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자원봉사와 기업자원봉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자원봉사와 기업자원봉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우리나라의 노인자원봉사

1. 노인자원봉사활동의 현황

2. 자원봉사센터의 현황

3. 노인자원봉사의 문제점

Ⅲ. 미국의 노인자원봉사

1. 노인자원봉사자 현황

2. 노인자원봉사조직

3. 미국 노인자원봉사의 과제

Ⅳ. 우리나라 노인자원봉사의 과제

1. 노인의 의식변화를 통한 자원봉사 동기 부여

2. 노인자원봉사 전담기구의 설치·운영

3. 노인자원봉사자 관리체계의 확립

4. 노인자원봉사의 구체적 프로그램 개발

5.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재원 확보

6. 노인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지원체계 정비

7.「한국퇴직자협회(가칭)」의 구성

Ⅴ. 결론

노인 것만 입니다~ 기업은 따로 되어 있습니다.

본문내용

의 방법으로 자원봉사자의 사기를 북돋우며, 지속적인 활동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있다.20) 자원봉사자에게 감사를 효과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한 아이디어 책까지 발간하여21) 지역 자원봉사센터에 배포하고 있을 정도이다.
「미국퇴직자협회」의 자원봉사자들은 노인복지정책 수립에 직접 참여하며, 채택된 정책을 국회에서 대변하며, 또한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에 참여한다. 예를 들면, 50세 이상의 운전자들을 위하여 8시간의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1979년부터 회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현재까지 이 프로그램을 위하여 6,000명의 훈련된 고령자 자원봉사 강사가 활동하였으며, 2백만명 이상의 회원이 이 프로그램을 이수했다.22)
「미국퇴직자협회」는 1958년 은퇴한 고등학교 교장 Dr. Ethel Percy Andrus에 의하여 설립되었다. Dr. Andrus는 1947년에 먼저「전국 퇴직교사협회(NRTA: National Retired Teachers Associa-
tion)」를 설립하였으며, 그 뒤에 보다 광범위한 노인조직의 필요성을 느껴 전체 노인 및 예비노인을 대상으로 한 권익옹호단체인「미국퇴직자협회」를 조직하였다.「미국퇴직자협회」는 Washi-
ngton, D.C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5개 지역사무소(Regional Office), 20개 주사무소(State Office)와 수많은 지역사회사무소(Local Chapters)를 두고 있다.23)
<표 5>「미국퇴직자협회」의 자원봉사 현황(1995년)
자원봉사자 수
임 명 된
자원봉사자
본부(National)
594명
주(State)
1,111명
인근지역(Local)
45,095명
보조 자원봉사자
109,141명
자원봉사사무소 수
지역(Regional)사무소
5개소
주(State)사무소
20개소
지역사회(Local)사무소
수백개소
자료:「미국퇴직자협회(AARP: American Association of Retired Person)」의 내부자료(AARP Volunteer Census, 1995)에서 재구성.
2)「전국노인봉사단(NSSC: National Senior Service Corps)」24)
「전국노인봉사단」은 55세 이상의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조직이며, 회원은 약 50만명에 이른다. 「전국노인봉사단」은 노인자원봉사자들이 그들의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공공안전, 환경문제 등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동시에 자신들의 삶을 보람있게 만들자는 취지 하에 연방정부의 재정지원 하에 설립되었다.25)「전국노인봉사단」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은 크게 (1)「노인퇴직자 자원봉사 프로그램(Retired and Senior Volunteer Program)」, (2)「양조부모 프로그램(Foster Grandparents Program)」, (3)「노인 말벗 프로그램(Senior Companions Program)」의 3가지로 나누어진다.
(1)「노인퇴직자 자원봉사 프로그램(RSVP: Retired and Senior Volunteer Program)」
「노인퇴직자 자원봉사 프로그램」은 1969년에 시작되었으며, 55세 이상 노인들로 구성된 가장 큰 노인자원봉사조직이다.「노인퇴직자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1996년 예산은 연방정부로부터 $35,168,000의 지원과 주정부 지원 및 기타 후원금 $38,880,000으로 총 $74,048,000에 이르고 있다.
1996년 현재「노인퇴직자 자원봉사 프로그램」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 수는 449,400명인데, 이들에게는 자원봉사자 상해보험의 혜택이 주어질 뿐, 무보수로 활동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26) 이들 자원봉사자의 75%는 여성이고, 백인이 85%를 차지하고 있다.「노인퇴직자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자원봉사자가 1995년 1년간 활동한 총 시간은 8천5백만 시간으로 집계되었다.(자원봉사자 1인당 평균 1주일에 4시간 정도 활동함).
「노인퇴직자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자원봉사자는 사전교육을 받아야 하며, 자신들이 봉사하고자 하는 분야, 시간,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들의 활동내용은 방범·경비, 청소년 개인지도, 집수리, 이민자를 위한 영어교육, 재해구호 등 매우 광범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퇴직자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본부는 노인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자원봉사활동을 개발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고 있다.
<표 6>「노인퇴직자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현황
예 산
연방정부
$ 35,169,000
기 타
$ 38,880,000
자원봉사자 수
449,400명
자원봉사센터(station) 수
65,300개소
총 자원봉사활동 시간
8천5백 시간
자원봉사자의 특성
성 별
여 성
75%
남 성
25%
인 종
백 인
85%
흑 인
9%
기 타
6%
연 령
55 - 59
4%
60 - 69
27%
70 - 79
46%
80 - 84
15%
85세+
8%
자료:「전국노인봉사단(NSSC: National Senior Service Corps)」의 내부자료에서 재구성.
(2)「양조부모 프로그램(FGP: Foster Grandparents Program)」
「양조부모 프로그램」은 1965년에 시작되었으며, 55세 이상의 고령자들이27) 특별한 욕구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할아버지·할머니의 역할을 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이 프로그램을 통하여 도움을 받고 있는 대상은 1996년 8만명이 넘는다. 이 프로그램은 아동·청소년들의 삶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봉사하는 고령자들의 삶을 풍부하게 해주며, 또한 고령자의 소득보장을 돕는 프로그램이다.「양조부모 프로그램」의 자원봉사자들은 학교, 병원, 교도소 등에서 학대 또는 방임된 아동을 도우며, 비행청소년 미혼모등에게 다정한 조부모의 역할을 하고, 미숙아와 신체적 장애를 가진 아동들을 돌보아 주도록 되어 있다.
「양조부모 프로그램」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자원봉사자들은 저소득층28) 55세 이상 고령자이어야 하고, 주 20시간 자원봉사활동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사전에 40시간의 교육을 받아야 하며, 자원봉사활동 중에도 매달 정기적 보수교육(1회 4시간)과 연간 1-2회의 웍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09.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93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