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 나타나게 하는 단추
④ 빠른 실행 도구 모음 :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곳
⑤ 작업 표시줄 :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부분
⑥ 시스템 표시기 : 시간 표시, 한글 입력 상태 표시, 인쇄할 때 프린터 작동 상태 표시, 소리 조절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영역
3. 윈도 사용하기
(1)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① 시작
누르고 [모든 프로그램]메뉴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
내컴퓨터, 탐색기를 ld용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된 폴더를 찾아 프로그램을 실행
바탕화면에 만들어 놓은 바로가기 아이콘을 이용하여 실행
누르고 [실행]을 선택하여 직접 프로그램명을 입력하거나 찾아보기를 이용하여 실행
② 종료
[파일]메뉴의 [종료]선택
조절 메뉴 상자의 [닫기]선택, 도는 조절 메뉴 상자를 더블 클릭
단축키 [Alt]+[F4]를 누르거나 창의 닫기( )를 클릭
③ 프로그램의 활성화
작업표시줄에서 해당 프로그램의 아이콘 클릭
[Alt]+[Tab]키를 누르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들이 교대로 활성화된다.
창의 최소화( )를 클릭하면 활성화된 프로그램을 작업표시줄에 아이콘으로 나타나게 한다.
(2) 내컴퓨터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CD-ROM 드라이브 및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내용을 표시하는 곳. 또한 파일 및 폴더를 검색하고 열 수 있으며 제어판의 옵션에 액세스하여 컴퓨터의 설정을 수정할 수 있다.
(3) 휴지통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할 대 안전망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드 디스크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면 Windows는 파일이나 폴더를 휴지통에 넣고 휴지통 아이콘은 빈 휴지통에서 가득찬 휴지통 모양으로 바뀐다.
플로피 디스크나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삭제된 항목은 영구적으로 삭제되며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는다.
휴지통에 있는 항목은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영구적으로 삭제하기 전까지 휴지통에 그대로 남는다. 이 항목은 여전히 하드 디스크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삭제를 최소하거나 원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휴지통이 가득차면 Windows에서는 가장 최근에 삭제된 파일과 폴더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가능ㄹ 확보하기 위해 휴지통을 자동으로 정리한다.
크기를 제한하면 휴지통이 차지하는 하드 디스크 공간을 제한할 수 있다.
Windows에서는 각각의 파티션이나 하드 디스크에 휴지통을 하나씩 할당하므로, 이 경우 각 휴지통의 크기를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4. 탐색기의 활용
(1) 탐색기
폴더와 파일의 구조를 보거나 관리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
(2) 탐색기 구조
① 도구 모음 : 자주 사용하느 기능을 모아서 아이콘 모양으로 구성해 놓은 영역
② 주소 표시줄 : 파일이나 폴더의 경로를 표시하는 영역
③ 드라이브와 폴더 창 : 시스템의 자원이나 폴더의 계층적인 구조를 표시하는 영역
④ 하위 폴더와 파일 창 : 드라이브와 폴더 창에서 선택한 폴더의 하위 폴도와 파일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
⑤ 상태 표시줄 : 현재 사용중인 디스크의 용량과 남아있는 용량을 표시해주며 선택된 파일의 개수나 파일의 용량을 표시
(3) 탐새기 활용 방법
① 화면 표시 구분하기
② 보기 설정
(4) 파일 및 폴더의 관리
① 파일 또는 폴더의 선택
연속적인 다수의 파일 및 폴더 선택
-> [Shift]키를 누르고 연속된 시작 파일과 끝 파일 선택
불연속적인 다수의 파일 및 폴더 선택
-> [Ctrl]키를 누르고 파일이나 폴더를 하나씩 선택
전체 선택 : [Ctrl] + [A]
② 복사 및 이동
아이콘 드래그 이용하기
- 대상 파일 및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복사할 폴더나 디스크로 드래그한 후 버튼을 놓는다, 이때 나타난 “여기에 복사” 또는 “여기로 이동”을 선택한다.
- 이동 : 대상 파일 및 폴더를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이동할 폴더로 드래그 한 후 버튼을 놓는다. 이때 [Ctrl]키를 누르고 드래그하면 복사가 된다.
- 복사 : 대상 파일 및 폴더를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복사할 폴더로 드래그 한 후 버튼을 놓는다. 이때 [Shift]키를 누르고 드래그하면 이동이 된다.
- 바로가기 만들기 : 프로그램을 다른 위치로 드래그 한다.
메뉴 이용하기
[편집]-[복사]/[잘라내기]를 선택하고 대상 디스크나 폴더로 이동하여 [편집]-[붙여넣기]를 선택한다.
단축키 이용하기
[Ctrl]+[C]로 복사 또는 [Ctrl]+[X]로 잘라내기를 한 후 대상 디스크나 폴더로 이동하여 [Ctrl]+[V]를 선택한다.
③ 삭제
삭제 방법
- 대상 선택 후 [Delete]키 선택, 대상 선택 후 [파일]-[삭제] 선택, 대상 선택 후 바로 가기 메뉴(마우스 오른쪽 키) - [삭제] 선택
삭제 결과
- 휴지통으로 이동되어 필요시 복원 가능
- 영구 삭제 : [Shift]키를 누른 채로 [Delete]키를 동시에 누르거나, 휴지통 비우기를 실행한다.
④ 새폴더 만들기
메뉴 이용하기 : [파일]-[새로 만들기]-[폴더] 선택
바로가기 메뉴 이용하기 : “하위 폴더와 파일 창”에서 바로가기 메튜 - [새로 만들기] - [폴더] 선택
5. 제어판의 활용
(1) 제어판
컴퓨터를 자신의 용도와 취향에 맞게 바꾸는 일반적인 환경 설정을 하는 곳으로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모뎀, 멀티미디어 등 여러 가지 세부 항목을 가지고 있다.
(2) 제어판으로 컴퓨터 환경 설정하기
① 국가별 설정 : 사용언어, 숫자의 음수 표기법과 자릿수 구분 기호, 통화와 시간에 대한 표기법 등을 설정한다.
② 글꼴 : 컴퓨터에 설치된 글꼴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새로운 글꼴을 추가하거나 필요없는 글꼴을 삭제할 수 있다.
③ 날짜/시간 : 현재의 시각과 날짜 및 표준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④ 내게 필요한 옵션
설정 분야
설정 내용
키보드
고정키, 필터키, 전환키
사운드
소리를 시각적으로 표현
표시
읽기 쉽도록 색상 및 글꼴 변환
마우스
키보드의 숫자 키패드로 마우스 포인터 조절
⑤ 네트워크 : 네트
④ 빠른 실행 도구 모음 :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나 기능을 빠르게 실행할 수 있는 곳
⑤ 작업 표시줄 :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부분
⑥ 시스템 표시기 : 시간 표시, 한글 입력 상태 표시, 인쇄할 때 프린터 작동 상태 표시, 소리 조절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영역
3. 윈도 사용하기
(1)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① 시작
누르고 [모든 프로그램]메뉴에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실행
내컴퓨터, 탐색기를 ld용하여 원하는 프로그램이 포함된 폴더를 찾아 프로그램을 실행
바탕화면에 만들어 놓은 바로가기 아이콘을 이용하여 실행
누르고 [실행]을 선택하여 직접 프로그램명을 입력하거나 찾아보기를 이용하여 실행
② 종료
[파일]메뉴의 [종료]선택
조절 메뉴 상자의 [닫기]선택, 도는 조절 메뉴 상자를 더블 클릭
단축키 [Alt]+[F4]를 누르거나 창의 닫기( )를 클릭
③ 프로그램의 활성화
작업표시줄에서 해당 프로그램의 아이콘 클릭
[Alt]+[Tab]키를 누르면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들이 교대로 활성화된다.
창의 최소화( )를 클릭하면 활성화된 프로그램을 작업표시줄에 아이콘으로 나타나게 한다.
(2) 내컴퓨터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CD-ROM 드라이브 및 네트워크 드라이브의 내용을 표시하는 곳. 또한 파일 및 폴더를 검색하고 열 수 있으며 제어판의 옵션에 액세스하여 컴퓨터의 설정을 수정할 수 있다.
(3) 휴지통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할 대 안전망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하드 디스크에서 파일이나 폴더를 삭제하면 Windows는 파일이나 폴더를 휴지통에 넣고 휴지통 아이콘은 빈 휴지통에서 가득찬 휴지통 모양으로 바뀐다.
플로피 디스크나 네트워크 드라이브에서 삭제된 항목은 영구적으로 삭제되며 휴지통에 보관되지 않는다.
휴지통에 있는 항목은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영구적으로 삭제하기 전까지 휴지통에 그대로 남는다. 이 항목은 여전히 하드 디스크의 공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삭제를 최소하거나 원래 위치로 복원할 수 있다.
휴지통이 가득차면 Windows에서는 가장 최근에 삭제된 파일과 폴더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가능ㄹ 확보하기 위해 휴지통을 자동으로 정리한다.
크기를 제한하면 휴지통이 차지하는 하드 디스크 공간을 제한할 수 있다.
Windows에서는 각각의 파티션이나 하드 디스크에 휴지통을 하나씩 할당하므로, 이 경우 각 휴지통의 크기를 다르게 지정할 수 있다.
4. 탐색기의 활용
(1) 탐색기
폴더와 파일의 구조를 보거나 관리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시스템 프로그램
(2) 탐색기 구조
① 도구 모음 : 자주 사용하느 기능을 모아서 아이콘 모양으로 구성해 놓은 영역
② 주소 표시줄 : 파일이나 폴더의 경로를 표시하는 영역
③ 드라이브와 폴더 창 : 시스템의 자원이나 폴더의 계층적인 구조를 표시하는 영역
④ 하위 폴더와 파일 창 : 드라이브와 폴더 창에서 선택한 폴더의 하위 폴도와 파일 목록을 표시하는 영역
⑤ 상태 표시줄 : 현재 사용중인 디스크의 용량과 남아있는 용량을 표시해주며 선택된 파일의 개수나 파일의 용량을 표시
(3) 탐새기 활용 방법
① 화면 표시 구분하기
② 보기 설정
(4) 파일 및 폴더의 관리
① 파일 또는 폴더의 선택
연속적인 다수의 파일 및 폴더 선택
-> [Shift]키를 누르고 연속된 시작 파일과 끝 파일 선택
불연속적인 다수의 파일 및 폴더 선택
-> [Ctrl]키를 누르고 파일이나 폴더를 하나씩 선택
전체 선택 : [Ctrl] + [A]
② 복사 및 이동
아이콘 드래그 이용하기
- 대상 파일 및 폴더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복사할 폴더나 디스크로 드래그한 후 버튼을 놓는다, 이때 나타난 “여기에 복사” 또는 “여기로 이동”을 선택한다.
- 이동 : 대상 파일 및 폴더를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이동할 폴더로 드래그 한 후 버튼을 놓는다. 이때 [Ctrl]키를 누르고 드래그하면 복사가 된다.
- 복사 : 대상 파일 및 폴더를 마우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복사할 폴더로 드래그 한 후 버튼을 놓는다. 이때 [Shift]키를 누르고 드래그하면 이동이 된다.
- 바로가기 만들기 : 프로그램을 다른 위치로 드래그 한다.
메뉴 이용하기
[편집]-[복사]/[잘라내기]를 선택하고 대상 디스크나 폴더로 이동하여 [편집]-[붙여넣기]를 선택한다.
단축키 이용하기
[Ctrl]+[C]로 복사 또는 [Ctrl]+[X]로 잘라내기를 한 후 대상 디스크나 폴더로 이동하여 [Ctrl]+[V]를 선택한다.
③ 삭제
삭제 방법
- 대상 선택 후 [Delete]키 선택, 대상 선택 후 [파일]-[삭제] 선택, 대상 선택 후 바로 가기 메뉴(마우스 오른쪽 키) - [삭제] 선택
삭제 결과
- 휴지통으로 이동되어 필요시 복원 가능
- 영구 삭제 : [Shift]키를 누른 채로 [Delete]키를 동시에 누르거나, 휴지통 비우기를 실행한다.
④ 새폴더 만들기
메뉴 이용하기 : [파일]-[새로 만들기]-[폴더] 선택
바로가기 메뉴 이용하기 : “하위 폴더와 파일 창”에서 바로가기 메튜 - [새로 만들기] - [폴더] 선택
5. 제어판의 활용
(1) 제어판
컴퓨터를 자신의 용도와 취향에 맞게 바꾸는 일반적인 환경 설정을 하는 곳으로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모뎀, 멀티미디어 등 여러 가지 세부 항목을 가지고 있다.
(2) 제어판으로 컴퓨터 환경 설정하기
① 국가별 설정 : 사용언어, 숫자의 음수 표기법과 자릿수 구분 기호, 통화와 시간에 대한 표기법 등을 설정한다.
② 글꼴 : 컴퓨터에 설치된 글꼴의 목록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새로운 글꼴을 추가하거나 필요없는 글꼴을 삭제할 수 있다.
③ 날짜/시간 : 현재의 시각과 날짜 및 표준 시간대를 설정할 수 있다.
④ 내게 필요한 옵션
설정 분야
설정 내용
키보드
고정키, 필터키, 전환키
사운드
소리를 시각적으로 표현
표시
읽기 쉽도록 색상 및 글꼴 변환
마우스
키보드의 숫자 키패드로 마우스 포인터 조절
⑤ 네트워크 : 네트
추천자료
교육과정의 운영체제
운영체제의 개념과 그 이해
조선 개국 초기의 왕권 강화와 국정운영체제와 유교정치
[공학/컴퓨터/통신] 운영체제란?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체제
[네트워크][네트워크 운영체제][네트워크 보안][네트워크 관리시스템]네트워크의 구성요소, ...
[기술기반][ECC기술][ERP기술][XML기술][무선랜기술][SecureOS기술]ECC기술기반제품, ERP(전...
[운영체제] [운영체제] 핀토스(pintos)프로젝트 설치 및 소스코드 분석 보고서
[이데올로기][북한 주체사상]이데올로기의 기능, 이데올로기의 표상, 북한의 경제운영체제, ...
현재 32비트 운영체제에 비해 64비트 운영체제가 가지는 장점
[운영체제(OS) Shell(셸) 구현]운영체제(OS) Shell 구현 (소스포함)
학교교육과정의 의미, 학교교육과정의 특성, 학교교육과정의 편성운영체제, 학교교육과정의 ...
모든 유닉스 계열의 운영체제장단점을 비교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