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띠고 있다.
호손의 작품은 죄의 보편성과 인간의 선택이 지닌 복잡성·모호성을 다룬 미국의 상징소설에 가장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의 뛰어난 단편소설들과 〈주홍글씨〉는 심리적·도덕적 통찰력에서 어떤 미국 작가도 능가할 수 없는 깊이를 보여주고 있다.
< 작품경향 >
Nathaniel Hawthorne의 대부분 작품들은 17세기 청교도가 지배하던 New England 지방의 사회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당시 식민 사회에서 억압받던 인간의 모습이 생생하게 묘사된 그의 작품에는 청교주의에 대한 자신의 회의와 비판 의식이 담겨 있다. Hawthorne은 사교적이며 사회 활동에 적극적이었다기보다는 조용히 관찰하고 기다리며 묵상에 잠기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그의 내면에 숙명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원죄의식은 인간양심의 문제를 밝히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Hawthorne 작품의 특징은 대부분 테일과 로맨스에 반영되고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개 상상력은 풍부하지만 성격이 차갑고, 사회와의 접촉이나 적극적인 사교를 회피한다. 이들 인물을 그려내는 Hawthorne의 묘사가 우울하고 절망적인 어투라기보다는 오히려 심오하면서도 분석적인 필체이기 때문에 매력 있고 우아한 인간이 창조될 수 있었다. 이러한 인물 창조는 인간에 대한 이해와 인생에 대한 관조가 철학적 차원에 도달해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유럽을 중심으로 태동한 사실주의 문학의 관점에서 보면 사실성이 결여되었다는 부정적인 요소가 있다. 인물 묘사에 있어서 20세기에 이르러 실존주의, 상징주의, 초현실주의, 심층 심리학 등 문학과 관련된 반사실적인 문예 사조가 확산되면서 Hawthorne의 작품 세계가 새롭게 조명되고 그의 예술적 우수성이 점점 인정받게 된다.
Hawthorne의 작품이 지닌 장점은 상상력과 초연성이다. 이것들은 순수하고 자연스럽다고 할 만큼 인간의 심연을 꿰뚫어 본다. 그는 상상력으로 인간 심성을 분석하고 재구축할지라도 철학적 결론을 내려야 된다든지 내리려고도 하지 않는 초연성을 유지한다. 주제 설정에 관해서는 명과 암, 과거성과 미래성, 영과 육 등의 대조를 통해 이분법적 해석을 할지라도 성격 창조에 있어서는 절망과 냉소는 보여주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듯이 Hawthorne은 척박하기 말할 수 없었던 미국 문화 풍조와 비교적 협소했던 당시의 미국 문단에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도덕성과 심리적인 경험들을 표명했다. 즉 인간의 어두운 내면의 삶이나 무의식의 심리적 세계, 인간 본성에 내재한 신비스런 죄와 악의 문제 등, 이른바 \"the truth of the human heart\"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특성은 Hawthorne 문학에서 \"higher sphere\"라고 규정했던 가치로서 그의 실재관의 근간이 된다.
Hawthorne은 한 비망록에서 인간 심성의 층을 동굴에 비유했다. 그 동굴은 마치 입구에 찬란한 햇빛이 비치고 아름다운 꽃이 자라는 것 같다. 일단 동굴 속에 한 발만 더 들어가면 아주 암울하고 여러 종류의 무서운 괴물들이 우글거리는 지옥 자체이다. 그러다가 더 깊이 들어가면 동굴의 끝에서 찬란한 빛과 꽃을 볼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에 의하면 동굴과 같은 인간 심성의 심연이 인간 본성이다. 그 깊은 곳에는 밝음과 어두움이, 평화와 공포가 있고, 더 깊은 곳에는 불멸의 미가 투영되고 있다.
Hawthorne이 만일 인간 심성에 깃든 진실과 \"perfect beauty\"를 자신의 문학적 실재로 삼고, 작품 속에서 등장 인물들을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하여 실재를 투영하려는 것이 창작의 목적이라면, 그의 현상계는 작품 그 자체일 수밖에 없다. 또, 실재의 다양한 모습들을 작품 속에 투영하려는 것이었다면 Hawthorne의 어조는 중립적일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중립적인 어조를 통해서만이 실재를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Hawthorne은 해석의 다양성을 구현하기 위해 19세기 미국 문학사에 매우 독창성 있고 현대적인 형식상의 실험을 하였다. 유럽의 전통적인 로맨스는 현대 사회와 동떨어진 이국적이고 비현실적인 배경 속에 남녀간의 감상적인 애정 관계나 모험담을 다루고 있다. 이와는 다르게 Hawthorne의 로맨스(Romance)는 17세기 미국 초기의 청교도 사회에서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선과 악의 갈등, 영혼의 문제에 천착하는 자신의 예술혼을 담는 독특한 문학적 틀이다.
당시의 상황과 역사적 사실이 Hawthorne에게 창작적 의미를 지니게 한다는 근거가 여러 자료에서 드러난다. 우선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일곱박공의집(1851)를 비롯하여 The Snow-Image and Other Twice-Told Tales-2번들려준이야기(1852)의 서문과 The Marble Faun-대리석 목신상(1860), 그리고 이것들보다 먼저 쓰여진 The Scarlet Letter-주홍글씨(1850)의 서문 격인 \"The Custom-House\"를 통해 살필 수 있다. 그의 작품 특징은 사실성 있는 \'소설\'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로맨스\'에서 찾을 수 있다. 로맨스는 Hawthorne의 개성과 소설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용어로 미국 소설의 특징을 규정한다.
Hawthorne은 소설이 일상적이고 실제로 일어날 개연성이 높은 인간 경험의 세부 사실들에 대한 충실한 묘사를 목표로 삼는다면, 로맨스는 작가 자신이 선택하고 창조해 낸 자유로운 상황에서 인간 심성의 깊은 곳에 깃든 진실을 제시할 수 있는 서술 형식이라고 하였다. 나아가 그는 로맨스를 현실 상황 요소와 상상적인 상황 요소가 혼융되는 중립 영역이라 규정하고 다의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Hawthorne은 로맨스의 다의성을 나타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모호성을 사용하면서 특이한 알레고리나 상징으로 로맨스다운 조화를 이루었다. Hawthorne의 여러 테일(Tale)과 로맨스에서 인간 심성의 심연에 깃든 진실, 즉 실재를 투영 현상화하는 과정에서 로맨스의 원리나 기법들이 상호 연관되어 미적인 조화를 이룬다고 하겠다.
호손의 작품은 죄의 보편성과 인간의 선택이 지닌 복잡성·모호성을 다룬 미국의 상징소설에 가장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의 뛰어난 단편소설들과 〈주홍글씨〉는 심리적·도덕적 통찰력에서 어떤 미국 작가도 능가할 수 없는 깊이를 보여주고 있다.
< 작품경향 >
Nathaniel Hawthorne의 대부분 작품들은 17세기 청교도가 지배하던 New England 지방의 사회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당시 식민 사회에서 억압받던 인간의 모습이 생생하게 묘사된 그의 작품에는 청교주의에 대한 자신의 회의와 비판 의식이 담겨 있다. Hawthorne은 사교적이며 사회 활동에 적극적이었다기보다는 조용히 관찰하고 기다리며 묵상에 잠기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그의 내면에 숙명적으로 자리잡고 있는 원죄의식은 인간양심의 문제를 밝히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Hawthorne 작품의 특징은 대부분 테일과 로맨스에 반영되고 있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대개 상상력은 풍부하지만 성격이 차갑고, 사회와의 접촉이나 적극적인 사교를 회피한다. 이들 인물을 그려내는 Hawthorne의 묘사가 우울하고 절망적인 어투라기보다는 오히려 심오하면서도 분석적인 필체이기 때문에 매력 있고 우아한 인간이 창조될 수 있었다. 이러한 인물 창조는 인간에 대한 이해와 인생에 대한 관조가 철학적 차원에 도달해 있음을 보여준다.
물론 유럽을 중심으로 태동한 사실주의 문학의 관점에서 보면 사실성이 결여되었다는 부정적인 요소가 있다. 인물 묘사에 있어서 20세기에 이르러 실존주의, 상징주의, 초현실주의, 심층 심리학 등 문학과 관련된 반사실적인 문예 사조가 확산되면서 Hawthorne의 작품 세계가 새롭게 조명되고 그의 예술적 우수성이 점점 인정받게 된다.
Hawthorne의 작품이 지닌 장점은 상상력과 초연성이다. 이것들은 순수하고 자연스럽다고 할 만큼 인간의 심연을 꿰뚫어 본다. 그는 상상력으로 인간 심성을 분석하고 재구축할지라도 철학적 결론을 내려야 된다든지 내리려고도 하지 않는 초연성을 유지한다. 주제 설정에 관해서는 명과 암, 과거성과 미래성, 영과 육 등의 대조를 통해 이분법적 해석을 할지라도 성격 창조에 있어서는 절망과 냉소는 보여주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있듯이 Hawthorne은 척박하기 말할 수 없었던 미국 문화 풍조와 비교적 협소했던 당시의 미국 문단에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인간의 도덕성과 심리적인 경험들을 표명했다. 즉 인간의 어두운 내면의 삶이나 무의식의 심리적 세계, 인간 본성에 내재한 신비스런 죄와 악의 문제 등, 이른바 \"the truth of the human heart\"가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특성은 Hawthorne 문학에서 \"higher sphere\"라고 규정했던 가치로서 그의 실재관의 근간이 된다.
Hawthorne은 한 비망록에서 인간 심성의 층을 동굴에 비유했다. 그 동굴은 마치 입구에 찬란한 햇빛이 비치고 아름다운 꽃이 자라는 것 같다. 일단 동굴 속에 한 발만 더 들어가면 아주 암울하고 여러 종류의 무서운 괴물들이 우글거리는 지옥 자체이다. 그러다가 더 깊이 들어가면 동굴의 끝에서 찬란한 빛과 꽃을 볼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에 의하면 동굴과 같은 인간 심성의 심연이 인간 본성이다. 그 깊은 곳에는 밝음과 어두움이, 평화와 공포가 있고, 더 깊은 곳에는 불멸의 미가 투영되고 있다.
Hawthorne이 만일 인간 심성에 깃든 진실과 \"perfect beauty\"를 자신의 문학적 실재로 삼고, 작품 속에서 등장 인물들을 다양한 모습으로 형상화하여 실재를 투영하려는 것이 창작의 목적이라면, 그의 현상계는 작품 그 자체일 수밖에 없다. 또, 실재의 다양한 모습들을 작품 속에 투영하려는 것이었다면 Hawthorne의 어조는 중립적일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중립적인 어조를 통해서만이 실재를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Hawthorne은 해석의 다양성을 구현하기 위해 19세기 미국 문학사에 매우 독창성 있고 현대적인 형식상의 실험을 하였다. 유럽의 전통적인 로맨스는 현대 사회와 동떨어진 이국적이고 비현실적인 배경 속에 남녀간의 감상적인 애정 관계나 모험담을 다루고 있다. 이와는 다르게 Hawthorne의 로맨스(Romance)는 17세기 미국 초기의 청교도 사회에서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선과 악의 갈등, 영혼의 문제에 천착하는 자신의 예술혼을 담는 독특한 문학적 틀이다.
당시의 상황과 역사적 사실이 Hawthorne에게 창작적 의미를 지니게 한다는 근거가 여러 자료에서 드러난다. 우선 The House of the Seven Gables-일곱박공의집(1851)를 비롯하여 The Snow-Image and Other Twice-Told Tales-2번들려준이야기(1852)의 서문과 The Marble Faun-대리석 목신상(1860), 그리고 이것들보다 먼저 쓰여진 The Scarlet Letter-주홍글씨(1850)의 서문 격인 \"The Custom-House\"를 통해 살필 수 있다. 그의 작품 특징은 사실성 있는 \'소설\'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로맨스\'에서 찾을 수 있다. 로맨스는 Hawthorne의 개성과 소설의 특성을 잘 보여주는 용어로 미국 소설의 특징을 규정한다.
Hawthorne은 소설이 일상적이고 실제로 일어날 개연성이 높은 인간 경험의 세부 사실들에 대한 충실한 묘사를 목표로 삼는다면, 로맨스는 작가 자신이 선택하고 창조해 낸 자유로운 상황에서 인간 심성의 깊은 곳에 깃든 진실을 제시할 수 있는 서술 형식이라고 하였다. 나아가 그는 로맨스를 현실 상황 요소와 상상적인 상황 요소가 혼융되는 중립 영역이라 규정하고 다의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Hawthorne은 로맨스의 다의성을 나타내기 위해 의도적으로 모호성을 사용하면서 특이한 알레고리나 상징으로 로맨스다운 조화를 이루었다. Hawthorne의 여러 테일(Tale)과 로맨스에서 인간 심성의 심연에 깃든 진실, 즉 실재를 투영 현상화하는 과정에서 로맨스의 원리나 기법들이 상호 연관되어 미적인 조화를 이룬다고 하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