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있다.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수익가치법·자산가치법·상대가치법 등으로 구분되는데
수익가치법
평가대상업체의 장래의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이를 위험율이 반영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평가시점에서의 기업가치를 구함.
자산가치법
자산가치법은 기업의 재무상태에 기초한 방법으로 회사의 자산·부채 및 자본항목을 평가하여 수정대차대조표를 작성한 후
자산총계에서 부채총계를 공제한 기업체의 순자산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기법.
상대가치법
상대가치법은 유사기업의 시장가치에 기초한 방법으로 평가대상기업과 동일 업종의 상장법인 중에서 매출액규모·
자본금규모·납입자본이익율·매출액성장율 및 부채비율 등을 참작하여 유사기업을 선정하여 비교평가함.
가치평가의 주요지표
흔히 사용되는 기업가치평가의 지표는 PER·EV·EVA·MVA 등이다. 가장 많이 쓰고 유용성이 높은 지표가 PER(Price
Earning Ratio:주가수익률)임. 주가가 회사의 한 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한 주당
연간이익금으로 나누어 산출. 따라서 PER이 높으면 회사이익에 비해서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고, PER이 작으면
주가가 이익에 비해서 싼 것임.
EV (Enterprise Value : 기업가치)
PER의 단점을 보완하는 지표가 EV(Enterprise Value:기업가치). EV는 기업의 미래수익 창출능력을 이자율(평균자본비용)로 할인하여 현재시점에서 그 기업의 가치를 산출한 값. 이 수치가 현 주가보다 높은 기업은 앞으로 주가가 오를 것이라고 평가함.
EVA (Economic Value Added : 경제적 부가가치)
최근 한국에서 새롭게 각광받는 EVA(Economic Value Added:경제적 부가가치)는 주주 및 채권자의 자본비용과 기업의
수익을 비교해 주주의 부(Wealth)라는 관점에서 기업가치를 평가. 기업의 수익성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세후영업이익에서 총자본비용을 뺀 금액[EVA = 세후순영업이익-(투자자본×가중평가자본비용)]
MVA (Market Value Added : 시장부가가치)
EVA는 기업실적에 따라 해마다 크게 달라지는데 좀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잉여가치를 산출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가
MVA(Market Value Added:시장부가가치). 기업이 앞으로 창출할 EVA를 현재시점에서 이자율로 할인하여 더한 값으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데 유용.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방법은 수익가치법·자산가치법·상대가치법 등으로 구분되는데
수익가치법
평가대상업체의 장래의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이를 위험율이 반영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평가시점에서의 기업가치를 구함.
자산가치법
자산가치법은 기업의 재무상태에 기초한 방법으로 회사의 자산·부채 및 자본항목을 평가하여 수정대차대조표를 작성한 후
자산총계에서 부채총계를 공제한 기업체의 순자산가치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기법.
상대가치법
상대가치법은 유사기업의 시장가치에 기초한 방법으로 평가대상기업과 동일 업종의 상장법인 중에서 매출액규모·
자본금규모·납입자본이익율·매출액성장율 및 부채비율 등을 참작하여 유사기업을 선정하여 비교평가함.
가치평가의 주요지표
흔히 사용되는 기업가치평가의 지표는 PER·EV·EVA·MVA 등이다. 가장 많이 쓰고 유용성이 높은 지표가 PER(Price
Earning Ratio:주가수익률)임. 주가가 회사의 한 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 주가를 한 주당
연간이익금으로 나누어 산출. 따라서 PER이 높으면 회사이익에 비해서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고, PER이 작으면
주가가 이익에 비해서 싼 것임.
EV (Enterprise Value : 기업가치)
PER의 단점을 보완하는 지표가 EV(Enterprise Value:기업가치). EV는 기업의 미래수익 창출능력을 이자율(평균자본비용)로 할인하여 현재시점에서 그 기업의 가치를 산출한 값. 이 수치가 현 주가보다 높은 기업은 앞으로 주가가 오를 것이라고 평가함.
EVA (Economic Value Added : 경제적 부가가치)
최근 한국에서 새롭게 각광받는 EVA(Economic Value Added:경제적 부가가치)는 주주 및 채권자의 자본비용과 기업의
수익을 비교해 주주의 부(Wealth)라는 관점에서 기업가치를 평가. 기업의 수익성이 얼마나 되는지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세후영업이익에서 총자본비용을 뺀 금액[EVA = 세후순영업이익-(투자자본×가중평가자본비용)]
MVA (Market Value Added : 시장부가가치)
EVA는 기업실적에 따라 해마다 크게 달라지는데 좀더 장기적인 관점에서 잉여가치를 산출하기 위해 개발된 지표가
MVA(Market Value Added:시장부가가치). 기업이 앞으로 창출할 EVA를 현재시점에서 이자율로 할인하여 더한 값으로
적정주가를 산출하는데 유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