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수아, 신약역사, 고린도전후서,문화인류학, 리더십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호수아, 신약역사, 고린도전후서,문화인류학, 리더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l Jesus(1959), G. Bornkamm의 Jesus of Nazareth(1960), Hans Conzelmann의 An outline of the Theology of the NT1969) 입니다.Joachim Jeremias는 독자적인 위치를 가집니다. 그는 그를 새로운 탐구자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그는 옛 탐구를 버리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는 양식 비평을 이용하여 복음서 전통 속에서 첨가물들의 층을 벗겨내어, 역사적 예수에 대한 ipsissima verba(바로 그대로의 어구)는 아니더라도 ipsissima vox(그 자신의 말)는 발견할 수 있으리라 생각했습니다. 이것만이 예수의 메시지에서 발견되어야 할 계시였습니다. 그 문서들은 계시가 아니라 예수 안에 나타난 계시에 대한 신앙 공동체의 반응일 뿐입니다. 예수는 아버지를 나타내는 하나님의 아들로써 유일한 권위를 가집니다. 역사적 예수 안에서 우리 자신은 하나님 자신 앞에 직면하게 됩니다. 예수는 임박한 하나님 나라를 선언했고, 하늘의 인자로써 자신이 높여지리라고 기대했습니다. 그는 자신을 인류의 죄를 위해 그의 삶을 희생하는 고난받는 종으로 보았습니다. 부활에서 그의 제자들은 그의 재림을 경험했는데, 이는 그가 하늘의 왕좌에 취임했음과 종말이 옴을 의미합니다. 이런 내용을 담고 있는 그의 가장 두드러진 작품이 The problem of the Historical Jesus(1964)와 NT Theology(1971)입니다.
고린더전후서
바울은 당시 고린도 교회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린도전후서를 썼습니다. 당시 고린도교회의 문제는 영은 중요하고 육은 악하다고 생각한 이원론적 사고에 빠졌습니다. 이 이원론적 사고는 고린도 교인들에게 육은 악하다고 생각하여 아무렇게나 해도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고린도 교인들은 지식을 자랑하고, 계모와 더불어 사는 자들, 창녀들과 더불어 성적 문란 행위를 하는 자들, 부부간의 합법적인 성생활 반대, 우상의 제물을 먹는 문제와 우상숭배, 교회 안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찬반 논의, 방언 등 영적 은상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가져옵니다.
그런데 이 이원론적 사고는 여러 가지 문제들의 동기일뿐입니다. 고린도 교회가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의 근본 원인은 바울이 전한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오해, 즉 바울이 전한 \'십자가의 복음\'과 \'십자가의 삶\'을 헬라 문화의 배경 아래 \'영광의 신학\'으로 곡해한 것입니다.
바울이 전한 십자가의 삶은 십자가에 나타난 예수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여기까지가 앞서 이야기한 내용을 축약한 것입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그리스도의 사랑과 고린도전후서의 또 다른 중요한 내용인 그리스도의 십자가의 복음과 어떻게 연결될까요?
바울은 고린도전서 2:1-5에서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고린도 사람들에게 전도하러 갔을 때, 나는 아름다운 말과 고상한 지혜로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약하고, 두려워하고, 심히 떨면서, 오직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에 못 박히신 것만을 전했습니다. 그렇게 한 이유는 성령의 능력은 아름다운 말과 지혜에 있지 안고 오히려 약하고 두려워하고 심히 떨면서 예수 그리스도와 그의 십자가에 못 박히신 사실을 전할 때 나타나기 때문입니다. 요약해서 말한다면, 십자가의 복음을 전할때 성령의 능력이 나타납니다. 내가 너희들에게 저한 복음은 십자가의 복음이다.\"
바울은 고린도후서 12:7 -10 에서도 이와 유사한 내용을 말하고 있습니다. \"나에게는 말 못하는 육체의 가시가 있었다. 너무나 고통스러워 이것을 없애달라고 세번이나 주님께 기도했다. 그러나 주님게서는 \'내 은혜가 너에게 족하다. 내 능력은 오히려 너의 약한 것, 곧 너가 가진 가시를 통해 더 온전하게 된다\'는 답변을 주셨다. 그래서 나는 오히려 그리스도를 위해 내 약한 것들과 능욕과 궁핍과 핍박과 곤란을 기뻐했다. 왜냐하면 그리스도의 능력은 내 강함을 통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약함을 통해 드러나기 때문이다. 요약해서 말한다면 나의 삶의 자세는 그리스도를 위해 내 약함과 핍박과 환난과 궁핍함을 기뻐하는 십자가의 삶이다.\"
왜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자신의 복음은 십자가의 복음이며, 십자가의 복음을 통해 성령의 능력이 나타난다고 말할까요? 왜 바울은 고린도 교인들에게 자신의 삶은 십자가의 삶이며, 그리스도의 능력이 자신의 약한 것들을 통해 나타난다고 말하고있습니까? 바울이 고린도전후서를 쓸 당시 고린도 사람들의 주된 관심사들은 다음과 같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 어떻게 남보다 더 똑똑하고 지혜로운 자가 될 수 있는가? 남보다 더 어떻게 말을 잘할 수 있는가? 그래서 고린도에서는 수사학, 즉 일종의 웅변술이 발달했으며, 그것이 모든 교육의 핵심이 되었습니다. 어떻게 말로 상대방을 꼼짝 못하게 할 수 있는지가 고린도 사람들의 커다란 관심사 였습니다.
(2) 어떻게 남보다 더 출세할 수 있겠는가? 고린도 사람들은 권력과 명예를 추구했고, 출세를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습니다.
(3) 어떻게 남보다 더 잘 살 수 있겠는가? 고린도에서는 돈이 있으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는 사상이 팽배했고, 부를 통해 신분 상승을 꾀하는 풍조가 있었습니다.
(4) 어떻게 남보다 더 용감한 자가 될 수 있는가? 고린도 사람들은 용기, 힘, 모험심 등을 자랑했습니다.
(5) 어떻게 자유로운 자가 될 수 있는가? 특별히 노예들, 여인들 가운데서 돈, 연줄을 통해서 자유를 회복하과 했습니다. 여인들은 신저에 헌신함으로써, 즉 신전 여인이 됨으로써, 남자들 우위에서는 자유로운 여인이 되고자 했습니다.
이 모든 것은 당시 헬라 종교, 문화, 사상의 스로건인 \"영원한 것은 고통을 당하지 않는다\"는 주장과 깊은 관련을 갖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지혜, 용기, 부, 명예, 자유, 힘 등은 숭상되고, 그 대신 겸손, 양보, 희생, 고통, 사랑 등은 배척되어 약자들에게나 해당되는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헬라 사상에서는 십자가의 복음, 성육신 등의 교리는 미련하고 어리석은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고전 1:18).
고린도 교회의 근본 문제는 기독교 신앙을 당시 헬라 문화 및 종

키워드

여호,   신약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2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