서 북편소리를 듣고 반쯤 내렸다
합장단소리(雙聲)에 위로 뿌려 내린다.[제 자리. 拍 舞作. 垂手雙拂]
----창사(唱詞)----
2. 중령산[느린10박의 연주]
[* 춤사위; 좌우소전. 소수수. 도수아]
2-1 좌우로 각각 반씩 돈다. [제자리 1가2보.拍 左右小轉 90도.各一轉 360도]
2-4 한 팔씩 들어 어깨위로 뿌린다. [제자리. 拍 小垂手 半垂手拂]
2-5 오른 팔과 왼팔을 번갈아 가며 어깨에 원형으로 얹는다.
[제자리.拍 掉袖兒 先右次左]
3.세령산[10박의 연주] [춤사위; 사예거, 회란]
3-1 우측으로 2장단 나가고 2장단 들어오고 좌측으로 2장단 나가고 2장단 들어
온다. 손은 가는 측으로 내렸다가 다시 옆으로 들어 어깨 위에 꾸부려 든다.
[1각 4보.우좌좌우.拍斜曳 側身 左右步 先左次右]
3-2 마치 새가 두날개를 펴고 도는 듯한 느낌으로 팔을 어깨높이로 벌리고
좌우로한번씩 돈다. [1각 4보.우진좌전. 廻鸞 左右一大轉360도]
4.도드리[느린6박의 연주]
[* 춤사위; 이수고저, 수수무, 비리, 회두, 탑탑고, 타원앙장, 거수휘지]
4-1 몸의 중심을 오른발 앞으로 두고 두 팔을 위로 뿌려 오른 손을 가슴 앞에 구부
려 들고 왼손은 옆으로 펴 들면서 무릎굴신을 해 준다. 다시 몸의 중심을 뒤로
하여 반대로 해 준다. [제자리.拍 低昻袖. 搖袖.大閃袖. 袖 = 以袖高低]
4-2 두 팔을 앞으로 지어 여미고 몸을 앞으로 숙여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하고, 다시
뒤로 제치면서 무릎을 굽혔다 폈다하는 시위로 수무 또는 염수족도라고 한다.
[제자리.拍 折腰理腰=手舞= 斂手足蹈]
4-3 한발을 장단에 맞추어 앞으로 살짝 들었다가 내 딛으며 두 팔을 앞뒤로 엇 갈
리어 각기 아래로 비껴 사선이 되도록 뿌려준다.
[제자리. 拍 飛履 = 一高一抵 = 先擧右趾 次擧左趾]
4-4 한 팔은 어깨에 얹고 발들 때 한 팔은 펴 든다.
[제자리.拍 擡袖. 擧足 時 隨足擡袖]
4-5 한 팔씩 옆으로 들어 손목을 돌리며 얼굴과 시선을 드는 쪽을 돌아 본다.
[제자리.拍 回頭 隨擡袖奇頭側目]
4-6 두팔을 세 번든다. 3장단을 돌되 첫번은 허리 좌우로 약 1자식 뜨게 들고 두 번
째번은 반을 들고 세 번째 번은 한 일자 모양으로 짖는다.
[무진 1각2보전진.拍程 擧袖]
4-7 앞으로 세 걸음 나간다[제자리. 4-6, 4-7.拍 塔塔高 舞進三步]
4-8 세 걸음 나간 다음 합 장단에 두 팔을 힘차게 뒤로 뿌려 내린다
[제자리. 拍 打鴛鴦場 . 落袖]
4-9 한 발식 앞으로 내민다 [이수고저와 같음. 제자리. 拍 搖袖 擧袖揮之]
5.빠른 도드리[빠른 6박의 연주] [춤사위 ; 화전태. 전화지. 당퇴립]
5-1 살작 웃는다. 우아한 미소를 지어야한다[제자리 1각2보.拍 花前態.媚弄]
5-2 두팔을 여미고 한 발씩 들고 솟아뛴다.[제자리.拍轉花持 三轉身]
5-3 물러나 자리 끝에 선다[후퇴. 1각2보.拍 當退立]
6.타령[12박][춤사위 ; 수섬수. 낙화유수. 대섬수. 여의풍. 풍류기.비금사.
회파신.과교선. 첨수. 연귀소]
6-1 두 팔을 일자로 들고 팔을 흔들고 드나든다. 걸음에 따라 좌우소매에 고저가
생긴다. [무진 1각4보.拍 小閃袖 乍(사)]
6-2 좌우로 한번식 뿌리고 돌아간다. [제자리1각4보.拍落花流水左右一佛一轉]
6-3 몸의 중심을 오른발 앞으로 두고 두 팔을 위로 뿌려 오른 손을 가슴 앞에 구부
려 들고 왼손은 옆으로 펴들면서 무릎 굴신을 해 준다. 다시 몸의 중심을 반대
로 해 준다. [제자리.拍 大閃袖= 袖= 以袖高低]
6-4 이수고저로 앞뒤로 진퇴 한다[무퇴무진1각4보拍步如意風 隨樂節舞]
6-5 한 가운데서 두 팔을 뒤로 뿌린다[제자리.拍 後抛袖 擡袖後拂]
6-6 두 팔을 뒤로 여미고 앞뒤로 무릎을 굴신 한다.
[제자리. 拍 風流枝隨身腰合節舞之]
6-7 뒤짐 진 채로 3장단 물러났다가 앞으로 3장단 나갔다 하며 드나든다
[후퇴 전진 1각4보. 拍 飛金沙 進退]
6-8 어깨 위에 꾸부려 든다[한팔씩 어깨에 멘다.제자리.拍拂花簾 左右擡袖拂]
6-9 두 팔 펴들고 한 번식 돈다[제자리.拍 廻波身.左右一轉]
6-10 두 팔을 벌리고 좌우로 세 번 돈다[제자리.拍 過橋仙 左右一大轉]
6-11 두 팔을 앞으로 여민다[제자리.拍 尖袖 袖]
6-12 두 팔을 벌리고 뒤 걸음 쳐 나간다.
[무퇴 1각4보.拍 燕歸巢 舞退. 樂止 염수후 인사]
[고종 30년 정재무도홀기, 김진환 석사학위 논문 P30-33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