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비량 [%]
103
104
105.5
107
⑵대책
①수질관리 방법의 재검토
②TUBE의 세정작업
4.기내에 불응축가스가 있다(진공도가 나쁘다)
⑴현상
흡수식냉동기는 고진공상태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진공유지에 많은 주의를 요한다. 냉동기내에 불응축가스는 용액을 주입하고 운전과정에서 기기 내표면에 산화피막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수소(H₂)가스와 Leak에 의해 외부로부터 혼입된 공기(O₂,N₂)로 구별되며 H₂가스의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으나 Leak에 의해 공기가 지속적으로 혼입되는 경우 냉동기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킨다. 기기내에 불응축가스는 압력이 가장 낮은 흡수기로 모이게 되어 흡수기에서의 압력은 용액에 의한 증기압에 불응축가스에 의한 분압만큼 상승하게 되어 흡수능력부족 의한 냉매 Spill Over현상이 발생하여 냉동능력은 급격히 감소하게 되며 흡수기 압력상승에 따른 증발온도의 상승으로 냉수와의 온도차는 감소하게 된다.
⑵원인
①추기의 불충분
②외부로 부터의 공기 누설
③용액, 철, 부식억제제사이의 화학반응에 의한 내부발생 수소
⑶대책
①추기펌프 및 추기계통의 점검
②본체의 누설시험
③진공프랜지부의 볼트를 더욱 조인다.
5. 입열량이 적다.
⑴현상
입열량이 적을 경우는 재생능력이 저하하여 흡수능력의 저하 또는 냉매순환량의 감소를 초래하 여 냉동능력이 저하한다.
⑵원인
①증기 용량제어변의 부적당한 SETTING.
②증기압력(열원온도)의 저하
③재생기 TUBE의 오염
④공식(孔食)등에 의한 재생기TUBE로부터의 증기누설
⑤증기가 포화증기가 아닌 경우(습증기 또는 과열증기의 경우)
밸브의 SEAL材의 재질문제
열팽창 차가 생긴다.(설계치 : 포화온도 +10℃)
성능저하(비중감소로 인한 증기량 감소)
⑶대책
①증기 제어밸브의 점검 및 증기량 조정
②증기 STRAINER의 점검
③압력 및 온도 점검
④농용액농도체크
⑤수실점검
6.용액의 혼합에 의한 냉매오염
⑴현상
냉매중에 LiBr용액이 들어가면 냉매의 비점이 상승해 냉매의 증발이 악화되어 증발온도가 상승 됨에 따라 냉수의 온도는 설계사양대로 떨어지지 않고 냉동능력은 감소한다.
⑵원인
①냉매 Dump Line 배관중의 밸브부터의 용액누설
②고온/저온재생기의 Eliminator의 기능 저화로 냉매중에 혼입
③재생기측 전열TUBE의 부식(PITTING)
⑶대책
①냉매 비중 측정(1회/週)
②냉매 Blow Down운전 실시하여 냉매재생.(냉매의 비중이 1.02을 넘을 때)
③냉매분석(용액의 오염이나 열화가 심할시)
7. 계면활성제(능력촉진제)의 부족
⑴현상
용액에는 흡수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예를들어 옥틸알콜과 같은 고급알콜을 첨가하고 있다. 이것이 없다면 흡수기손실이 증대하여 냉동능력이 10~20% 감소하게 된다. 능력촉진제의 용도 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①용액표면장력을 작게하여 흡수기 전열관에 용액이 균일하게 젖도록 하여 흡수능력(물질확산 계수)을 증대시켜 냉동능력을 증대시킨다.
②냉매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응축전열효과를 증대시킴으로써 냉매의 응축온도를 떨어뜨려 냉동 능력을 증대시킨다.
③배관자재의 부식을 방지한다.
⑵원인
①추기회수에 비례하여 소모
⑶대책
①계면활성제는 추기회수에 비례해서 소모되므로 약 1회/年 보충
②냉동능력저하시 계면활성제의 소모도 한 원인이 되므로 추기함과 동시에 추기가스의 냄새를 맡아 계면활성제의 유무확인
③계면활성제의 충진량 : 약 0.1~0.2 중량%
8. 용액,냉매의 부족
⑴현상
냉매량이 적은 경우은 펌프가 캐비테이션을 일으키기도 하고 냉매순환량의 저하 등으로 냉동능 력이 감소한다. 또 너무 많을 경우는 흡수기로 Over Flow해서 용액의 농도가 엷어져 흡수능력 이 저하해서 냉동능력이 저하한다.
⑵대책
용액,냉매의 보충 또는 배출
9. 장비노후화에 의한 성능저하
⑴현상
흡수식냉동기의 경우 내용년수는 15년을 목표로 설계,제작되고 있으나 외부적 사양조건(설치조 건, 운전조건,설비사양,관리체제 및 기술)과 보수관리조건(일상점검, 정기점검,기타 필요한 점검) 에 따라 상당히 큰폭으로 달라지고, 주요부품의 기능저하 등으로 냉동능력이 저하한다.
⑵대책
흡수식냉동기는 다른 압축식냉동기에 비해 회전부분이 적어, 정지기계에 가깝기 때문에 비교적 소모부품이 적은기계라 말할수 있다. 그러나, 진공상태에서 사용된다는 것, 내부에 사용하는 흡 수액이 부식성이 강한 리듐브로마이드 수용액이라는 것 등 때문에 진공의 유지와 부식진행 및 녹등의 불순물에 의한 막힘등에 의해 성능적기능적으로 열화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수명연장 및 성능저하 방지를 위해 아래의 OVERHAUL 및 부품의 교환, 정기정비를 실시하여 야 한다.
①오버홀(Overhaul)주기
기기 명칭
교환시기
내 용
1. 흡수액펌프, 냉매펌프
1回/3年
軸受마모, Clearance 점검조정,
Thrust 軸受, 軸Sleeve, Impeller등
의 점검.
2.추기펌프
1回/1年
배기밸브,Gas Ballast밸브, 主軸,翼板,
Oil Seal 등의 정비, 조정.
3.추기용 전자밸브
1回/1年
Cylinder, 0-Ring 등의 점검, 정비.
4.흡수기,응축기,증발기,
수실( Water Cover)
1回/1年
水室, 관판의 녹, 부식의 점검, 손질,
Tube의 점검.
5.기밀 시험
1回/2年
6.용액분석
1回/2年
필요에 따라서 Inhibiter조정.
注). 본 표중의 년수는 사용상태, 보수점검등이 양호한 경우를 나타낸다.
②부품교환시기
부 품 명
교환시기
비 고
1.흡수기, 응축기, 증발기, 수실용Gasket
2.고온재생기 수실Gasket.
3.各Service밸브용 Diaphram.
4.Flange 접합부 Gasket.
5.흡수액펌프, 냉매펌프용
軸受 O-Ring, Gasket.
6.추기용 전자변용 O-Ring.
7.Sight Glass용 Gasket
8.전장품
1回/2年
1回/2年
1回/2年
1回/2年
1回/3年
1回/2年
1回/2年
1回/5年
⑶필요에 따라 행하는 보수점검 또는 수리항목
①냉수, 냉각수 튜브 약품 세정
②냉수, 냉각수 튜브 부식상태 검사
③수질분석 및 조치
④정제 또는 재생
⑤보냉, 도장의 보수
⑥기타
103
104
105.5
107
⑵대책
①수질관리 방법의 재검토
②TUBE의 세정작업
4.기내에 불응축가스가 있다(진공도가 나쁘다)
⑴현상
흡수식냉동기는 고진공상태에서 운전되기 때문에 진공유지에 많은 주의를 요한다. 냉동기내에 불응축가스는 용액을 주입하고 운전과정에서 기기 내표면에 산화피막이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수소(H₂)가스와 Leak에 의해 외부로부터 혼입된 공기(O₂,N₂)로 구별되며 H₂가스의 경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으나 Leak에 의해 공기가 지속적으로 혼입되는 경우 냉동기에 심각한 장애를 일으킨다. 기기내에 불응축가스는 압력이 가장 낮은 흡수기로 모이게 되어 흡수기에서의 압력은 용액에 의한 증기압에 불응축가스에 의한 분압만큼 상승하게 되어 흡수능력부족 의한 냉매 Spill Over현상이 발생하여 냉동능력은 급격히 감소하게 되며 흡수기 압력상승에 따른 증발온도의 상승으로 냉수와의 온도차는 감소하게 된다.
⑵원인
①추기의 불충분
②외부로 부터의 공기 누설
③용액, 철, 부식억제제사이의 화학반응에 의한 내부발생 수소
⑶대책
①추기펌프 및 추기계통의 점검
②본체의 누설시험
③진공프랜지부의 볼트를 더욱 조인다.
5. 입열량이 적다.
⑴현상
입열량이 적을 경우는 재생능력이 저하하여 흡수능력의 저하 또는 냉매순환량의 감소를 초래하 여 냉동능력이 저하한다.
⑵원인
①증기 용량제어변의 부적당한 SETTING.
②증기압력(열원온도)의 저하
③재생기 TUBE의 오염
④공식(孔食)등에 의한 재생기TUBE로부터의 증기누설
⑤증기가 포화증기가 아닌 경우(습증기 또는 과열증기의 경우)
밸브의 SEAL材의 재질문제
열팽창 차가 생긴다.(설계치 : 포화온도 +10℃)
성능저하(비중감소로 인한 증기량 감소)
⑶대책
①증기 제어밸브의 점검 및 증기량 조정
②증기 STRAINER의 점검
③압력 및 온도 점검
④농용액농도체크
⑤수실점검
6.용액의 혼합에 의한 냉매오염
⑴현상
냉매중에 LiBr용액이 들어가면 냉매의 비점이 상승해 냉매의 증발이 악화되어 증발온도가 상승 됨에 따라 냉수의 온도는 설계사양대로 떨어지지 않고 냉동능력은 감소한다.
⑵원인
①냉매 Dump Line 배관중의 밸브부터의 용액누설
②고온/저온재생기의 Eliminator의 기능 저화로 냉매중에 혼입
③재생기측 전열TUBE의 부식(PITTING)
⑶대책
①냉매 비중 측정(1회/週)
②냉매 Blow Down운전 실시하여 냉매재생.(냉매의 비중이 1.02을 넘을 때)
③냉매분석(용액의 오염이나 열화가 심할시)
7. 계면활성제(능력촉진제)의 부족
⑴현상
용액에는 흡수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예를들어 옥틸알콜과 같은 고급알콜을 첨가하고 있다. 이것이 없다면 흡수기손실이 증대하여 냉동능력이 10~20% 감소하게 된다. 능력촉진제의 용도 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①용액표면장력을 작게하여 흡수기 전열관에 용액이 균일하게 젖도록 하여 흡수능력(물질확산 계수)을 증대시켜 냉동능력을 증대시킨다.
②냉매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응축전열효과를 증대시킴으로써 냉매의 응축온도를 떨어뜨려 냉동 능력을 증대시킨다.
③배관자재의 부식을 방지한다.
⑵원인
①추기회수에 비례하여 소모
⑶대책
①계면활성제는 추기회수에 비례해서 소모되므로 약 1회/年 보충
②냉동능력저하시 계면활성제의 소모도 한 원인이 되므로 추기함과 동시에 추기가스의 냄새를 맡아 계면활성제의 유무확인
③계면활성제의 충진량 : 약 0.1~0.2 중량%
8. 용액,냉매의 부족
⑴현상
냉매량이 적은 경우은 펌프가 캐비테이션을 일으키기도 하고 냉매순환량의 저하 등으로 냉동능 력이 감소한다. 또 너무 많을 경우는 흡수기로 Over Flow해서 용액의 농도가 엷어져 흡수능력 이 저하해서 냉동능력이 저하한다.
⑵대책
용액,냉매의 보충 또는 배출
9. 장비노후화에 의한 성능저하
⑴현상
흡수식냉동기의 경우 내용년수는 15년을 목표로 설계,제작되고 있으나 외부적 사양조건(설치조 건, 운전조건,설비사양,관리체제 및 기술)과 보수관리조건(일상점검, 정기점검,기타 필요한 점검) 에 따라 상당히 큰폭으로 달라지고, 주요부품의 기능저하 등으로 냉동능력이 저하한다.
⑵대책
흡수식냉동기는 다른 압축식냉동기에 비해 회전부분이 적어, 정지기계에 가깝기 때문에 비교적 소모부품이 적은기계라 말할수 있다. 그러나, 진공상태에서 사용된다는 것, 내부에 사용하는 흡 수액이 부식성이 강한 리듐브로마이드 수용액이라는 것 등 때문에 진공의 유지와 부식진행 및 녹등의 불순물에 의한 막힘등에 의해 성능적기능적으로 열화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수명연장 및 성능저하 방지를 위해 아래의 OVERHAUL 및 부품의 교환, 정기정비를 실시하여 야 한다.
①오버홀(Overhaul)주기
기기 명칭
교환시기
내 용
1. 흡수액펌프, 냉매펌프
1回/3年
軸受마모, Clearance 점검조정,
Thrust 軸受, 軸Sleeve, Impeller등
의 점검.
2.추기펌프
1回/1年
배기밸브,Gas Ballast밸브, 主軸,翼板,
Oil Seal 등의 정비, 조정.
3.추기용 전자밸브
1回/1年
Cylinder, 0-Ring 등의 점검, 정비.
4.흡수기,응축기,증발기,
수실( Water Cover)
1回/1年
水室, 관판의 녹, 부식의 점검, 손질,
Tube의 점검.
5.기밀 시험
1回/2年
6.용액분석
1回/2年
필요에 따라서 Inhibiter조정.
注). 본 표중의 년수는 사용상태, 보수점검등이 양호한 경우를 나타낸다.
②부품교환시기
부 품 명
교환시기
비 고
1.흡수기, 응축기, 증발기, 수실용Gasket
2.고온재생기 수실Gasket.
3.各Service밸브용 Diaphram.
4.Flange 접합부 Gasket.
5.흡수액펌프, 냉매펌프용
軸受 O-Ring, Gasket.
6.추기용 전자변용 O-Ring.
7.Sight Glass용 Gasket
8.전장품
1回/2年
1回/2年
1回/2年
1回/2年
1回/3年
1回/2年
1回/2年
1回/5年
⑶필요에 따라 행하는 보수점검 또는 수리항목
①냉수, 냉각수 튜브 약품 세정
②냉수, 냉각수 튜브 부식상태 검사
③수질분석 및 조치
④정제 또는 재생
⑤보냉, 도장의 보수
⑥기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